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動 動(동동)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5.05.04 / 2019.12.24
  • 7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97)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하고 싶은 말
고전시가론 시간에 배운 동동에 대한 작품론입니다.
목차
1. 序論
2. 本論
2.1. 작품 해독 및 작품 해설
2.1.1. 작품 해독
2.1.2. 작품 해설
2.2. 高麗 俗樂歌詞에 대한 폄하적 시각의 문제
3. 結論
【참고문헌】
【참고논문】
본문내용
<動動>은 연대, 작자 미상의 고려 속악가사 중 하나이다. <動動>은「樂學軌範」권5 成宗朝 鄕樂呈才 圖儀 중에 연희의 구연 방식과 노랫말이 실려 있고, 「大樂後譜」권7에 악보가 전해진다. 또한 『高麗史』「樂志」에 관련기록이 보인다. 노래 형식은 전편 13장으로 되어있으며 첫머리의 序聯을 제외하고는 달거리(月令體)로 되어 있다. 序聯을 제외한 나머지 聯에서는 1월부터 12월까지 각각의 달(月)에 따른 자연환경의 묘사 및 歲時風俗의 소개를 통해 서정적 자아의 심리를 드러내주고 있다. 하지만 작품을 해석함에 있어서 학자들마다 의견이 분분히 갈라져 있는 시점이다. 그 논의는 대개 <動動>을 頌禱의 노래로 보는 입장, 戀情이나 相思의 노래로 보는 견해, 頌禱와 戀情의 결합으로 보는 견해, 첫 수는 頌禱之詞이고 나머지는 相思의 노래로 보는 견해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는 작품의 내용을 통한 고찰로 볼 수 있는데, 『高麗史』「樂志」의 기록 "其歌詞多有頌禱之詞"를 해석함에 있어서 의견이 분분함을 알 수 있다. <動動>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語釋을 신중히 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지금부터 살펴볼 문제는 내용적인 측면에서의 접근을 통해 <動動>을 이해하고자 한다. 첫 연의 내용은 다른 1월부터 12월까지의 연과 유기체적 결합성이 떨어진 것을 발견할 수 있다. 1월부터 12월까지의 聯에는 민간에서의 세시풍속과 자연의 소재들을 중심으로 개인적인 서정이 짙게 배어나고 있는 반면, 序聯에는 頌禱의 성격이 짙게 드러나 있음을 알 수가 있다. 고려 속악가사의 특징과 결부시켜 살펴볼 때, <動動>은 민간에서 불리던 노래가 궁중으로 유입되면서 궁중에서 연행되기 위해 음악적 변개가 이루어진 형태로 보는 것에 주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아울러 고려 속악가사를 '男女相悅之詞' 또는 '淫詞'로 보는 견해에 대한 再考察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양주동, 『麗謠箋注』, 乙酉文化社, 1992
허남춘, 『古典詩歌와 歌樂의 傳統』, 月印, 1999
김학성·권두한 편, 『新編 古典詩歌論』, 새문社, 2002
강명혜, 『고려속요·사설시조의 새로운 이해』, 북스힐, 2002
宋在周·安東柱, 『韓國古典詩歌論』, 國學資料院, 1997
박노준, 「<動動>의 한 理解」『高麗歌謠의 硏究』, 새문社, 1990
『국역 악학궤범Ⅰ·Ⅱ』, 민족문화추진회, 1989

【참고논문】
김유정, 「高麗詩歌 <動動>硏究 -抒情自我를 中心으로- 」,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97
서성자, 「<動動> 硏究」,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김성숙, 「高麗歌謠의 硏究 - 修辭技巧를 中心으로- 」,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7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전시가론] 영남가단 문인 연구
  • 動 』/ 한충희 / 계명한문학회 / 1997 -『점畢齋 金宗直의 詩文學攷 』/ 김용각 / 동악한문학회 / 1990 -『金宗直의 生涯와 現實認識 』/ 여진호 / 부산한문학회 / 1990 -『金宗直의 詩世界 』/ 여진호 / 부산한문학회 / 1989 -『金宗直의 士林思想 』/ 박선정 / 원광한문학회 / 1985 -『金宗直 詠史懷古詩의 儒家的 認識美 』/ 이원걸 / 대동한문학회 / 2001 -『김종직의 문학사상과 시세계 』/ 윤광봉 / 한남대학 국어국문학회 / 1992 -『金宗直의 風敎文學論 』/ 이

  • [고전시가론] 경기체가
  • 가론』, 현대문학, 1991.김문기, “경기체가의 종합적 고찰”,『고전시가론』, 새문사, 1984김우한, “안축의 관동별곡과 정철의 관동별곡 비교 연구’, 영남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김창규, “근재 관동별곡평역고”,『국어교육논지』8, 대구교대, 1980.―――, 『한국한림시연구』, 역락출판사, 2001.민족문화추진회, 『한국문집총간』, 민족문화추진회, 1991.박경주, 『경기체가연구』, 이회문화사, 1994.박노준, 『향가여요의 정서와 병용』,

  • [고전시가론] 고려속요
  • 동동(動動)德으란 곰예 받고福으란 림예 받고德이여 福이라 호나라 오소다아으 動動다리正月ㅅ 나릿 므른 아으 어져 녹져 논누릿 가온 나곤몸하 올로 녈셔아으 動動다리二月ㅅ 보로매아으 노피 현燈ㅅ블 다호라萬人 비취실 즈샷다아으 動動다리三月 나며 開아으 滿春 욋고지여 브롤 즈디녀 나샷다아으 動動다리四月 아니 니저아으 오실셔 곳고리새여므슴다 錄事니녯 나 닛고신뎌아으 動

  • [고전시가론] 삼국유사 - 고전시가 관련항목 정리
  • 動帝京.법왕이 살생을 금하다백제 제 29대 왕인 법왕이 겨울 조서를 내려 살생을 금하고 민가에서 기르는 새들을 놓아주게 하고 또 고기 잡는 도구를 불태워 모두 금지시켰다. 이러한 법왕을 기리는 시는 다음과 같다.짐슴들에게도 관대하게 베푸니 온 산이 은혜롭고, 은택이 돼지와 물고기까지 흡족하니 온 세상이 어질구나. 성군이 덧없이 세상을 떠났음을 말하지 마오. 상계 도솔천엔 이제 꽃다운 봄이 한창일지니.詔寬 千丘惠.澤洽豚魚四海仁.莫

  • [고전시가론] 상대시가
  • 고전시가론』, 새문사, 1984, pp.77˜79 성기옥은 설화의 두 중심 인물을 대립적인 성격으로 보고 있다. 남편의 행동이 불러일으키는 신비로운 분위기에 있어서는 인간으로서이기 보다는 신화적 인물로서 지니는 신비성이 진하게 드러나 있는 반면, 아내의 성격은 명백히 일상적 인간의 모습을 한 현실적 인물이라고 했다. 이러한 대립상은 죽음을 인식하는 두 인물의 태도 분석을 통해 더 선명히 드러낼 수 있는데 백수광부가 겁없이 강물을 건너는 행위는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