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의 일화에서 엿보는 불교의 상대 신라 전파 및 수용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1.02.18 / 2019.12.24
  • 14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목 차

1) 아도가 신라에서 터를 다졌다 (아도기라阿道基羅)

2) 원종이 법을 세우고 염촉이 자신을 희생했다 (원종흥법염촉멸신原宗興法猒髑滅身)

3) 가섭 부처가 앉는 자리 (가섭불연좌석迦葉佛宴坐石)

4) 원광이 서쪽에서 배워 왔다 (원광서학圓光西學)

5) 자장은 법과 계율을 말했다 (자장정률慈藏定律)

6) 원효는 얽매이지 않았다 (원효불기元曉不羈)


본문내용

이는 황룡사 일화와 마찬가지로 신라 불교가 민간 신앙를 배척한 것이 아니라, 대등한 신앙 혹은 신라 불교의 한 부분으로 받아들여 융합했음을 보여준다.
화랑의 세속오계를 지은 사람도 원광이다.

또 <삼국사(三國史)> 열전(列傳)에 이런 기록이 있다. 어진 선비 귀산(貴山)이란 자는 사량부(沙梁部) 사람이다. 마을의 추항(추項)과 친구가 되어 두 사람은 서로 말했다. "우리들이 사군자(士君子)들과 함께 사귀려면 먼저 마음을 바르게 하여 처신하지 않는다면, 필경 욕 당하는 것을 면치 못할 것이다. 그러니 어찌 어진 사람을 찾아가서 도를 묻지 않겠는가." 이때 원광법사가 수나라에 갔다가 돌아와서 가슬갑(嘉瑟岬; 혹은 가서加西, 또는 가서嘉栖라고 하는데, 모두 방언方言이다. 갑岬은 속언俗言으로 고시古尸(곳)이라고 한다. 때문에 이것을 고시사古尸寺(곳절)라고 하니 갑사岬寺라는 것과 같다. 지금 운문사雲門寺 동쪽 9,000보步쯤 되는 곳에 가서현加西峴이 있는데, 혹은 가슬현嘉瑟峴이라고 하며, 고개의 북쪽 골짜기에 절터가 있으니 바로 이것이다)에 잠시 살고 있다는 말을 듣고 두 사람은 그에게 나아가 아뢰었다. "저희들 시속 선비는 어리석어서 아는 것이 없습니다. 바라옵건대 한 말씀을 주시어 평생의 경계가 되게 해 주십시오." 원광이 말했다. "불교에는 보살계(菩薩戒)가 있으니, 1은 임금을 충성으로 섬기는 일이요, 2는 부모를 효도로 섬기는 일이요, 3은 벗을 신의(信義)로 사귀는 일이요, 4는 싸움에 임해서는 물러서지 않는 일이요, 5는 산 물건을 죽이는 데 가려서 한다는 일이다. 너희들은 이 일을 실행하여 소홀히 하지 말라." 귀산 등이 말했다. "다른 일은 모두 알아듣겠습니다마는, 말씀하신 바 '산 물건을 죽이는 데 가려서 한다'는 것은 아직 터득할 수가 없습니다." 원광이 말했다. "6재일(齋日)과 봄·여름에는 죽이지 않는 것이니 이것은 시기를 가리는 것이다. 말·소·개 등 가축을 죽이지 않고 고기가 한 점도 되지 못하는 세물(細物)을 죽이지 않는 것이니 이것은 물건을 가리는 것이다. 또한 죽일 수 있는 것도 또한 쓸 만큼만 하고 많이 죽이지 말라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세속의 좋은 경계인 것이다." 귀산 등이 말했다. "지금부터 이 말을 받들어 실천하여 감히 어기지 않겠습니다." 그 후에 두 사람은 전쟁에 나가서 모두 국가에 큰 공을 세웠다.

