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일본어학] 소재성용어 「はは」의 성립 과정에 대해-일어논문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4.08.13 / 2019.12.24
  • 22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97)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4,3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はじめに 2

1.「ママ」の語源 4
2. 言葉發達の共通点 5
3. Babbling 6
4. 「はは」という用語は奈良時代から始まる7
 ⑴「おかあさん」の語源 8
 ⑵古代日本語での「ママ」の意味 9
5. なぜ「はは」なのか 10
6.發音の 化によって「はは」になる 11
 ⑴[はは]の[h]の特徵 13
 ⑵古代日本語のハ行の發音はどうだったのか 14
 ⑶唇による調音 15
 ⑷「はは」という用語は「ママ」から派生した 16

おわりに
본문내용
はじめに

日本では自分の「母親」を他人に紹介するとき,「母親」のことを「はは」と言っている.「はは」という言葉は『廣辭苑』(第5版,1999)によると,「おんなおや.子のある女.母親.また,配偶者の母をいう」と書いてある.つまり,自分の母親のことを「お母さん」と呼 するのに對して子どものいる女性,あるいは自分の母親のことを表わし,指し示す言葉(以後「指 語」と する)である.
朴春植(1986)によると,世界の「母親」を表わす言葉はほとんど[m]という音で始まるが,日本語の場合は例外であると言われている.
 各國の言葉は系統によってさまざまな特徵を持ち,違いがある.それにも關わらず,自分の「母親」を指し示す言葉には共通的に[m]という音が入るということは不思議なことである.─世界各國のすべての言語とは言えないが─もちろん,なぜ日本語はそうではないかということも不思議である.
 そして[m]という音のある「ママ」は子どもも發音しやすいが,「はは」というのはそうではないと思われる.子どもは「マ」といった唇音をよく口にすることでも分かるだろう
日本の歷史ドラマをよく見ると3,4歲でしか見えない子どもが「ははうえ」と言い,「母」のことを言うときは,なぜかはっきり發音できないということに氣づくことがある.發音をはっきりしようと子どもは頑張っているかも知れないが,そうすればするほど呼吸が不安になり,見ている者も不安になる場合があるのである.だから結構,苦勞していることと思われる.まだその言葉を口にするのに幼いだろうと思いながら,そうするとどうして「母」を「ははうえ」と呼んでいたのだろうと知りたくなる.
 今は,「おかあさん」や「ママ」といった言葉があって幼い子どもも「母親」のことをよく口にするようになり,言うのに苦勞はあまりないのではないかと思われるが,これを考えていると,なんか昔の子どもがかわいそうにも思われる.やっと步けるようになった子どもが「
참고문헌
『日本語百科大事典』,大修館書店,1988
山口佳紀,『暮らしのことば,語源辭典』,講談社,2001
佐藤美智代,『日本語の源流』,靑春出版者,2002
今田滋子,『日本語の發音』,學士院,1989
Peter A. Jill G. De Villiers,곽영덕譯,『乳兒初期言語學習』,學文社,1995
구희상,『英語音聲學』,韓國文化社,1998
문영일,『音聲と言語』,靑佑 ,1991
朴春植, 『兒童言語敎育』, 學文社,1986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경성제국대학연구
  • 과정은 고등학교의 1학년 과정을 생략한 2,3학년 교육과정과 대체로 동일하였지만 1년이라는 공백은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절대적인 시간부족을 초래했다. 일본 본국의 고등학교가 갖는 특성 중의 하나가 강도 높은 외국어 학습에 있다는 점을 미루어 볼 때, 경성제국대학 예과2년제는 결정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셈이었다. 예과의 수업에서 외국어 학습의 시간부족은 교수는 물론 학생에게도 심각하게 느껴졌던 문제였다. 한 졸업생은 “독일어는

  • 북한이탈주민의 자기규정 양상에 대한 소고 - 자문화기술지(autoethnography) 텍스트로서의 『금희의 여행』 분석을 중심으로
  • 과정을 거치지 않은 북한이탈주민의 글, 그리고 북한이 아닌 다른 외국에서 온 해외 이주자들의 글, 해외로 이주한 남북한 출신자들의 글, 남한 사회의 다양한 소수자들의 글 등등 여러 가지 차원의 텍스트들이 비교연구된다면 보다 풍성한 결과에 이를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나 이 글은 자문화기술지의 시각을 북한이탈주민 텍스트에 적용해 본 시험적인 첫 시도인 만큼 하나의 텍스트로 분석 대상을 제한했다. 그리고 연구 대상 텍스트의 폭을 넓히는

  • 1960~80년대 대한 국교육
  • 논문)김성열(1993), 1980년대 ‘교육민주화운동’ 주도 교사들의 정책주장과 논리 구조, pp.9~38: 교육이론과 실천, Vol. 11 (1993)김병욱(2002), 교사의 집단적 행동의 동인과 그 형성과정의 특성 분석, pp.63~80: 교육사회학연구, 제 12권 제 2호 (2002)강창동(2002), 한국의 교육문화사, 문음사, 제5부 근ㆍ현대 교육문화의 전개와 특성교육신문사(1999), 한국교육100년사 : 1880-1999, 교육신문사, v.1 교육사건편전국교직원 노동조합(1990), 한국교육운동백서, 서울:풀빛정

  • [실내공간 디자인의 이해] 실내공간 디자인의 이해
  • 과정에서 긍정적인 합의점을 찾기 쉽게 하고, 추후에 유지관리에서도 유리한 점들을 확보한다. 3) 인체공학인간이 만든 모든 실내 공간은 쓰임새를 전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실내 디자인은 인체를 적용하여 공간을 인간화 시키고자 하는 학문이다. 때문에 창의적인 모든 공간은 반드시 인간적인 이해로부터 출발하여야 하고 물리적인 특성을 바탕으로 형태학, 심리학, 지각론도 참고하여 커다란 기준을 만들어야 한다. 쓰임새를 객관적으로 평

  • [국어] 문법교육의 연구동향과 발전방향 -문법교육의 필요성과 초등문법교육의 비판과 개선을 중심으로
  • 대해 살펴 본 것들을 제시하면서 각각의 용어에 대한 고찰과 함께 문법교육의 의의, 그리고 문법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바에 대한 견해들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전통적인 국어과 교육에서는 교육 내용을 ‘언어사용, 언어, 문학’이라는 세 개의 영역으로 구분해 왔다. 그 가운데 ‘언어’는 ‘언어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의미하는 것으로, 제7차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국어과 학습 영역의 한 부분으로 들어오게 되었다. 이 영역은 제4차 교육과정부터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