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고전희곡] 중국 시대별 작품을 통해본 시대상황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02.25 / 2019.12.24
  • 5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est1est2est3est4est5 1(구매금액의 3%지급)
  • 1,2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 목 차 >
1. 들어가는 말
2. 각 작품에 나타나는 사회상과 현실극복
(1) 정광조(鄭光祖)의 천녀이혼(倩女離魂)
(2) 구우(瞿佑, 1347~1427)의 <전등신화(剪燈新話)> 중 <금봉차기(金鳳釵記)>
(3) 정소동(程小東, 1953~)의 <천녀유혼(人+靑'女幽魂)>
3. 현실 극복의 한계
4. 나가는 말
본문내용
(1) 정광조(鄭光祖, ?~?) 중국 원나라후기의 잡극 작가. 관한경(關漢卿), 마치원(馬致遠), 백박(白樸)과 함께 ‘원곡사대가(元曲四大家)’라고 불린다.
의 <천녀이혼>

<천녀이혼>은 정광조의 대표작으로 원제는 <미청쇄천녀이혼(迷靑瑣倩女離魂)>으로, 남녀의 사랑을 다룬 연애 희비극이다. 이 극본은 당(唐)나라 진현우(陳玄祐)의 전기소설 <이혼기(離魂記)> 육조시대(六朝時代)의 지괴(志怪)소설에서 소재를 구하였으나, 괴이한 줄거리를 지양하고 강렬한 사랑에 초점을 맞춘 명작
에서 제재를 빌려 쓴 것인데, 정광조가 원작의 내용을 풍부하게 발전시켰을 뿐만 아니라 대담하게 봉건예교를 반대하고 열렬히 자유와 행복을 추구하는 천녀의 형상을 창조하였다. 이제 줄거리를 간략하게 보면, 다음과 같다.
왕문거(王文擧)라는 총각과 장천녀(張倩女)라는 아가씨는 부모의 언약으로 세상에 낳기 전에 정혼한 사이였다. 하지만 왕문거의 부모와 장천녀의 아버지가 모두 죽자, 천녀의 어머니는 문거가 아직 백수건달임을 이유로 결혼을 허락하지 않았다. 문거는 과거에 급제하기 위하여 서울로 올라가는데, 천녀는 상사병으로 앓다가 문거를 따라 서울로 올라가 함께 지낸다. 그 후에 문거와 천녀는 아들을 낳아 단란한 가정을 이룬다. 문거는 장원급제한 뒤 천녀와 함께 금의환향하여 천녀의 어머님에게 몰래 천녀와 상경한 것을 사죄하였으나 천녀의 어머님은 천녀는 문거가 떠난 이후로 계속 누워있었다고 말한다. 그 말에 놀란 문거가 밖에 있던 천녀를 데려오자 병상의 천녀와 합체하고, 두 천녀는 하나가 된다. 그렇게 해서 천녀의 어머님은 두 사람의 결혼을 정식으로 허락한다는 내용이다.
참고문헌
- 참고자료 -
http://blog.naver.com/jkyung26?Redirect=Log&logNo=40008575620
http://blog.naver.com/uuuau?Redirect=Log&logNo=40004064943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0670#02
네이버 백과사전
다음 백과사전
<중국문학사> 정범진, 학연사, 2003
<중국희곡통론>, 김정규, 명지대학교 출판부, 2000
자료평가
  • 자료평가0자료평가0자료평가0자료평가0자료평가0
  • 분량이 좀 부족하네요;;
  • chungong1***
    (2010.05.10 21:53:29)
회원 추천자료
  • [국문학] 바다에 대한 문학 주제학적 연구-초월과 현실의 양면성을 중심으로
  • 바다에 대한 문학주제학적 연구-초월과 현실의 양면성을 중심으로-1. 서론1) 문제제기 및 연구방법2) 바다의 상징성 및 고전문학에 나타난 바다의 전상2. 본론: 시대에 따른 바다 이미지의 변전 양상1) 고대~중세 작품에 나타난 바다의 이미지2) 조선시대 작품에 나타난 바다의 이미지(1) 초월적 이미지(2) 현실적 이미지3) 개화기~일제시대 작품에 나타난 바다의 이미지4) 현대 작품에 나타난 바다의 이미지(1) 현실적 이미지(2) 초월적 이미

  • 책의 역사 레포트
  • 중국을 비롯, 우리나라에서 불경의 편찬이 또한 국가적인 관심사였고 실제고 많은 불경들이 편찬되었다. 숭유억불 사상이 강조된 조선 시대에도 이러한 불경의 편찬이 수그러들지 않고 지속되었다는 사실만 보더라도 경전이 얼마나 중요시되었는지 알 수 있다. 결국 인쇄술과 책의 발달은 종교 서적으로 시작되어 찬란하게 꽃피게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요컨대, 책은 그 시대의 산물이며 그 사회의 메시지를 전하는 훌륭한 도구이다. 이러한 책

  • [국문학] 한국 문학으로서의 한국 한문학
  • 중국문학은 늘 우리문학의 원류였다. 그중 악부와 사・곡, 희곡은 대륙의 언성과 악률에 익숙하지 못한 우리로서는 익힐 수도, 향유의 필요성도 없어 창작되지 못했다. 때문에 우리 한문학의 범주는 시・부・소설・평론・수필에 국한될 뿐이었고, 언어와 풍습이 다른 남의 시가를 배워 재창작하기란 어려운 일이어서 언제나 유행의 뒤를 쫓을 뿐이었다.3. 시대별 개관1) 이식기의 한문학이식기란 한자의 전래와 그 한자에 의해 문학작품이 창작되고

  • 고전문학 -불교사상
  • 고전문학의 흐름 불교사상목차Ⅰ.서론Ⅱ.본론1.불교사상의 성격1)불교의 정의2)諸(제) 개념들의 관계2.불교유입배경소개3.한국불교사상특징과 불교문학4.불교문학의 역사5.시대별 불교의 특징1)삼국시대(1)고구려(2)백제(3)신라2)고려3)조선4)현대6.중국 불교사상의 특징과 불교문학1)중국 불교의 기원과 발견2)중국 불교사상의 전개3)중국의 불교문학7.한국, 중국, 일본의 불교사상 비교1)중국 불교의 특징2)한국 불교의 특징3)일본 불교의

  • [불교문학] 불교사상과 문학
  • 시대 불교문학의 전개삼국시대 우리의 불교문학의 전모를 알 만한 자료가 적기 때문에 자세한 것은 알 수는 없다. 단지 몇 편의 불교설화와 더불어 향가작품 여러편이 남아있을 뿐이다. 그러나 그 설화들도 고구려와 백제의 것은 극히 적어서 불교문화적인 성격을 파악하기가 힘들다. 오늘 신라 때의 불교설화만이 《삼국유사》에 많이 수록되어 오늘날까지 전해 오고 있다. (3) 고구려불교가 인도문화권을 넘어 중앙아시아의 사막지대와 중국대륙을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