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사자성어, 한자성어)특징, 고사성어(사자성어, 한자성어)사례(ㄱ~ㄷ, ㄹ~ㅂ), 고사성어(사자성어, 한자성어)사례(ㅅ~ㅊ, ㅋ~ㅎ)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11.11 / 2019.12.24
  • 13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5,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고사성어(사자성어, 한자성어)의 특징

Ⅱ. 고사성어(사자성어, 한자성어)의 사례(ㄱ~ㄷ)

Ⅲ. 고사성어(사자성어, 한자성어)의 사례(ㄹ~ㅂ)

Ⅳ. 고사성어(사자성어, 한자성어)의 사례(ㅅ~ㅊ)

Ⅴ. 고사성어(사자성어, 한자성어)의 사례(ㅋ~ㅎ)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고사성어(사자성어, 한자성어)의 특징
우선 고사성어는 ‘관용어(idiom)’적인 성격을 지닌다. 관용어란 둘 이상의 어휘소가 내용적으로 의미가 특수화되어 있고, 형식적으로 구성 방식이 고정되어 있는 결합 관계를 말한다. 즉, 그 구성 요소의 의미만으로는 전체 의미가 이해될 수 없는 특이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예를 들자면, ‘오십보백보’는 ‘오십보백보’라는 표현만 가능하지 ‘백보 이백보’ 또는 ‘이백보 삼백보’ 라는 표현은 가능하지 않다. 억지로 그렇게 쓰더라도 ‘오십보백보’ 의 의미를 전달하지는 못한다. 그리고 오십보백보의 의미 또한 ‘오십 걸음 백 걸음’ 이 아니라 이에서 특수화된 의미인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본질적으로는 같다.’는 뜻을 가진다.
우리말의 관용어에 대한 사항이 4학년 2학기 󰡔읽기󰡕 ‘11.낱말의 뜻을 찾아서’ 란 단원에 나와 있는데, ‘일상적으로 널리 쓰이는 관습적인 말’ 이라고 정의되어 있다. 이에 따른 다면 고사성어 역시 관용어의 일종으로 보아도 무방하리라 여겨진다.
고사성어의 둘째 특징으로는 함축성을 들 수 있다. 이는 표현의 경제성과도 통한다. 고사성어는 많은 양의 정보를 짧은 어구 속에서 다룰 수 있다. ‘모순’을 예로 들어보겠다.

A: 아, 공부하기 싫어!
B: 나도 마찬가지야.
A: 이번 시험 땜에 걱정이야, 성적이 잘 나와야 할 건데…….
공부는 하기 싫고 성적은 잘 받고 싶고…….
B: 그건 모순이지.

이 경우 B의 대답 속에는 ‘너의 말이나 행동은 앞뒤가 서로 맞지 않다. 공부를 열심히 해야 성적이 잘 나오는데, 공부를 하지 않고 성적 잘 나오기를 바라는 건 이상하다.’ 는 의미가 들어 있다. 고사성어는 이렇게 긴 표현을 짧게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함축성 때문에 담고 있는 뜻도 긴 표현보다 훨씬 강렬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특징은 이야기와 관련되어 있다. 즉 고사가 얽혀 있다. 이것은 고사성어가 단순히 어구의 학습 뿐 아니라 이야기의 재미를 느끼게 해 준다고도 볼 수 있다.
참고문헌
○ 김담구, 유래와 용례로 익히는 우리말 속 고사성어
○ 강애련(1999), 한눈에 쏙쏙 들어오는 이야기 고사성어, 정민미디어
○ 이홍우(1996), 옛 어른의 가르침이 담겨있는 고사성어 사전, 교학사
○ 임종욱(1997), 고사성어대사전, 고려원
○ 장연(2003), 이야기 고사성어, 서울 : 동방미디어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중문] 고사성어에 관한 모든 자료
  • 고사성어-사ㅅ319. 사갈시 蛇蝎視풀이 뱀이나 전갈을 보듯 함. 악독한 것을 보고 끔찍히 싫어함.320. 사고무친 四顧無親풀이 사방을 둘러 보아도 의지할 곳이 없다. 유 孤立無援(고립무원) : 아무도 도와 줄 이 없다.(=無援孤立)進退維谷(진퇴유곡) : 나아갈 수도 물러설 수도 없는 난처한 지경에 빠지다.321. 사기종인 舍己從人풀이 자기의 이전 행위를 버리고 타인의 선행을 본떠 행함.고사 :「선생이 말씀하시되“능히 자신을 버리고서 남을

