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학] 국어의 문자와 훈민정음의 창제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9.11.09 / 2019.12.24
  • 20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목차

Ⅰ. 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문자 생활
1. 차자 표기법
1) 서기체 표기
2) 이두
3) 구결
4) 향찰

Ⅱ. 한글의 창제와 훈민정음
1. 창제 시기
2. 창제의 목적과 의의
3. 특징
4. 내용
1) 본문
2) 해례
3) 정인지의 후서(발문)
5. 제자 원리
1) 초성
2) 중성
3) 종성
7. 자모의 표기 방법
1) 병서법
2) 연서법
3) 부서법
4) 성음법
5) 방점
6) 발음법
7) 동국정운식 한자음

Ⅲ. 훈민정음 이후의 문자 생활
1. 월인천강지곡
2. 석보상절
본문내용
2) 이두(吏讀)

이두는 넓은 의미로는 한자차용표기법(漢字借用表記法) 전체를 가리키며 향찰(鄕札)ㆍ구결(口訣)및 삼국시대의 고유명사 표기 등을 총칭하여 향찰식 이두 또는 구결식 이두 등의 말로 쓰이기도 하나, 좁은 의미로는 한자를 한국어 어순에 따라 표기하면서 조사나 어미에 대응하는 요소도 넣어서 표기하는 방식이다. 이두는 가장 널리 알려진 용어인데, 吏書(이서-제왕운기), 吏札(이찰-동국여지승람), 吏道(이도-대명률직해), 吏讀(이두-최만리 상소문), 吏吐(이토-이문잡례(吏文襍例)), 吏頭(이두-유서필지(儒胥必知), 吏文(이문-전율통보(典律通補)) 등 다양하게 기록되었다. 그러나 ‘吏(이)’는 공통으로 사용되었는데 이서․이찰․이문은 관아의 서리 계층의 글, 행정 실무의 글을 뜻하고, 같은 용어인 이두는 이러한 글인 이문에 나타나는 토, 곧 구결에 주목하여 생긴 것으로 추측된다. 이렇게 이두는 이도(吏道), 이두(吏頭), 이토(吏吐), 이투(吏套) 등 여러 가지로 불리긴 했지만, 이들은 비슷한 의미를 가지는 말이다. 가장 처음 등장하는 말인 이도는 대명률직해(大明律直解)(1392) 발문에 나타난다. 또한 가장 널리 쓰이는 말인 이두(吏讀)는 세종실록(世宗實錄)所載 <훈민정음> 序에 처음 나타난다.
이두의 기원에 대한 정확한 의견을 정립되어지지 않았으나 대체로 7세기에 이두가 체제를 갖추었다고 본다. 설총이 이두를 창안한 사람이라는 설이 있으나 그가 살았던 시대보다 백여년 앞서 진평왕 13년(591)에 건립된 경주 남산신성비(南山新城碑)에서 이두식 표기의 흔적이 보임으로써 설총이 이두를 창안한 것이 아니라 집대성했다고 보는 시각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남산신성비보다 더 오랜 이두 금석문(金石文)으로는 평양성벽석각(平壤城壁石刻(446))과 은합간(銀合杆(451))이 전해진다. 이러한 이두는 6~7세기경 그 표기법이 고정되고 훈민정음이 창제된 뒤 쇠퇴하기 시작하였으나 소송문, 고시문, 보고서 등의 관용문에서는 조선후기까지 사용되었다.
참고문헌
김광해 외 4인. 「국어지식탐구:국어교육을 위한 국어학 개론」. 박이정. 서울. 1999,
이익섭. 「국어학개설」. 학연사. 서울. 2001
노대규. 「국어학서설」. 신원문화사. 서울. 1991
김슬옹. 「28자로 이룬 문자혁명:훈민정음」. 대한 교과서:아이세움. 서울. 2007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118332
청주 고인쇄박물관 http://www.jikjiworld.net
모도리가 떠나는 국어학과 국어교육 여행. 김혜숙. 월인. 서울. 2007
훈민정음-한글재단 http://www.hangul.or.kr/Main2.htm
훈민정음 창제과정 - 우리말 배움터 http://urimal.cs.pusan.ac.kr
디지털 한글 박물관 http://www.hangeulmuseum.org/
김슬옹. 「28자로 이룬 문자혁명:훈민정음」. 대한교과서. 서울. 2007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국어음운] 구개음화 연구
  • 국어학은 음성학, 문법론(다시 형태론과 통사론으로 나눈다), 의미론, 그리고 음운론의 갈래로 나눌 수 있는데, 구개음화는 문법적으로 표기 시에는 실상 살펴볼 수 없지만 말을 하는 과정에서 일어나게 된다. 1988년에 문교부가 교시한 한글 맞춤법과 관련하여 구개음화의 표기법에 관해서는 뒷부분에서 자세히 언급하기로 한다. 이러한 예는 중국 언어의 유입으로 인하여 훈민정음이 창제된 직후에 구개음화가 발현되지 않다가, 한글을 문자로 받아들

