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강독] 석보상절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9.06.15 / 2019.12.24
  • 17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7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석 보 상 절
안팟기  가 허므리 업고 光明이 크며 功德이 노파
븘비로 莊嚴호미 日月라와 느러 「日月은 리라
어드 衆生도 다 고 어더 조초 이 긔호리라.
第三 大願은 來世예 菩提 得 時節에 無量無邊智慧 方便으로
믈읫 有情의 거시 다 낟 줄 업긔호리라.
第四 大願은 내 來世예 菩提 得 時節에
다가 有情이 邪曲 道理 行리잇거든
다 菩提 道中에 便安히 잇긔며
다가 聲聞辟支佛乘 行 사미 잇거든「 聲聞辟支佛乘 小乘 中乘이라」
다 大乘로 便安킈 호리라.
第五 大願은 내 來世예 菩提 得 時節에
다가 無量 無邊 有情이 내 法中에 修行리 잇거든
다 이저디디 아니 警戒 得며 三聚戒 게 호리라.
「三聚戒 세 가지 모 警戒니 나 法을 가졧 警戒니
모딘 이 그치틸씨오 둘흔 됴 뎌글 가졧 警戒니
됴 이 行씨오 세흔 衆生 가졧 警戒니
慈悲喜捨로 有情을 利樂긔 씨니
이 戒 諸佛 菩薩이 修行시논 즈길히라. 喜 깃블씨니 」
衆生 즐겁긔  씨라 捨 릴 씨니 내 恩惠 려 衆生 줄 씨라
비록 그르야 지 이리 이셔도 내 일후믈 드르면
도로 淸淨을 得야 모딘 길헤 아니 러디게 호리라
第六 大願은 내 來世예 菩提 得 時節에 다가 믈읫 有情이
모미 사오나 諸根이 디 몯야 미혹고
種種 受苦 病얫다가 내 일후믈 드르면 다 智慧 잇고
諸根이 자 病이 업게 호리라
第七 大願은 내 來世예 菩提 得 時節에 다가 믈읫 有情이
病야 이셔 救리 업고  업거든 내 일후믈 귀예  번 드러도
病이 업고 世間애  거시 며 無上 菩提 證호매 니를의 호리라
第八 大願은 내 來世예 菩提 得 時節에 다가 겨지비
겨지븨 온가짓 어려 이리 다와다  싀틋야
겨지븨 모 리고져 거든 내 일후믈 드르면
다 남지니 외야 無上 菩提 證호매 니를의 호리라
본문내용

석 보 상 절


三十二相 八十種好로 모 莊嚴야
(=삽십이상 팔십종호로 몸을 장식하여)

▶三十二相 : 삼십이상(32상) ,부처의 몸에 갖춘 32가지의 독특한 상

▶八十種好로 : 팔십종호로, 팔십수형호[부처의 몸에 갖추어져 있는 미묘하고 잘생긴 여든 가지 상(相)]로

▶모 : 몸을
; 몸(체언) + 

▶莊嚴야 : 장식하여
; 장엄++야(형태론적 교체)


一切 有情이 나와 다디 아니케 호리라.
[=일체 중생(유정)이 나와 다르지 않게 할 것이다.]

▶一切 : 일체

▶有情이: 유정(뜻있는 중생)이

▶나와: 나+와

▶다디 아니케 호리라 : 다르지 않게 하리라
; 다+디>다르지(구개음화)
; 아니++게
; +오(선어말어미, 주어 1인칭)+리(미래시제선어말어미)+다(→라)


第二 大願은 내 來世예 菩提 得 時節에 모미 琉璃야
[=두 번째 서원(제2대원)은 내가 다음 생(내세)에 보리를 얻은 때(보제득한 시절)에 몸이 유리와 같아)

▶第二 大願은 : 제2 대원 , 두 번째 큰 서원은
; 서원 → <불교> 원(願)을 세우고, 그것을 이루고자 맹세하는 일.

▶․내 : 내가
; 나(1인칭대명사) +ㅣ(주격 조사)
; 대명사 ‘나’는 주격과 관형격의 형태가 같으나 성조에서 구별이 됨. 주격으로 쓰일
때는 거성으로 나타나고, 관형격으로 쓰일 때는 평성으로 나타남.

