삼국유사 와 균여전 의 기록으로 살펴 본 향가 혹은 사뇌가의 성격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3.29 / 2015.03.29
  • 9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2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삼국유사>와 <균여전>의 기록으로 살펴 본 향가 혹은 사뇌가의 성격
목차
머리말
본론1. 향가 혹은 사뇌가의 성격을 나타내는 용어의 개념
2. 개념을 통해 본 성격과 현존 향가 25,6수에 적용
향가의 미의식, 서정성, 국민문학성, 주술성.
결론
머리말
향가의 내용적인 주제는 매우 다양하다. 주로 불교적인 주제를 바탕으로 백성들의 생활에 도움을 주는 것, 현실을 풍자하는 것, 화랑을 찬미하는 것 등이 있다. 각 향가들의 내용은 이런 범주 안에 속하고 중복되는 경우도 있다. 향가의 성격을 내용적인 면으로 분류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그것이 각 향가의 성격에 맞는지, 혹은 더욱 세밀하게 나누어야 하는지 고민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런 분류는 향가의 성격을 오히려 모호하게 한다. 왜냐하면 향가의 내용으로 성격을 분석하기엔 현존하는 향가의 수가 너무 적고, 그 해석 또한 불분명한 것이 많기 때문이다. 현재 향가의 성격과 주제를 내용으로 분류하고 있는 것이 많지만 그것은 향가를 조각내어 단편적으로 이해하는 것에 그치게 된다.
이 글에서는 향가 혹은 사뇌가의 성격을 알아보기 위해서 <삼국유사>와 <균여전>에 수록된 개념들을 가지고 논의해 보기로 하겠다. - "其意甚高", "詞淸句麗", "意精於詞 故云腦", "羅人尙鄕歌者尙矣 蓋詩訟之類歟 故往往能感動天地鬼神者非一", "夫詞腦者 世人戱樂之具"
이들의 개념을 정리하고, 개념을 통해 알 수 있는 향가 또는 사뇌가의 성격을 추론하여 현존 향가 25 혹은 26수에 적용해 보도록 하겠다.
본론
1. 향가 혹은 사뇌가의 성격을 나타내는 용어의 개념
①詞淸句麗 - 가사가 맑고 곱다.
최행귀는 균여의 <보현시원가>를 한시로 번역한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서술하였다.
“열 한수의 향가가 노랫말이 아주 맑고 구절이 아름다워 그것을 詞腦라고 부르니 가히 貞觀때의 시를 능욕할 만하고 정치함은 賦중 가장 뛰어난 것 같아서惠帝, 明帝때의 賦에 비길 만하다. 그러나 중국 사람들이 향가를 보고자 할 때에는 서문이외에는 알기 어렵고, 우리나라 선비들이 향가를 들을 때에는 노래에 빠져 쉽게 외우고는 그만이다. 그리하여 그 반쪽의 이로움만 있을 뿐 각기 온전한 공을 놓치고 있다.”
이 구절로 알 수 있는 사실은 중국 사람이나 우리나라 선비들이 온전한 공을 세우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詞腦란 詞淸句麗한 우리의 노래를 지칭한 것이다. ‘八九行之唐序 義廣文豊 十一首之鄕歌 詞淸句麗 其爲作也 號稱詞腦’에 표현된 의미의 요점은 향가의 노랫말이 맑고 글귀가 수려해서 이렇게 詞腦라고 한다는 것이다. 즉, 여기서 우리는 詞腦란 노랫말이 맑고 깨끗하며 글귀 역시 수려해서 노랫말에 담긴 뜻이 매우 깊은 노래였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우리는 노랫말이 맑고 글귀가 아름다우며 뜻이 노랫말보다 더 정심하기 때문에 이런 노래를 바로 일러 詞腦라 한다는 사뇌가의 의미를 알 수 있다. 또한, <보현시원가>를 한시로 번역함으로써 중국이나 우리나라 선비들에게 두루 읽히고 알게 하여 노래에 담긴 뜻을 온전히 드러낼 수 있게 하였다는 사실이다. 손종흠 - 균여 향가의 문학적 가치 (고전시가론 15,16강 보충학습)
②其意甚高 - 그 내용의 뜻함이 매우 높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전시가론 레포트 - 향가의 이론적 정리, 서동요, 풍요, 헌화가, 도솔가, 처용가, 우적가, 보현십원가, 도이장가
  • 고전시가론 레포트- 차 례-1. 향가의 이론적 정리 2. 서동요, 풍요, 헌화가, 도솔가 3. 처용가, 우적가, 보현십원가, 도이장가4. 모죽지랑가, 원왕생가, 원가, 제망매가 5. 혜성가, 도천수대비가, 안민가, 찬기파랑가 향가의 이론적 정리 1. 향가의 명칭과 개념향가는 신라 사람들이 즐겨 창작하고 불렀던 노래 유산을 하나의 장르로 묶어서 부르는 이름이다. 현재까지 남아 전하는 작품은 모두 26수로서, 『삼국유사』에 14수가 전하고 『균여전』에 보

