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시가론] 연시조의 발생과 성격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11.12 / 2019.12.24
  • 15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 시조 개관과 종류

2. 연시조의 형성배경
1)형식적 배경
2)내용적 배경

3. 연시조의 성격

4. 연시조의 분류 방법에 따른 작품
1) 한편의 단일한 주제 밑에 연작된 작품
① 맹사성 <강호사시가>
② 이현보 <어부가>
③ 윤선도 <어부사시사>

2) 주제가 다른 여러 수를 하나의 통괄된 제목으로 묶인것
① 이황 <도산십이곡>
② 정철 <훈민가>


5. 연시조의 한계
본문내용
② 이현보 <어부가>


조선 명종 때 이현보가 지은 5수의 연시조다. 작자는 고려 때부터 전해오던 12장의 장가를 9장으로 개작하였고, 이를 다시 개편하여 5수의 시조 형태로 남겼다. 명칭 상 장가 '어부가'와 구별하여 '어부단가'라 부르기도 한다. 시적 주인공인 어부의 형상을 설정하고 추상적인 어부 생활을 묘사하고 있는 제 1수에 이어 제2,3,4수에서는 강호 자연에서의 어부의 생활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며, 제5수에 이르러서는 현실사회를 잊지 못하는 시인의 내면 의식을 보여준다. 결국, 이 작품은 실제로 강호 자연으로 물러난 시인의 내면화된 현실 지향 의식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한운'과 '백구'라는 어디에도 얽매이지 않는 사물과의 합일을 통해 현실을 잊고자 한다.'한운'과 '백구'는 '무심'하고 '다정'한 대상물로, 현실을 떠나 어디에도 얽매임이 없이 일체가 되고 싶은 자연물을 형상하고 있다. 그러나 결국 현실 지향의 내면을 표현하게 되는데 이를 보여주는 제재가 '장안'이나 '북궐'이다. 또한 '천심녹수', '만첩청산' 같은 상투적 한자어를 많이 써서 정경 묘사가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데 그쳤다.


③ 윤선도 <어부사시사>

우는거시 벅구기가 프른거시 버들숩가
이어라,이어라
漁村(어촌) 두어집이 내속의 날낙들낙
至菊悤(지국총)至菊悤(지국총)於思臥(어사와)
말가한 깁픈소의 온갓고기 뛰노난다. [春詞4]

우는 것이 뻐꾸기인가? 푸른것이 버드나무 숲인가?
(노를 저어라, 노를 저어라.)
어촌 두어 집이 안개 속에 잠겨 들락날락하는구나
(지국총:배 부딪칠때 나는 “찌그덩”소리)
맑고 깊은 못에 온갖 고기가 뛰노는 구나.

주제 : 강호의 한정, 자연 속에서 살아가는 여유와 흥취
어부가의 형성과정 : 어부가(漁父歌, 고려, 작자 미상) → 어부가(漁父歌, 조선, 이현보 개작) →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조선 후기, 윤선도)
1651년(효종 2) 윤선도(尹善道)가 지은 단가(短歌). 보길도(甫吉島)를 배경으로 지은 40수의 단가로, ≪고산유고 孤山遺稿≫에 실려 전한다. 이 노래는 작자와 제작연대 미상인 고려 후기의 〈어부가 漁父歌〉(이 계통의 노래 가운데 현전하는 것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됨)와 직접적 전승관계에 놓인 이현보(李賢輔)의 〈어부사 漁父詞〉에 그 창작 연원이 맞닿아 있다. 작자 미상의 〈어부가〉는 ≪악장가사 樂章歌詞≫에 수록되어 있으며 이현보의
참고문헌
※참고문헌※

