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강목 果部第三十一卷 여지 석명 집해 열매 여지핵 여지각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08.29 / 2019.12.24
  • 9 ~ 9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하고 싶은 말
본초강목 한문 및 한글 최초
본문내용
산기퇴종
孫氏∶用荔枝核(炒黑色)、大茴香(炒)等分,爲末。每服一錢,溫酒下。
손씨는 검게 볶은 여지핵, 볶은 대회향 같은 분량을 사용하여 가루낸다. 매번 4g을 따뜻한 술로 연하하다.
皆効方玉環來笑丹
모두 효과 있는 처방인 옥환래소단이 있다.
用荔枝核 四十九箇 陳皮連白 九錢 硫黃 四錢 爲末
여지핵 49개, 백질을 남긴 진피 36g, 유황 16g을 가루내어 사용한다.
鹽水打麪糊丸 綠豆大 遇痛時空心酒服九丸.
소금물로 친 면 풀로 환을 녹두크기로 만드어 통증을 만날 때 빈 속에 술로 9환을 복용한다.
良久再服 不過三服 其効 如神亦治諸氣痛.
한참 뒤에 다시 복용하며 3번을 지나지 않아서 모두 효과가 있고 마치 귀신처럼 또한 여러 기의 통증을 치료한다.
陰腎腫痛∶
음부 외신의 붓고 아픔
荔枝核,燒研,酒服二錢。
태워 갈은 여지핵 8g을 술로 복용한다.
腎腫如斗∶
음낭이 말 크기로 부음
荔枝核、青橘皮、茴香等分,各炒碾。
여지핵, 청귤피, 회향 같은 분량을 각자 볶고 간다.
酒服二錢,日三。
술로 8g을 복용하니 하루에 세 번 한다.

여지껍질
【主治】
주치
痘瘡出不爽快,煎湯飲之。
두창이 나와서 상쾌하지 않음에 여지껍질을 달인 탕을 마신다.
又解荔枝熱,浸水飲(時珍)。
또한 여지의 열을 해결할 때 물에 담가 마신다. 이시진
【附方】
부가 처방
新一。
새로운 것 한개
赤白痢∶
적백이질
荔枝殼、橡斗殼(炒)、石榴皮(炒)、甘草(炙)各等分。
여지껍질 볶은 상수리 껍질, 볶은 석류껍질, 구운 감초 각 같은 분량이다.
每以半兩,水一盞半,煎七分,溫服,日二服。(《普濟方》)
매번 20g을 물 1잔반을 7푼이 되게 달여서 따뜻하게 복용하길 하루에 두 번 복용한다. 보제방
花及皮根
여지꽃과 피근
【主治】
주치
喉痹腫痛,用水煮汁,細細含嚥,取瘥止(蘇頌。出崔元亮《海上方》)。
후비로 붓고 아픔에 물을 사용하여 달인 즙을 세세하게 머금어 삼키면 나아 통증이 멎게 될 것이다. 소송의 최원량 해상방에서 나옴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국어사개설(한글 작업)
  • 각별한 친족관계에 있었음을 드러내 준다. 고구려어와 알타이제어(특히 퉁구스제어)의 관계는 신라어와 알타이제어의 그것보다 훨씬 가까운 것으로 추정된다. 이것은 고구려어와 알타이제어와 신라어의 사이에 있음을 암시한다.第四節(제4절) 百濟語(백제어)백제어에 대해서는 梁書(양서)(629) 百濟傳(백제전)에 “今言語服章 略與高驪同(금언어복장 약여고려동)”이라 하였다. 이것은 아마도 백제의 지배족의 언어에 관한 기술로 생각된다. 다 아는

  • [논문]고구려말 문헌자료연구
  • 각 학자마다 사용한 기호가 서로 다른 것이 많은 까닭에 글쓴이가 다시 국제음성기호(IPA, 1993, 이 글 ‘1.3’의 표 참조)로 환원시키되, 우리말에 차용되는 과정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되는 미세한 소리자질이나 성조 따위는 생략하였다. 여기서 ‘성, 운’은 상고음 성모와 운모를 뜻하며, ‘동.’은 동동화, ‘칼.’은 칼그렌, ‘주.’는 주법고, ‘이.’는 이진화․주장집의 재구 상고음이다. 칼., 동., 주.는 주법고(1974)에서 찾았고, 이.는

  • 남북사통속연의 67회 68회
  • 第五弟彭城王浟家, 浟母卽大爾朱氏, 當然出見。전입제오제팽성왕유가 모즉대이주씨 당연출견浟(물 흐르는 모양 유; ⽔-총10획; yóu)다시 5째 아들 팽성왕 고유 집에 들어가니 고유 모친이 대이주씨로 당연히 마중을 나왔다.洋瞧將過去, 覺得爾朱氏雖値中年, 尙饒豐韻, 不覺欲火上炎, 竟牽住爾朱氏, 欲與交歡。양초장과거 각득이주씨수치중년 상요풍운 불각욕화상염 경견주이주씨 욕여교환丰韵 fēngyùn 风韵① 우아한 자태 ② 바람 소리 ③ 고상

  • 채동번의 5대사역사소설 오대사통속연의 29회 30회 한문 및 한글번역
  • 第。”진주불각노기 소문조영도 지원견거제칙 태각불공 짐의의삭탈병권 령귀사저진나라 군주는 깨닫지도 못하게 분노가 일어나 조영을 불러 물었다. “유지원이 단단히 제칙을 거절해 너무 공손하지 않다고 느끼니 짐의 뜻은 병권을 빼앗아 그를 사저에 돌아가게 하겠다.”瑩拜請道:“陛下前在晉陽, 兵不過五千人, 爲唐兵十餘萬所攻, 危如朝露, 若非知遠心同金石, 怎能成此大業?奈何因區區小過, 便欲棄置? 竊恐此語外聞, 反不足示人君大度呢!

  • [고전시가론] 경기체가
  • 여지를 확보할 수 있었던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김동임, 「경기체가의 연구-향유 방식과 형식 변화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석), 1993 pp.57-58혹은 경기체가가 唱으로 불리어 지기 위해 正格性이 요구되었음을 고려해 볼 때 후대로 갈수록 점차 집단 연향에서 즐겨 부르지 않게 되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박경주, 「경기체가 연행방식과 성격변화」,서울대학교 대학원(석), 1990. pp.49-52여기서 정격형(기본형)에 대한 변격형을 ①각 행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최근 판매 자료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