  • [고전시가론]서정시 형식의 완성과 향가
  • 의 행을 닦는 요점이다.)「균여전」에서는 향가와 사뇌가 두 이름을 구분하여 사용하였고「삼국사기」에서는진성여왕은 평소 각간 벼슬을 한 위흥과 친하였다. 그리하여 위흥은 늘 궁내에 들어가 권력을 휘둘렀다. 대구란 중과 함께 향가를 모아 수정했는데 그 모은 글을「三代目」이라 했다.「삼대목」이란 노래 모음집이 만들어진 것은 진성여왕 2년이지만 지금 이 책은 전하지 않는다. 「균여전」이 나온지 약 200여 년 뒤에 간행된「삼국유사」

  • [논문,김석회,향가,향가작품,] 김석회<향가의 작품세계> 정리와 향가 작품.
  • 의 민심수습책으로 행했을 굿과 관련지어 와 를 동일한 논리로 해석한 바 있다.황패강은 최근 향가연구사를 정리하면서 향가문학에의 설화적이고 역사적 접근에 있어서는 설화론적 이해기반의 확충이 선결 과제임을 제기하며 방법론의 적정여부를 먼저 판별하고 적용해 나가야 될 것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향가 연구에서는 삼국유사 설화의 성격을 파악하는 것이 하나의 전제가 된다고 볼 수 있다. 설화 해석의 기본 입장을 두고 학자들

  • [고전시가론] 상대시가-가사부전시가
  • 의 《구지가(龜旨歌)》를 비롯하여 《삼국사기》유리왕조(瑠璃王條)의 《황조가(黃鳥歌)》, 그리고 중국 진(晉)나라 때 최! 표(崔豹)의 《고금주(古今注)》에는 《공후인(引)》(公無渡河歌라고도 함) 등의 한역가가 그 유래와 함께 실려 전한다. 그 밖에도 이 무렵 신라에는 《도솔가(兜率歌)》라는 노래를 만들었다는 기사가 《삼국유사》유리왕조(儒理王條)에 실려 있다. 이상의 기록이 모두 한문으로 된 기사로

  • [국문학사] 한국문학사의 개관
  • 향가 (1) 본래 중국의 노래에 대한 우리말노래를 지칭하는 것이다. (2) 오늘날에는 한자의 음과 훈을 빌어서 표기된향찰된 신라의 노래를 말한다. (3) 향가는 사뇌가(詞腦歌), 사내가, 도솔가 등의 여러 명칭으로 쓰였다. (4) 신라 26대 진평왕조 전후부터 고려 시대 광종까지 지어졌다. (5) 향가의 완성 형식인 10구체의 향가를 특히 사뇌가라 하였다. (7) 에 14수, 에 11 수 등 다수가 전해진다. ※ 삼대목(三代目) : 진성여왕 2년,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