* 이현자, “사시가계 연시조에 나타난 강호자연 인식”,『시조학논총』, 17집, 2007, pp235~285

* 최진원, 국문학과 자연,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86, p14

* 尹孤山 硏究(李在秀, 學友社, 1955), 尹善道作品集(尹星根, 螢雪出版社, 1977), 韓國古典詩歌의 形象性(崔珍源, 成均館大學校 大東文化硏究院, 1988), 假漁翁(崔珍源, 成均館大學校論文集, 1960), 〈漁父四時詞〉의 終章과 變異形(金興圭, 民族文化硏究 제15집,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1980), 〈漁父四時詞〉에서의 ‘興’의 性格(金興圭, 한국고전시가작품론, 集文堂, 1992).(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김상진,「16 ․ 17세기 시조의 동향과 경향」, 국학자료원, 2006
* 박정련,「陶山十二曲」을 통해 본 退溪의 音樂觀 -「도산십이곡발문」과 「도산십이곡」〈언지〉의 노래를 중심으로, 2008

* 朴晟義, 玄岩社, 松江·蘆溪·孤山의 詩歌文學 ,196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ttp://cafe.naver.com/kangwookhangul.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882

http://blog.naver.com/ccc192000?Redirect=Log&logNo=40098524583

http://cafe.naver.com/kangwookhangul.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882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현대시강독] 개화기 시문학(1800년대 후반~1900년대)
  • 고전시가에서 거의 사용된 적이 없는 새로운 형태의 것이다. 임종찬, 개화기시가론, 국학자료원, 1993.또, 전문에서 보면 각 연의 대응되는 행들이 모두 동일한 자수율로 이루어져 있는 정형의 틀이 있음을 알 수 있다.5.4. 개화시조5.4.1. 등장배경특정한 시대에 존재하는 문학 장르는 그 시대의 사회적 요청에 의해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 개화시조의 등장도 이 논리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개화기는 정치적으로는 일본을 비롯한 서구열강의 침

  • [고전시가론] 고산의 `어부사시사` 분석
  • 고전문학입문, 집문당, 1997.김헌구, 윤선도의연구 :후렴구조장르를 중심으로, 2001.상욱, 고산 윤선도 문학의 자연관과 시간관 연구, 2002.6.전일환, 고산 윤선도 국문시가의 수사미학, 고시가연구 통권 제11집, 한국고시가문학회, 2003.2.신은경, 자아탐구의 旅程으로서의 「산중신곡」과 「어부사시사」 :공간의식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 과 비평 7권 4호 제21집, 2003. 12.이종범, 고산 윤선도의 출처관과 정론, 대구사학 제74집, 대구사

  • [국어국문]이세보 시조 연구
  • 발생이 그의 생애와, 또 사회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그런 그의 생애와 사회상에 따라 그가 어떻게 사상이 변모해가며 어떠한 주제의 시조들을 썼는지가 중요한 연구 의도인 것이었다.그러한 연구의도와 목적을 가지고 논의한 내용과 결과를 요약,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본론 첫 부분에서는 그의 시조 작품에 대한 전반적인 구획을 나누었다. 여러 시조집 중 『풍아(大)』가 그 대표가 됨을 밝히고 그와 더불어 462首에 달하는 그의 시

  • [국어국문학] [국문학사]조선전기문학의 특징
  • 존재한 도학의 감시 하에서 엄격한 비평과 함께 나름대로의 존재 의미를 찾으려 했던 것이다. 이 결과 문학이 사상적 내용을 갖게 되었으며, 부화함에서 벗어나 진실성을 추구하게 되었던 것이다.참 고 문 헌김학성, 고전시가론, 새문사, 1984. 5이병주, 고전의 산책, 민족문화문고 간행회, 1985. 9이종산, 이상보 외 6인, 국문학개론, 교학사 1986. 2정병욱, 한국 고전 시가론, 신구문화사, 1996. 4홍순석, 한국 고전 문학의 이해, 한국문화사, 1998. 9

  • 시조 - 명칭과 개념, 기원, 발생시기
  • 발생과 작가 층에 관한 논점에서 최초의 논의는 문학과 사회의 대응관계로부터 연역하려는 입장을 취하였다. 임병양란후 양반사회 몰락으로 시조향유층이 중인으로 옮겨지면서 사설시조가 발생한다는 주장이 있다 우리 어문학회 「국문학 개론」 일성당 서점 1949. 이능우는 사설시조를 귀족계층의 시가형식인 시조와 병행하여 서민층 속에서 上代(상대)에서 부터 내려왔다고 단정한다. 두 번째 작가층 논의는 문헌 실증적 방법이다. 정병욱 정병욱,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