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리학][주자학]성리학(주자학)의 개념,역사, 성리학(주자학)의 교육사상,관학화, 성리학(주자학)의 수용,예학,탈성리학적 실용주의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1.05.20 / 2019.12.24
  • 10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5,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성리학(주자학)의 개념

Ⅱ. 성리학(주자학)의 역사

Ⅲ. 성리학(주자학)의 교육사상

Ⅳ. 성리학(주자학)의 관학화

Ⅴ. 성리학(주자학)의 수용

Ⅵ. 성리학(주자학)과 예학

Ⅶ. 성리학(주자학)과 탈성리학적 실용주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성리학(주자학)의 개념

중국 송(宋)․명(明)나라 때 학자들에 의하여 성립된 학설. 도학(道學)․이학(理學)․성명학(性命學) 또는 이것을 대성시킨 이의 이름을 따서 정주학(程朱學)이라고도 한다. 유학(儒學)은 중국 사상의 주류를 이루는 것으로, 그것이 성립되던 상대(上代)에는 종교나 철학 등으로 분리되지 않은 단순한 도덕사상이었으며, 그 대표적 인물에 공자(孔子)와 맹자(孟子)가 있다. 공자는 춘추시대(春秋時代)의 어지러운 사회를 바로잡으려고 천하를 주유(周遊)하면서 인(仁)과 예(禮)를 설하였으나 뜻대로 되지 않아 고향에 돌아와 육경(六經:詩․書․禮․樂․易․春秋)을 제자에게 가르치며 도리(道理)를 후세에 전하였다. 선진시대(先秦時代)에 이르러 유학은 도덕 실천의 학으로서 크게 일어났으나, 시황제(始皇帝)의 분서갱유(焚書坑儒)로 큰 시련을 겪은 다음 한․당대(漢唐代)에는 경전(經典)을 수집․정리하고, 그 자구(字句)에 대한 주(注)와 해석을 주로 하는 소위 훈고학(訓學)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송․명 시대에 이르러 유학은 정치적 또는 종교적 사회체제의 변화에 따라 노불(老佛) 사상을 가미하면서 이론적으로 심화되고 철학적인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즉, 북송(北宋)의 정호(程顥)는 천리(天理)를 논하였고 그 아우 정이(程)는 ꡐ성즉리(性卽理)ꡑ의 학설을 폈으며, 그 밖에 주돈이(周敦)․장재(張載)․소옹(邵雍) 등이 여러 학설을 편 것을 남송(南宋)의 주희(朱熹:朱子)가 집성(集成)․정리하여 철학의 체계를 세운 것이 성리학으로, 일명 주자학(朱子學)이라고도 한다. 한편, 이와는 달리 육상산(陸象山)은 ꡐ심즉리(心卽理)ꡑ를 주장하였는데, 이것을 왕양명(王陽明)이 계승하여 육왕학(陸王學)을 정립, 이것 역시 성리학이라 하나 대개의 경우는 성리학이라 하면 주자학을 가리킨다. 성리학은 이(理)․기(氣)의 개념을 구사하면서 우주(宇宙)의 생성(生成)과 구조(構造), 인간 심성(心性)의 구조, 사회에서의 인간의 자세(姿勢) 등에 관하여 깊이 사색함으로써 한․당의 훈고학이 다루지 못하였던 형이상학적(形而上學的)․내성적(內省的)․실천철학적인 여러 분야에서 새로운 유학사상을 수립하였다. 그 내용은 크게 나누어 태극설(太極說)․이기설(理氣說)․심성론(心性論)․성경론(誠敬論)으로 구별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항수, 한국사8 조선전기의 성리학, 한길사
유명종(1991), 조선시대의 성리학파, 석산한종만박사화갑기념논문, 원광대학교출판부
윤사순, 한국의 성리학과 실학
이은순(1996), 여말 선초의 사회 변동과 성리학 사상의 수용, 한국 사회 사상사 논총, 지식산업사
정대환(1992), 조선조 성리학 연구, 강원대학교출판부
한국종교연구회(1998), 2장 I. 6. 성리학의 도입, 한국 종교문화사 강의, 청년사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조선중기 - 예학의 강화
  • 관학화된 성리학을 바탕으로 예의 실천이 본격화된 지 200년이 지난 시기이므로 단순히 『주자가례』중심의 예 정도로는 충족될 수 없었다. 그래서 당시 사대부들은 주희 이외의 학자들의 학설에까지 눈을 돌려 예설의 시야를 넓히는 한편 『주자가례』보다 더 구체적으로 상론된 예의 세목들을 추구 수집하였다. 그 결과 당시의 대표적인 성리학자는 곧 예학자로 불리게 되었으며 성리학은 예학으로 대칭 되기도 하였다. 최현규, 『한국전통윤리사상

  • 성리학(주자학)의 의미, 성리학(주자학)의 마음관, 성리학(주자학)의 관학화, 성리학(주자학)의 수용과정, 성리학(주자학)의 영향, 성리학(주자학)과 영남성리학, 성리학(주자학)과 주자성리학, 성리학 관련 시사점
  • 성리학(주자학)의 관학화조선조의 개창과 더불어, 이른바 僞朝(위조)를 밀어버리고 신 왕조를 세운 합리화의 근거와 배원친명 외교정책의 근거를 춘추대의적 의리관과 그 화이관에서 찾으려 한 것은 다 아는 역사적 사실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사상사의 관점에서 조선 초 성리학의 주목할 만한 사건을 살핀다면, 당시 역성혁명의 주역인 정도전과 권근의 성리학적 업적에 우리의 시선을 모아야 한다. 정도전은 성리학에 입각하여 불교를 배척한다.

  • 조선후기 성리학의 사상적 경향
  • 사상을 발전시켰으며 예론(禮論)에도 밝았다. 송시열은 서인 노론의 거두로서 1,2차 예송논쟁 중심이었고, 그의 의리사상, 복수 설치론은 효종의 북벌론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호락논쟁의 중심인물인 한진원․이간이 송시열의 문하에서 나왔다는 사실 등을 보았을 때 송시열이 조선후기 성리학에 끼친 영향은 지대하다 하겠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子’자를 받아서 宋子라고 불리웠다. 정조 11년에 우암문집이 송자대전(宋子大全)이라고 왕

  • [유학] 조선시대 유학의 흐름과 변화양상(A+)
  • 개념으로 보느냐 아니면 심과 성을 두 개의 개념으로 보느냐 하는 차이가 있다. , 경세론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체계적인 성리학적 이론 틀을 가지고 있었고, 정도전이 불교비판을 통해 유교이념을 제시하였다면, 정도전이 왕자의 난으로 제거된 뒤 온건개혁파였던 권근은 조선 초기의 성리학을 종합적으로 체계화하고, 그 속에 이기론, 사단칠정론, 수양론 등 이후 사상계의 쟁점이 되는 주제들을 모두 포괄함으로써 조선에서 성리학이 뿌리내리는 기

  • [사상] 실학자 정약용과 성리학의 사상jo
  • 사상 속에는 당시 조선의 정치이념이었던 성리학의 왜곡됨을 비판하고. 유교경전자체의 진실성을 회복하려는 학문적 의지를 발견 할 수 있다. 셋째, 다산의 이와 같은 학문에 대한 기본적 태도는 공자.맹자 유교의 핵심적 의도와 맥을 같이 한다. 그들 역시 당시 사회가 극도의 혼란기에서 인간 사회의 윤리성의 타락하고, 정치, 사회는 이권 쟁탈과 파당으로 혼미를 거듭하던 시기에 정치.사회의 질서를 바로잡고서 하는 실천적 의도에서 처방안으로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