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중세사] 황건집단의 사상적 원류와 제지방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4.07.26 / 2019.12.24
  • 6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97)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2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 머리말
2. 본 문
1) 후한 초 산동지방의 봉기집단들과 신앙
2) 산동지방과 전통적 신앙
(1) 황노사상과 제 지방
(2) 황제전설과 제 지방
3) 후한 말 황건집단과 신앙
(1) 황건집단의 활약과 신앙과의 관계
(2) 황건신앙과 그 성격
3. 맺음말
본문내용
1. 머리말

黃巾집단이란 後漢 末, 張角 형제들을 선봉으로 그들의 출신지인 鉅鹿지역에서 일어난 봉기집단을 가리킨다. 그들의 봉기는 당시 후한 말의 모순점을 극복하고자 농민들을 중심으로 일어난 봉기이다. 그런데 이 齊지방을 중심으로 한 산동지방일대의 고래의 전통과 독특한 풍기가, 수세기 이후 동일지역에서 형성된 황건집단의 사상과 구체적으로 어떻게 연관되어질 수는 없을까?
이 지방에서는 고래로 道敎의 앞선 단계라 볼 수 있는 黃老思想과 그리고 이와 더불어 黃帝思想이 널리 유포되어 있는 상태였다. 그리고 後漢 末 黃巾 집단의 지도자인 張角이 黃老思想을 신봉했다고 하는 사실은 새삼스런 사실이 아니다. 이제 黃巾집단의 진원지였던 산동지방일대와 黃老사상과의 관련에 착안해서 그 둘의 밀접한 관계와 그리고 더불어 해당지역의 전통 내지는 습속의 유래를 추구해보고자 한다.

2. 본 문

1) 後漢 初 산동지방의 봉기집단들과 신앙

後漢의 劉秀가 邯鄲의 王郞세력을 격파하고 승기를 잡은 것은 更始 2년(A.D. 24)의 일이었다. 그러나 이때까지도 여타 집단들 간의 난립상은 현저하였다. 이들은 각기 사병을 거느렸던 막강한 세력들이었지만, 그 가운데 琅耶를 거점으로 했던 張步의 세력은 靑州와 除州를 장악하고 있었다. 이들은 산동일대에서 강력한 기반을 확보하고 있었는데, 『後漢書』 卷 12 張步傳.
이러한 장보집단으로부터 직접적으로는 해당 지역의 신앙 혹은 황로사상의 영향 여부를 확인하기는 어렵다. 장보 집단은 여타의 銅馬, 大形, 高湖 등의 집단들과 같은 부류로 취급되고 있는데(『後漢書』 光武帝紀上), 이들 집단 중 어떤 것은 赤眉집단과 행동을 같이 하기도 했다(『後漢書』 光武帝紀上 更始二年正月).

그러나 비슷한 시기의 幽州지역의 張豊의 경우를 살펴보자.

애초 張豊은 方術을 좋아했다. 豊이 天子가 되리라고 했던 도사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중국사, 중국역사, 중국사 시험] 중국사(하, 은, 주 - 명대) 요점정리 서브노트
  • 집단별로 소유권이 형성되어 있으나 배타적인 것은 아니고 상호 인정하는 관습적 성격의 소유권이다. 하영지와 동영지를 왕래하는 타원형의 길 안쪽의 공간을 牧地, 分地(Nutugh)라고 한다.⑵ 가축에 모든 것을 의존하는 생활: 중심 가축은 양인데 고기보다는 양의 우유와 우유를 발효시킨 유제품을 주식으로 하고 있다. 주된 음료는 말젖을 발효시켜 만든 馬乳酒이며 의복 역시 羊毛, 羊皮등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가축의 뼈, 힘줄, 심지어 분뇨도 일상

  • 조선조 성리학자의 불교·도교·천주교 등에 대한 정치적 평가와
  • 사상적 특징을 서술한 자료로는 李泰鎭, 正祖, 한국사 시민강좌 13, 1993년, p. 61-78 참고.156)정조실록, 정조 21년 6월 21일 승지 丁若鏞의 상소.157)정조실록, 정조 15년 11월 8일, 정조가 李承薰을 삭직하고, 權日身은 사형을 감하여 圍籬安置하도록 명하자, 의금부가 이승훈이 공술한 바를 아뢴 글. 158)정조실록, 정조 15년 11월 8일 의금부가 아뢴 李承薰의 공술.159)정조실록, 정조 15년 11월 8일, 정조가 李承薰을 삭직하고, 權日身은 사형을 감하여 圍籬安置

  • 종교와 경제 동양의학과 유학사상
  • 동양철학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말을 한다. 분명히 한의학은 동양철학의 내용을 기초로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그 동양철학은 시내 곳곳에 붙어 있는 사주관상이나 역점과는 매우 다르다는 것도 명백한 사실이다. ※ 사상적 관점으로의 접근1. 한의학의 이론 체계 형성과 발전 및 구성내용(1) 한의학은 전통 철학의 영향아래 오랜 기간의 임상 경험을 거쳐 점진적으로 형성되고 발전되었으며, 춘추 전국에서 진한 교체기에 이르러 처음으로

  • 북한과 남한의 한국사 시대구분론 비교 -`고대와 중세의 기점구분` 논쟁을 중심으로
  • 중세사 시대구분론은 표면적으로 커다란 변화양상을 보이지는 않았다. 다만 그 동안 이루어지지 않았던 고중세사회의 성격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화 작업이 이루어지면서 고중세사회 시대구분론의 심화연구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더불어 고고학적 성과들이 거듭 나타남에 따라, 이론에 구체적인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이론의 주장을 더욱 견고히 뒷받침 해주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세계사적인 보편성에 근거하여 한국사에서의 중세 봉건

  • [동양중세사] 당의 관리 등용 제도-과거제를 중심으로
  • 집단에 진입한 후에도 자주 국가통일을 옹호하고 통치집단과 피통치계급간 모순을 완화하는 진보성 세력을 이루었다. 하지만 서족이 최종적으로 우이당쟁에서 승리하고, 세족과 서족이 합류한 후대에 지식인들은 이후 황권의 강화에 따라 점차 정신적인 면, 창조적인 면에서 약화된 모습을 보여준다.9) 과거의 폐단과 당쟁과거제도는 통치자들이 인재를 찾아내는 방법일 뿐만 아니라 인재를 속박하는 방법이기도 하였다. 결국, 통치자가 지식인을 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