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 석보상절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2.12.06 / 2019.12.24
  • 12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7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석보상절 본문】
【참고문헌】

본문내용
【석보상절 본문】

23-a


香향 고 조 옷 닙고  업슨 과 嗔친心심 업슨  내야
향 바르고 깨끗한 옷 입고 때(가) 없는 마음과 진심(이) 없는 마음을 내어


*  업슨 :  + ø (주격 조사) v 없- + 은 (관형사형 어미)



一切촁 有情에 利링益며 安樂락며
일체 유정에게 이로우며 안락하며


* 有情에 : 有情 + 에 (부사격 조사)
* 利링益며 : 利링益 +  (형용사 파생 접미사) + 며 (연결 어미)



협) 安樂락 便변安코 즐겁을 씨라
안락은 편안하고 즐거운 것이다.


* 便변安코 : 便변安 +  (형용사 파생 접미사) + 고(연결 어미)
* 즐겁을 씨라 : 즑- + 업 (형용사 파생 접미사) + 을(관형사형 어미) v  (의존 명사) + ㅣ (서술격 조사) + 라(평서형 종결 어미)
참고문헌
고영근·남기심, 『중세어 자료 강해』 , 집문당, 1997.
고영근, 『표준 중세 국어 문법론』, 집문당, 2010.
안병희·이광호,『중세국어문법론』, 학연사, 1990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국어통사의미연구] 중세국어의 부정법
  • 중세국어의 부정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Ⅱ. 중간Ⅱ-1. 아니(안) 부정문아니 부정문은 체언부정문과 용언부정문으로 구분된다.(1)은 체언(명사)부정문이다.(1)(가)이다 우리 허므리라 世尊ㅅ 다시 아니시다싶힝다 (법화경언해 권2, 5장)(나)妙法이 둘 아니며 세 아닐아 (석보상절 권13, 48장)(다)오다날 힝 아니라 (월인천강지곡, 기 180)(라)힝나 아닌 거귀 둘 아닌 고딪 빛길아 (월인석보 권8, 30장)체언부정문은 명사 아니에 서술격조사

  • [중세국어] 석보상절(13a - 15b)
  • 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어(연결어미)布봉施싱 즐겨 뒷논 거슬 앗기디 아니야 보시를 즐겨 두고 있는 것을 아끼지 아니하여앗기디 : 앗기-(아끼다) + -디 (연결어미)뒷논 : 두- + -어(보조적 연결어미) v 잇- + --(현재시제 선어말어미) + -오- (대상활용) + -ㄴ(관형사형 어미)※ ‘-어’와 ‘잇-’의 결합형인 ‘-엣-’이 ‘-잇-’으로 바뀜 고영근남기심, 『중세어 자료 강해』, 집문당, p. 197머리며 누니며 손바리며 모맷 고기라도 머리며

  • [중세국어] 석보상절 제 9 10a-12b
  • 1) 이셔도 : 이시+어도(연결어미) 2) 如來ㅅ : 如來 + ㅅ(관형격조사)즉자히 즉자히 : 즉시뎌셔 업서 도로 人間간애 나아 惡趣츙의 受苦콩해석 : 즉시 저에서(저승에서) 없어져 도로 인간에 나아 악취의 수고강규선황경수, 『중세국어문법론』, 청운, 2003.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2010.김석득, 『역주 석보상절』,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1안병희, 『중세국어문법론』, 두산동아, 1999.

  • [국어국문학] 중세 국어-석보상절 9_16~19
  • 輪王(윤왕) : 윤보(輪寶)를 굴리면서 사대주를 거느리는 대왕.이 외야 四天텬下 四天下(사천하) : 금륜성왕이 거느리는 사대주. 거느려해 석 : 윤왕이 되어서 사천하를 거느려< 형태소 분석 >1) 외야 : 외- + 야(연결 어미) 참고 문헌 고영근(1987/2010),『표준 중세 국어 문법론』, 집문당.고영근(1995),『단어, 문장, 텍스트』, 한국문화사.고영근남기심(1997),『중세어 자료 강해』, 집문당.안병희(1990),『중세 국어 문법론』, 학연사.

  • [중세국어강독] 석보상절
  • 호리라(=다 남자가 되어 무상의 보제를 깨닫게 하여 이르게 하리라.)▶남지니: 남자가; 남진(男子) + ㅣ(주격조사); 남진 →국어사 자료에서 ‘남진’이 소급하는 최초의 형태는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나타나는 ‘남진’인데, 이 말은 ‘여인(女人)’의 반대말인 한자어 ‘남인(男人)’에서 온 말이다.▶외야: 되어; 외 +아(연결어미) > 외야 ■참고문헌1. 국립국어원 홈페이지(http://www.korean.go.kr)2. 『역주석보상절』,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1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