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운동의 시대적 배경과 재조명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6.04.16 / 2016.04.16
  • 21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새마을운동의 시대적 배경과 재조명
1. 어떻게 해서 전국의 모든 마을에서 새마을 운동이 일어날 수 있었던가?
2. 마을 단위에서는 어떤 사업들이 어떻게 전개되었는가?
3. 새마을 지도자들을 어떻게 훈련시켰는가?
4. 농촌에서 일어난 새마을 운동이 어떻게 해서 국민 운동으로 확산되었는가?
5. 새마을 운동은 우리에게 무엇을 남겼는가?
우리 농촌의 가난과 정체를 흔히들 초가 지붕 밑의 등잔불 생활로 나타낸 때가 있었다. 지금으로부터 25년 전인 1970년도만 해도 전국 농가들의 80%는 초가 지붕으로 되어 있었고 전깃불이 들어간 마을은 20%에 지나지 않았다. 전기가 들어가지 않았으니 대부분의 농가에서는 리디오를 들을 수가 없었다. 마을까지 들어가는 도로는 꼬불꼬불한데다 비좁은 곳이 많아 전국의 자연 부락 중 자동차가 드나들 수 있는 마을은 30%에 지나지 않았다.
한편 70년대 초의 국제 정세는 아시아 지역의 공산화가 날로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베트남에서는 북쪽의 월맹 공산군의 승리가 뚜렷해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한반도에서도 북한 공산주의 정부는 다음이 우리 차레라는 것을 공공연하게 말하고 있었다.
한국 경제는 1960년대에 이룩한 경제 개발의 성공으로 공산품의 수출이 늘어남에 따라 정부 재정이 늘어나고는 있었니만 그것으로 자주 국방도 하고, 공업 기반도 마련하고, 교육 투자도 하고, 농촌 개발도 하기에는 너무나 한정된 재정이었다.
한편 아직도 근대화의 손길이 미치지 못한 농촌의 마을 주변에는 주민들이 협동만 잘 하면 생활 환경과 영농 여건을 개발할 수 있는 일들이 많이 있었다. 여기에서 정부는 1970년의 가을철에 마을마다 약 300포대으 시멘트를 지원하면서 주민들이 힘을 모아 낡은 마을을 새마을로 바꾸는 자조사업(自助事業)을 전개하게 되었으며, 이것을 이른바 새마을 사업이라고 불렀다.
마을길을 넓히고 마을의 고동 시설물들을 건립하는 데 들어간 땅은 토지 소유주들이 마을을 위해 희사하였으며, 마을 주민들은 새마을 사업에 필요한 노동력을 무상으로 제공하였다. 새마을 사업에는 마을의 부녀자들이 남자들에 못지않게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불과 몇 해 사이에 전국의 농촌에서 초가 지붕이 사라지고 등잔불이 전등불로 바꿔졌으며 마을마다 자동차가 드나들 수 있게 되어 농촌의 마을 모습이 몰라보게 달라지게 되었다.
전국의 자연 부락수는 5만여개나 되기 때문에 처음에는 새마을 사업을 잘 하는 마을과 그렇지 못한 마을이 나타났었다. 그 요인을 분석해 본 결과 새마을 사업을 잘 하는 마을는 대개가 주민들이 부지런한 마을이었으며, 자립정신이 강하고 협동을 잘 하는 마을이었고, 그러한 마을에는 반드시 훌륭한 지도자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새마을 사업의 현장에서 나타나고 있었던 이와 같은 사실들을 근거로 하여 근면자조협동을 새마을 운동의 기본 정신으로 삼게 되었다.
정부는 시멘트를 지원함에 있어서도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는 원리에 따라 새마을 사업을 잘하는 마을부터 우선적으로 지원함으로써 농민들의 자립 정신을 일깨우게 하였다. 새마을 운동의 열기는 1970년대 중반기에 가서 그야말로 요원으리 불길처럼 전국의 마을에서 일어났으며 가난의 악순환으로부터 벗어나게 된 농민들은 우리도 하면 된다., 우리도 잘 살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마을마다 훌륭한 지도자가 있어야만 새마을 운동은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계셨던 고 박정희 대통령께서는 새마을 지도자를 육성하는 데 각별한 관심을 기울였으며, 그의 조국 근대화의 위지와 집념은 새마을 지도자들을 통하여 전달될 수 있었다.
농촌에서 일어난 새마을 운동의 뜨거운 열기는 곧 도시로, 공장으로, 직장으로 확산됨으로써 새마을 운동은 잘 삵 위한 국민운동으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신흥 공업국으로 이제 막 발돋움하기 시작한 한국은 국민 모두가 새마을 정신을 생활화 함으로써 이것이 곧 70년대에 이룩한 경재적 고도 성장의 원동력이 될 수 있었다. 한국 경제가 빈곤의 악순환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자 우리도 한번 잘 살아 봤으면 하는 겨레의 한이 어느 정도 풀리게 되었으며, 북한 공산주의자들의 적화 통일의 야욕을 무찌르고 자유 민주주의를 누릴 수 있는 물적 기반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참고문헌
<참고 문헌>
朴正熙 : 『새마을 운동』(새마을 운동에 관한 연설집),1979.
Park Chung Hee : 『Saemaul, Koreas New Cmmunity Movement』,1979.
박진환 : 새마을 사업의 점화 과정, 『경제 발전과 농촌 경제』, 博英社 ,1987.
박진환 : 새마을 운동과 국가 발전, 『경제 발전과 농촌 경제』博英社,1987
박진환 : 국가 발전과 생활 윤리, 『경제 발전과 농촌경제』博英社, 1987
박진환 :새마을 교육의 회고와 방향 『새마을 교육연구론문집』, 새마을 지도자 연수원,1982.
Jin Hwan Park : 『Process of Saemaul Undong Project Implementaion in Korea』Toward A New Community Life, Institute of Saemaul Undong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1.
새마을 지도자 연수원 : 『새마을 지도자 연수원 10년사』,1982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천성산 도룡뇽 사건과 새만금을 통해 본 4대강 사업
  • 운동을 펼칠 수 있다는 가능성은 배제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4대강 사업의 경우도 이런 가능성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환경단체의 반대운동이 부정적 측면만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도롱뇽 소송 사례의 경우도 지율스님의 단식시위가 그 사업을 재조명하는 계기를 만들었고, 국민들에게 환경적 중요성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그리고 내부의 충분한 검토와 논의, 사회적 합의를 거치지 않고 추진되었다는 의미에

