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시민과 한국의 NGO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10.05 / 2019.12.24
  • 22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1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서론


Ⅱ. 기업시민정신에 관한 이론적 고찰

1. 기업시민정신의 정의와 특성
1) 기업시민정신의 정의
2) 기업시민정신의 특성
2. 선행연구


Ⅲ. 기업과 NGO의 관계
1. 기업과 시민정선
1) 기업시민정신의 유형
2) 기업시민정신과 경영성과
3) 기업시민정신과 사회공헌 의식
2. 사회적 책임과 기업과의 관계
1)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기업시민행동
2)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기업시민성
3. NGO와 기업관계
1) 기업에 대한 NGO의 도전
2) NGO에 대한 기업의 대응
3) 기업과 NGO 교환관계


Ⅳ. 결론

본문내용
2) 기업시민정신의 특성

앞에서 설명한 기업시민정신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았다. 그렇다면 기업시민정신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기업시민정신의 특성에 대해 많은 학자들은 다양한 의견들을 제시하였다.
우선 Jeurissen(2004)은 기업시민정신의 특성을 시민정신의 특성과 구분하여 다음과 같이 비교하여 설명하였다.
시민정신의 특성
기업시민정신의 특성
• 사회적 계약
(Social contract)
• 집단적 책임
(Collective responsibility)
• 능동적 책임
(Active responsibility)
• 사법적 지위
(Juridical state)
• 기업의 사회적 계약
(Social contract of business)
• 제도적 책임
(Institutional responsibility)
• 예방적 원칙
(Precautionary principle)
• 국제적 관례
(Just international institution)

자료: Ronald, Jeurissen.(2004), "Institutional Conditions of Corporate Citizenship",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 53, p. 89.

또한 미국의 보스턴 대학 기업시민정신 센터(The Center for Corporate citizenship at Boston College)에서는 기업시민정신의 본질적 특성 및 핵심 원칙으로 다음의 4가지 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본질적 특성 및 핵심원칙
내용

손해의
최소화
기업의 영업활동 및 의사결정시 이해관계자에 대한 부정적 영향이 최소화 되도록 수행해야 한다는 원칙
윤리적 운영, 인권옹호, 환경적 재해 방지, 우수한 공급자 관리의 강제, 책임 있는 종업원 대우, 고품질 제품의 보증 등
후생의
최대화
기업의 주주를 포함한 폭넓은 이해관계자에 대하여 후생활동의 개선 및 최대화를 위한 투자재원의 사회적, 경제적 참살이(well-being)에 기여해야 한다는 원칙
교육, 건강, 청년성장발전, 사회적 문제해결을 돕기 위한 자발적 참여, 고용안정, 공정임금 등
핵심 이해관계자에 대한 책임성 제고
기업의 윤리적 경영과 투명경영의 실천, 실패에 대한 공개, 관련된 신뢰를 구축해야 한다는 원칙
기업지배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청취, 제3자에 의한 사회보고서의 제작, 윤리강령의 공포 및 실천 등
안정된 재정적 성과지원
기업의 이해관계자에 대하여 안정적 이익의 환원 및 재정적 성과지원에 기여해야 하며, 이는 반드시 사회에 대한 책무의 한 부분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원칙




참고문헌
주성수. 2003. “기업시민정신과 NGO" 아르케

위평량. 2008, “公益과 私益, 그리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의 관계”, NGO연구 제6권 제1호 pp 71~103

이수정, 윤정구. “기업시민행동과 조직시민행동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지은실. 2007. “기업시민정신의 특성 및 외국기업의 실천현황에 대한 연구”

이덕로, 최숙희. “기업-NGO 파트너쉽의 현황과 전망 : 유한킴벌리”

허갑수, 변상우. 2006. “윤리경영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 있어서 신뢰의 역할”, 인적자원관리학회,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3권 제1호 pp 85~101

허영식. 2009.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기업시민성”. 한독사회과학논총 제19권 제2호

장임숙. 2005. “NGO와 기업간 관계의 유형화: 식품안전사고를 둘러싼 환경운동연합과 CJ(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2005년도 하계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 317~340.

김회성, 박기태. 이명진. 2009. “기업 사회공헌 결정요인의 시기별 변화에 관한 연 구: 1990년대 초반 이후 기업의 기부금 규모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 43집 4호 pp.1~36.

전국경제인연합회 사회공헌팀. 2001. “사회공헌활동에 관한 기업인 및 국민 의식 조사”

전국경제인연합회 홈페이지(http://www.fki.or.kr/Main.aspx)

Thielen, Paula.(2005), "Good Corporate Citizenship: A Delphi Study defining the key aspects according to the business and academic communities", California: fielding graduate institute Ph.D dissertation.

