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대사] 명성황후와 을미사변 에 대해서(조선측입장)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5.04.06 / 2019.12.24
  • 6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97)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1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들어가는 글

본문

명성황후의 탄생과 책봉

대원군과의 갈등

정권 장악과 친정외교(親政外交)

두 세력간의 다툼

명성황후 시해사건, 을미사변(조선측 입장)

결론 - 명성황후의 죽음은 조선의 죽음이었다.

참고자료

본문내용
명성황후의 탄생과 책봉
명성황후 민씨(明成皇后 閔氏)는 1851년 9월 25일 경기도 여주에서 출생하였으며 본관은 여흥(驪興), 이름은 정호(貞鎬)이다. 아버지 민치록(閔致祿)은 민씨가 아홉 되던 해에 세상을 떠났으며, 1남3녀의 형제가 있었으나 모두 죽어 외동딸로 자랐다. 고아가 된 민씨는 숙종의 계비 인현왕후 민씨가 궁궐에서 쫓겨나 몇 년 간 근신하며 지냈던 감고당(感古堂)에서 후처였던 어머니 한산 이씨와 둘이서 살게 되었다. 열여섯 살이 되던 해 한 살 아래였던 고종(高宗)과 가례를 올려 왕비로 책봉되었다.
그녀가 왕비로 책봉될 수 있었던 가장 큰 요인은 고아였기 때문이었다. 19세기 전반 안동김씨(安東金氏)와 풍양조씨(豊壤趙氏)의 세도정치 하에서 파락호 생활을 하며 날개를 펼 기회를 기다리던 흥선군 이하응은 철종이 병이 들어 죽을 날만 기다리게 되자 신정왕후 조씨(神貞王后 趙氏)에게 접근하여 둘째아들인 명복으로 하여금 왕실의 후사를 잇게 하였다.
흥선대원군은 누구보다 왕실 외척들의 전횡으로 피해를 본 인물이었기 때문에 왕비, 즉 며느리를 선택할 때 신중을 기했던 것으로 보여진다. 대원군이 정한 왕비 간택의 조건은 명문가 출신이되 현재는 친정이 미약하거나 고아여야 한다는 것이었다. 민치록의 딸을 추천한 인물은 흥선대원군의 아내 부대부인 민씨(府大夫人 閔氏)로, 민치록과는 상당히 먼 인척관계였다. 민씨는 태종비 원경왕후(元敬王后)와 숙종비 인현왕후(仁顯王后)를 배출한 명문가 출신인데다가 고아라는 의미에서 바로 대원군이 찾던 최고의 자격을 갖춘 며느리 후보였던 것이다.
참고문헌
『명성황후시해와 아관파천』, 이민원, 국학자료원, 2002
『명성황후와 대한제국』, 한영우, 효형출판, 2001
『조선의 왕비』, 윤정란, 차림, 1999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사학] 친일파 99인 자료
  • 에 기여한 노회한 정객 조중응 친일의 길이라면 물불 가리지 않았던 매국노 장석주 이토 동상 건립추진운동의 주동자 조희연 일본군의 조선침략에 앞장 선 군무대신 윤치호 2대째 일본 귀족으로 입적한 귀화한 일본인 정란교 박영효의 심복으로 친일 쿠데타의 돌격대 신응희 31 운동의 무력진압 건의한 황해도 지사 이규완 참정권 주장의 선구자 을미사변 관련자 이주회 동학농민군 진압한 명성황후 시해 주범 이두황 이토 히로부미의 총

  • [역사]명성황후
  • 을미사변ⅷ 명성황후의 정치적 역할2. 고종과 명성황후3. 지나친 민족주의적 시각으로 본 명성황후Ⅴ 현대사회와 명성황후1. 문학작품에 나타나는 명성황후2. 티비 드라마 명성황후 그리고 2001년 한국Ⅳ 글을 마치며Ⅰ 왜 명성황후인가명성황후에 대해서는 그의 사후 지금까지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기울여 왔고 최근에는 문학작품이나 뮤지컬, 심지어는 티비 드라마에서까지 다루어져 그 관심이 고조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명성황후에 대한

  • 일제의 역사왜곡과 편견 명성황후
  • 명성황후에 대한 역사적 평가1. 식민사관ⅰ『한국의 병합과 국사』ⅱ『조선통사』ⅲ『李朝 五白年史』ⅳ 그 밖의 책2. 해방이후2-1.명성황후와 대원군Ⅳ 식민사관 극복을 위한 시도로서의 명성황후 연구1. 개화기 명성황후 민비의 정치적 역할 재해석ⅰ 대원군과 민비의 관계ⅱ 고종과 민비의 관계ⅲ 민비(閔妃)와 민씨 척족 세력(閔氏戚族勢力)ⅳ 임오군란ⅴ 갑신정변ⅵ 동학 농민 혁명과 갑오개혁ⅶ 을미사변ⅷ 명성황후의 정치적 역할2

  • [한국민족운동사] 고영근과 우범선
  • 을미사변의 발단 및 영향3우범선의 삶4고영근의 삶■맺 음 말□ 머 리 말우리는 지금까지 한민족의 유구한 반만년 역사를 배워 오면서 끊임없는 전쟁이나, 큰 영향을 끼친 역사적 사건, 그리고 위대한 업적을 남긴 인물 등을 중심에 놓고 공부했다. 그 속에서 당 시대를 살아가던 평범한 개개인의 존재는 생각해 볼 여유가 많지 않았으며, 역사라는 장대한 흐름 속에서 개인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깊이 고민해보지 않았던 것이

  • [역사]삼국간섭과 명성황후 시해사건
  • 에 대해 여러 견해가 있다. 1897년 10월 12일 국호가 대한제국으로 선언되면서 고종왕이 황제로 즉위하였고 이후 황후가 명성황후로 추존되었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정식명칭인 명성황후(이하 황후)로 표기하겠다. 이는 황후 시해 이후에 일본이 우리 역사를 왜곡해, 그녀의 이미지를 간교하고 간사하게 묘사했기 때문일 것이다.1885년 당시 조선의 국모가 일인들에 의해 죽임을 당한 일을 가리켜, 민비암살(閔妃暗殺), 을미사변(乙未事變), 을미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