  • [북한언어] 북한사전
  • ㄱ(기역) ㄴ(니은) ㄷ(디귿) ㄹ(리을) ㅁ(미음) ㅂ(비읍) ㅅ(시옷) ㅇ(이응) ㅈ(지읒) ㅊ(치읓) ㅋ(키읔) ㅌ(티읕) ㅍ(피읖) ㅎ(히읗)ㅏ(아) ㅑ(야) ㅓ(어) ㅕ(여) ㅗ(오) ㅛ(요) ㅜ(우) ㅠ(유) ㅡ(으) ㅣ(이)붙임1 위의 자모로써 적을 수 없는 소리는 두 개 이상의 자모를 어울려서 적되, 그 순서와 이름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ㄲ(쌍기역) ㄸ(쌍디귿) ㅃ(쌍비읍) ㅆ(쌍시옷) ㅉ(쌍지읒)ㅐ(애) ㅒ(얘) ㅔ(에) ㅖ(예) ㅘ(와) ㅙ(왜) ㅚ(외) ㅝ(워) ㅞ(웨) ㅟ(위) ㅢ(의)붙임2

  • [한국방언학] 전라북도 방언의 특징
  • ㅂ변칙 형용사인데 남원과 전남의 ‘짭다’는 ㅂ정칙으로 활용하는 점이 다르다. 3. 노랗다. 누렇다. 현대 국어에서 접미사‘ -앟-/-엏-’을 가진 빛형용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ㄱ) 노랗다/누렇다, 빨갛다/뻘겋다, 파랗다/퍼렇다, 하얗다/허옇다,까맣다/꺼멓다, 뽀얗다/뿌옇다, 말갛다/멀겋다이에 해당하는 전라방언형으로는 다음의 것들이 있다.(ㄴ) 노리다/누러다, 삘거다․삘거다, 퍼러다, 흐거다․흐여다,까머다/꺼머다,

  • 제 7장 국어 생활의 실제
  • 한자말인지 합성어인지 파생어인지 등 여러 알아야 할 기본 지식이 많아야 하기 때문에 매우 부담스럽다. 또한 참고 사항으로 한 낱말 아래에 다시 된소리나 거센소리가 나는 낱말이 이어질 경우에는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을 필요가 없다.라고 밝혀 놓고 있다. 즉, 순 우리말+순 우리말, 순 우리말+한자말로 된 합성어이더라도 ㄲ, ㄸ, ㅃ, ㅉ, 나 ㅋ, ㅌ, ㅍ, ㅊ 앞에서는 사이시옷을 받쳐 적지 않기 때문에 더욱 헷갈리게 된다. 북한에서는 전

  • 국어정책론 남한과 북한의 사전편찬 통일방안 사전 편찬의 변천사 사전 편찬의 차이점 사전의 정의 사전의 분류
  •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② 중성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③ 종성ㄱ ㄲ ㄳ ㄴ ㄵ ㄶ ㄷ ㄹ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ㅁ ㅂ ㅄ ㅅ ㅆ ㅇ ㅈ ㅊ ㅋ ㅌ ㅍ ㅎ2. 에 나타난 남한의 사전 편찬 원칙2) 표제어의 배열순서동음이의어의 배열은 아래의 순서를 단계적으로 적용하여 결정하였다.① 현대어→ 옛말 ② 어휘 형태→ 문법 형태 ③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④ 표준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