Goddard, Trevor.(2005), "Corporate Citizenship and community Relations: Contributing to the Challenges of aid Discourse", Business and Society Review vol 100:3.

Grey, F Norwood.(1968), "Corporate Citizenship conceptually defined", University of Oklahoma, Ph.D dissertation.

Waddock, Sandra.(2003), "Editorial: making corporate citizenship real", Journal of corporate citizenship, 9 spring.

Altman, B. W. & Widaver, D. C(2000), "Corporate citizenship and the new millennium", Business and Society review vol 105.

Friedman, A, L. & Miles, S. (2006), "Stakeholders: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Carroll, A. B. (1979),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 4, pp. 497-505.

Matten, D. & Crane, A. (2005), "Corporate citizenship: toward an extend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 1, pp. 166-179.

Gardberg, N. A. & Fombrun, C. J. (2006), "Corporate citizenship: creating
intangible assets across institutional environment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1, 2, pp. 329-346.

Schwartz, M. S. & Carroll, A. B. (2008), "Integrating and unifying competing and complementary frameworks: the search for a common core in the business and society field", Business & Society, 47, 2, pp. 148-186.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시민사회] 21세기 한국 기업의 사회 공헌활동과 NGO
  • 제4장 시민사회의 시민운동주 제 : 21세기 한국 기업의 사회 공헌활동과 NGO목 차1. 민주화 운동을 통한 한국의 시민사회 형성과정(1) 시민사회의 성립에 대한 세 가지 관점(2) 한국에서 시민사회의 뿌리는?2. NGO의 개념(1) NGO의 개념(2) 한국 NGO에 대한 정의3. 한국의 NGO 활동 사례 (1) 환경NGO : 환경운동연합(2) 인권NGO :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3) 소비자 부분 NGO : 한국소비자연맹(4) 정치개혁을 위한 NGO : 참여연대(5)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사례4.

  • [학사] [행정] 한국 NGO의 현황과 문제점 및 발전방안
  • NGO회원의 직업구성 11 한국 NGO의 운동방식의 비교 12 한국 NGO의 상근자 현황 15 참여연대 상근자들의 소속동기 16 참여연대 상근자들의 급여수준과 복지수준에 대한 만족도 17 참여연대 상근자들의 교육기회 제공 및 계획 17 한국 NGO의 예산규모 현황 18 한국 NGO의 재정수입 현황 19 경실련과 참여연대의 예산비교 19 정부의 NGO에 대한 사업지원금액 21그림 목차 정부, NGO 기업, 시민간의 관

  • [NGO] 북한인권시민연합
  • 목 차1.연구주제 1) NGO이론① 개념② 연구방법③ 발달배경④ 목적⑤ 활동 ⑥ 기능,역할⑦ NGO와 민주주의2) NGO 관리① 한국에서의 현황② NGO의 조직관리와 기구③ 재정 충원 방법④ 기부금 모금 방법3) 정부,기업과의 관계① 정부와의 관계② 기업과의 관계4) 시민운동① NGO 지도자의 시민운동 참여과정 ② 대안 문화 운동③ 인터넷과 NGO5) NGO와 국제활동국내외 연대활동6) 자원봉사활동① 소모비용② 자밣성의 여부2. NGO연구의 기타주

  • 시민사회 레포트
  • 시민의식을 표출하고 시민사회가 성립하는데 일조하였습니다. 87년 독재정권이 끝난 뒤부터 시민사회가 본격적으로 등장하였다고 보는 의견이 대다수이며, 환경, 인권향상, 부패 방지 등에 대한 시민단체가 우후죽순으로 생겨나면서 시민사회발전에 더욱 박차를 가하게 되었습니다.III. 국가와 시장과 시민사회 1. 현대사회에서 요구되는 NGO의 역할에 대한 개괄NGO는 시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공익을 추구

  • [비영리조직경영론] 비영리조직의 특징, 법률적관점 경영적관점
  • 시민들의 일상적 권리를 획득하고 확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NGO는 현대사회에서 국가가 지니는 한계를 극복하여 각종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고 국제문제의 평화적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다.다음은 NGO에 대한 개념이해와 규모, 법률 및 경영적 관점에 대해 이론적 설명 및 사례 예시를 통해 이해 하고자 한다. Ⅱ. NGO 란 무엇인가1.NGO의 개념비영리조직체란 영리를 추구하지 않는 조직체이다. 영리조직체에 대해 비영리조직체는 비기업(nonbusiness), 비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