  • [고전문학사] - 용비어천가 분석과 문학사적 의의
  • 훈민정음이 창제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제작되었으므로 국어의 발달 및 과정사를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로써 큰 의미를 띄고 있다. 또한 용비어천가는 후에 월인천강지곡이라는 또 다른 악장 작품이 탄생될 때 형태적으로 모범이 되어 제작에 디딤돌 같은 역할을 하였다. 2. 나의 견해‘용비어천가’는 조선 건국을 찬양하기 위한 악장가사다. 본 논문을 쓰기 전까지 내가 이 작품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던 것은 이 정도 뿐이었다. 하지만

  • 훈민정음에 대한 나의 견해
  • 국어음을 표기의 문제는 수단과 결과이지 목적이 아니라는 것이다. 2. 국어학적 중심의 훈민정음 해석1)어제서문을 중심으로훈민정음 창제 목적은 훈민정음 어제 서문에 드러나는 문헌적 근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①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서 문자가 서로 통하지 않는다②어리석은 백석이 그 뜻을 펴지 못한다. ③세종 자신이 그러한 것을 불쌍히 여겨 쉽게 익힐 수 있는 문자를 만들었다. 위의 어제서문을 바탕으로 훈민정음의

  • [국어사] 훈민정음 창제 이전 표기법의 효용성, 혹은 주변국과의 언어적 관계에 대하여
  • 정음 창제 이전 표기법의 효용성, 혹은 주변국과의 언어적 관계에 대하여1. 서론2. 본론2.1. 훈민정음이 창제되지 못한 이유2.2. 창제 이전 표기법과 발전 가능성2.2.1. 향찰(鄕札)2.2.2. 이두(吏讀) ․ 구결(口訣)2.3. 주변국과의 언어적 관계2.3.1. 중국의 경우 - 한자의 사용2.3.2. 일본의 경우 - 일본어의 사용3. 결론1 . 序 論「한글이 없었더라면 우리는 지금 어떤 言語를 使用하고 있을 것인가?」라는 의문은 국어학에 조금이라도 관심을 가진 사람이라

  • 한글의 창제에 대하여
  • 한글의 창제에 대하여Ⅰ. 들어가며한글은 우리가 과거를 알게 해주는 중요한 통로를 제공해 준다. 이것은 문학을 공부하는 우리에게 여간 고마운 것이 아닐 수 없다. 나는 그렇게 고마운 훈민정음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을까? 그저 우리 나라의 국어라는 것 밖에는 별로 아는 것이 없어 스스로 내 자신을 반성하며 우리의 한글 즉, 훈민정음에 대해서 창제된 것부터 알아야 겠기에 여기 저기에서 자료를 모으기 시작했다.한글은 다른 문자들과 다른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최근 판매 자료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