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경기체가 시조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5.12.12 / 2019.12.24
  • 16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7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 경기체가의 개념 및 발생

2. 경기체가의 형식과 연행방식
(1)경기체가의 형식
(2)경기체가의 연행방식
-경기체가의 작자층에 따른 연행방식의 변화
가. 고려중기 귀족층과 경기체가의 형성
나. 무신정권기 문인과 경기체가의 확립
다. 안축(신흥사대부)과 경기체가의 새로운 변화
라. 선초 훈구파와 경기체가의 육성
마. 선초 승려층의 경기체가 수용
바. 사림파와 경기체가의 퇴조
3. 宴席에서의 시조의 창작과 향유

4. 시조의 형식 및 기능

5. 결 론
본문내용
1. 경기체가의 개념 및 발생
고려 중엽 이후에 발생한 장가(長歌). 또 ‘경기하여가(景幾何如歌)’라고도 한다. 노래 말미에 반드시 “경(景) 긔 엇더니잇고” 또는 “景幾何如”라는 구(句)를 붙이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고려 중엽 이후로부터 조선 초기에 걸쳐 주로 한학자들에 의하여 읊어졌는데, 고려시대의 것으로는 고종 때의 제유(諸儒)의 작으로 알려진 《한림별곡(翰林別曲)》과 고려 말의 안축(安軸)이 지은 《관동별곡(關東別曲)》 《죽계별곡(竹溪別曲)》 등이 있으며, 조선시대의 것으로는 권근(權近)의 《상대별곡(霜臺別曲)》, 변계량(卞季良)의 《화산별곡(華山別曲)》, 정극인(丁克仁)의 《불우헌곡(不憂軒曲)》과 작자 미상의 《오륜가(五倫歌)》 《유림가(儒林歌)》 《연형제곡(宴兄弟曲)》, 이 밖에도 김구(金絿)의 《화전별곡(花田別曲)》, 권호문(權好文)의 《독락곡(獨樂曲)》 등이 있다.
처음 발생시에는 무신들에 의하여 초야로 쫓겨난 문신들이 향락적·유흥적인 생활과 그들 심상(心像)을 읊었는데, 조선시대에 와서는 그 형식을 본떠 조선 건국을 칭송하는 내용을 담기도 하였다. 훈민정음이 창제된 후에는 한글을 약간 섞어짓기도 하였으나, 그 이전에는 한학자들이 순전히 한문으로 지었다. 따라서 일반대중과는 유리된 일종의 기형적인 문학이라는 평을 받았다. 이와 같은 점에서 《청산별곡(靑山別曲)》 《가시리》 등 고려의 속요와 대조를 이룬다. 이들 속요는 일반대중 가운데에서 발달하여 구전되었기 때문에 보통 그 작자를 알 수 없으나 경기체가는 한학자라는 특수층이 한자만으로 지었기 때문에 대개 작자가 알려져 있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삼국시대의 문학
  • 문학과 고전문학으로 나누었을 때 고전문학(시,소설,산문)의 하위 갈래에 속하는 것이다. 따라서 고전시가의 범주는 고전문학의 범주인 개화기 전까지 창작되어 불려지던 작품들이 포함된다고 하겠다. 개화기 전까지 불려지던 고전시가 작품들을 다시 그 형식이나 율격의 공통성에 따라 시대별, 장르별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삼국통일 이전의 상대 시가, 통일신라에 유행했던 향가,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경기체가와 고려속요, 조선시대의 악, 시조,

  • [국문학] 상고시대부터 신라시대까지의 문학
  • 문학과 고전문학으로 나누었을 때 고전문학(시,소설,산문)의 하위 갈래에 속하는 것이다. 따라서 고전시가의 범주는 고전문학의 범주인 개화기 전까지 창작되어 불려지던 작품들이 포함된다고 하겠다. 개화기 전까지 불려지던 고전시가 작품들을 다시 그 형식이나 율격의 공통성에 따라 시대별, 장르별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삼국통일 이전의 상대 시가, 통일신라에 유행했던 향가,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경기체가와 고려속요, 조선시대의 악, 시조,

  • 김상용 시조연구와 시조작품이 가지는 개인적 의의
  • 시조는 한국인이 지닌 정신생활사의 일환으로서 전통적 역사적 가치를 지니는 중요한 양식으로 발전해 왔는데, 시조는 다른 고전문학장르들과는 다르게 과거의 역사물로 끝나지 않고 현대에도 계속해서 창작되고 있으니 시조야 말로 우리 민족의 생활, 사상, 역사가 살아 숨 쉬는 시이고 시조의 특질은 곧 우리민족 정서의 특성이 되는 것이다. 시조의 발생배경은 고려후기에 이르러 신흥 사대부들이 역사적 전환기를 맞아 경기체가만으로 감당할

  • 2023년 2학기 고전의이해와감상 기말시험 과제물(고전문학 작품 감상)
  • 2022년 2학기 고전의이해와감상 기말시험 과제물(고전문학 작품 분석)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