여기서 나오는 원광의 가르침이 그대로 후세에 전해져서 화랑의 세속오계가 되었다. 그런데 여기서 오계의 네 번째와 다섯 번째는 불교에서 적어도 순수하게 전승하는 가르침이라고는 거의 보기 어렵다. 또한 다른 세 계율도 불교의 교리보다는 유교나 풍월도의 국가주의에 더 가깝게 닿아 있다. 따라서 불교의 승려인 원광이 선비에게 이런 계율을 주었다는 것은 신라의 불교가 실용 종교, 그리고 호국 불교의 성격을 띠고 있음을 나타내는 일화라고 볼 수 있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국문학] 무가, 설화
  • 무가․설화◆ 목 차 ◆1. 들어가며2. 무가2-1. 무가의 개념2-2. 무가의 형성과 전개2-3. 무가의 특성2-4. 무가의 장르2-5. 무가와 다른 장르3. 설화3-1. 설화의 개념 및 특징3-2. 신화3-3. 전설3-4. 민담1. 들어가며무가와 설화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구비문학 갈래 중 하나이다.굿으로 대표되는 무속의례는 예술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에는 종합예술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음악과 춤과 사설이 미분화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춤을 제외하고 무가

  • 한국 고전문학사
  • 의 자취를 찾아서4. 남북국시대의 상황과 문학 5. 신라 한문학의 성숙1. 불교문학에서 문제된 이치와 표현1) 불교사와 문학사고구려는 372년(소수림왕 2), 백제는 384년(침류왕 원년), 신라는 528년(법흥왕 15)에 불교를 공인하고 세 나라가 모두 불교국가가 되었다. 한문을 사용하고 유학을 받아들여 중세화의 길에 들어선 것만으로는 부족한 내면정신 성장 및 인생의 궁극적인 문제에 대답하는 과업을 불교가 담당했다. 고대의 자기중심주의를 버리고 중

  • 고전문학 -불교사상
  • 불교의 이러한 영향은 특히 문학의 경우 두드러진다. 고대 신라인의 노래는 이러한 불교에 기반하여 생성된 것 이였고, 그 이래로 불교사상은 수많은 문학작가들이 문학을 창조하는 원천이 되었다.고대 시가는 물론 일찍이 신라 향가에 와서 불교 시가 많이 창작이 되었고, 수업시간에 배웠던 월명사의 제망매가, 충담사의 찬기파랑가는 불교정신이 나타난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고려 때 편찬된 삼국유사는 시가와 설화등

  • [불교문학] 불교사상과 문학
  • < 목 차 >Ⅰ. 서론Ⅱ. 한국 불교문학의 연구1. 불교문학의 의의1) 불교문학의 정의 2) 불교문학의 영향2. 불교사상과 문학1) 삼국시대(1) 삼국시대에서의 불교사상 (2) 삼국시대 불교문학의 전개(3) 고구려 (4) 백제 (5) 신라① 신라의 불교적 운문문학 ② 신라의 불교적 산문문학2) 고려시대(1) 고려시대에서의 불교사상(2) 고려시대 불교문학의 전개 ① 승려작가(3) 고려시대 불교문학의 구분① 고려의 불교적 운문문학 ② 고려의 불교적 산문문학3)

  • 독후감 176권 638Page (서평,독후감상문,독후감 모음)
  • 의 충돌69. 미국의 민주주의70. 미움받을용기71. 밀레니얼은 왜 가난한가72. 반 고흐, 영혼의 편지73. 백범일지74. 버킷리스트75. 베니스의 상인76. 부분과 전체 77. 부자아빠 가난한아빠78. 톨스토이 부활79. 불편한 편의점80. 빅 픽처81. 빌딩부자들82. 사기열전83.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84. 사랑의 기술85. 사피엔스86. 살인자의 기억법87. 삶을 위한 수업88. 삼국유사 89. 상식밖의 경제학90. 생각의 탄생91. 선량한 차별주의자92. 설국93. 설득의 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