▶來世예 : 내세에
; 來世(솅) + -예(처소부사격조사)
; 내세→ <불교> 삼세(三世- 전세, 현세, 내세) 의 하나. 죽은 뒤에 다시 태어나 산다는 미래의 세상을 말함

;처소부사격조사의 이형태
① 애: 양성모음 뒤 예) 해(ㅎ+애)
② 에: 음성모음 뒤 예) 굴허(굴+에)
③ 예: ‘ㅣ’를 가진 모음 뒤 예) 예(+예)

▶菩提 得 : 보제 득한 ,보제(보리)를 얻은
; 菩提 + 得++ㄴ(관형사형어미)
; 보제(菩提, 보리)→ 불교 용어로서, 도(道)·지(智)·각(覺) 등으로 번역되는 말 로, 세속적인 번뇌를 끊고 얻는 깨달음의 경지에 이름(깨달음을 얻고 극락왕 생하는 일을 말함)

▶時節에 : 시절에

▶모미 : 몸이
참고문헌
1. 국립국어원 홈페이지(http://www.korean.go.kr)
2. 『역주석보상절』,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1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중세국어] 석보상절 19b~22b
  • 석보상절19b-22b19b威ᅙᅱᆼ嚴ᅌᅥᆷ과 德득괘 自ᄍᆞᆼ在ᄍᆡᆼᄒᆞ야위엄과 득이 자재하여德괘 : 德 + 과(접속조사) + 이(주격조사)自在ᄒᆞ야 : 自在 + -ᄒᆞ-(형용사 파생 접미사) + -아(연결어미, >야)無뭉量랴ᇰ 百ᄇᆡᆨ千쳔 有우ᇢ情쪄ᇰ을 十씹善쎤 십선(十善) : 십악(十惡)을 행하지 않음. 불살생(不殺生), 불투도(不偸盜), 불사음(不邪淫), 불망어(不妄語), 불기어(不綺語), 불악구(不惡口), 불양설(不兩舌), 불탐욕(不貪慾

  • [국어사시대구분방법]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우리말의역사)
  • 국어사 연구 방법2. 국어의 계통1) 국어의 계통에 대한 제학설① 북방계설(알타이 계통설)② 남방계설(드라비다어 계통설)③ 한일어 동계설2) 국어의 형성① 부여계 제어 ② 한계 제어3.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1) 학자들의 견해2) 5분법을 통한 국어사 시대구분① 고대 국어(고대 ~ 통일 신라 말, 고대~ 10세기 이전)② 전기 중세 국어(고려의 건국 ~ 조선의 건국, 10세기 초 14세기 말)③ 후기 중세 국어(조선의 건국 ~ 임진왜란, 15세기 ~16세기 말)

  • [국문학]월인석보의 분석과 원문강독
  • 석보상절 을 합편하여 1549년 (세조 5)엥 간행한 책으로 전 25권의 목판본이다. 원래 석보상절(釋譜詳節, 1447) 은 소헌왕후(昭憲王后) 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세종의 명으로 세조가 수양대군 시절에 석가모니의 일대기를 엮은 책이고,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1447) 은 세종이 이를 보고 석가의 공덕을 칭송하여 읊은 찬불가 집이다. 15세기국어의 대표 자료로 이용되고 있는 석보상절 월인석보 원간본의 간행 연대는 책의 서문이 쓰여진 연대를 기

  • [중근세어] 사라진 우리글의 흔적 - 방점
  • 국어연구원(www.korean.go.kr), 1996 국어의 시대별 변천 실태 연구, 1 : 중세국어네이버 지식 N http://100.naver.com/100.nhn?docid=71737표준 중세국어 문법론, 고영근, 탑출판사. 1994 『15世紀 國語의 四聲體系와 傍點에 대한 硏究』, 김영국, 경기대학교, 1993『국제학술대회 Vol- No.10 2003』中 「傍点과 聲調에 관하여」, 郭秋雯 중한인문과학연구회< 개 요 >Ⅰ. 서론Ⅱ. 본론1. 네가지 성조2. 에서 본 방점의 사례3. 성조의 소멸- 방점의 폐기Ⅲ. 결론* 참

  • [국어학] 중세국어사 연구
  • 중세국어1> 불교 관련 한글 자료1. 원문2. 개관세종 28년 3월에 소헌왕후 심씨께서 돌아가시자, 그의 명복을 빌기 위해 수양대군에게 석가세존의 윤회기를 짓도록 명하여 만들어진 책이 이다. 은 총 24권으로 추정하고 있다. 은 훈민정음이 반포된 뒤에 간행된 최초의 한글 전기문학으로 15세기 국어를 연구하는 데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은 석가세존의 일생뿐 아니라 전생의 일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