  • [조직관리] 포스코 `사랑 받는 기업 백서` 성공 사례 분석
  • 재조명하여 그들의 권리 신장을 위해 도입한 여러 정책들은 외부환경을 관리하기 위해 포스코가 얼마나 심혈을 기울였는지 알 수 있는 부분이다. 또한 투자자들이 포스코에 투자할 만한 유인을 갖추기 위해 임직원들의 윤리의식을 재교육하고, 사회기여 활동과 친환경 활동에의 투자 비중을 높인 것도 투자자들의 심리적 만족감을 충족시키기 위한 적절한 행동이라 평가된다.‘선물반송센터’와 ‘포스코 교육재단’을 운영하고, 제철소 내에 그린존

  • [농민문학] 농민문학의 특성과 문학사적 의의
  • 재조명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농민문학론은 해방 전후를 불문하고 문단이 사회현실에 일종의 책무성을 가지고 직접 개입하고자 하는 시도가, 문단 내적인 자성의 움직임과 함께 했을 때 나타난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 농민문학론은 우리나라의 역사적․사회적 배경과 문학이 어떻게 결합하여 나타나는지를 보여주는 하나의 상징적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 상황에서 일어난 농민문학과 관련한 일련의 움직임들은 많은 한계를 보인

  • [한국사] 박정희 긍정 평가론
  • 새마을운동 순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한일국교 정상화에 대해서는 이미 친일부분에서 다뤘으므로 생략한다. 다음에는 그 외 그가 행한 업적을 주제별로 살펴봄으로써, 그는 과연 한국사에서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 생각해 보고자 한다.연대기순으로1. 5.16 (1961)쿠테타인가? 혁명인가?1994년 대한민국 국회는 1961년 일어난 5.16을 쿠테타라고 규정하였다. 그러나 만일 이것이, 단순히 무력에 의한 권력찬탈은 모두 불법적 범죄행위라는 생각에서 나

  • 새마을 운동과 지역사회조직사업을 비교하여 제출하시오
  • 새마을운동 태동 당시의 배경을 보면, 새마을운동은 농촌을 잘사는 농촌으로 기어이 만들어 보겠다는 대통령의 강렬한 의지와 집념 이외에도, 사회ㆍ경제적인 제반 여건과 가난의 굴레를 벗어나려는 국민의 열망, 그리고 외적자극 등 다양한 요인이 상호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탄생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1962년을 기점으로 추진된 두 차례의 경제개발 5개년계획을 통하여 기간산업 건설과 사회간접자본의 확충으로 공업입국의 기반을 닦는데 온 힘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