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사상의 형성과 전승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6.04.16 / 2016.04.16
  • 5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8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풍수사상의 형성과 전승
우리나라의 풍수사상은 중국의 풍수지리설이 전래되어 이룩되었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우리나라 자체에서 풍수사상이 발생하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金得晃은 風水를 “地理 혹은 堪輿라고도하여 國土나 國都로부터 한 개인의 주택, 분묘에 이르기까지 그 위치가 산천의 地相과 형세에 따라 吉凶禍福이 있다는 地理觀”이라 정의 하고,
풍수설도 陰陽八卦와 五行生氣의 관념을 토대로하여 일종의 학문으로 발달한 것으로 그 기원을 찾자면 중국 상고시대에 소급하여야 할 것이지만, 우리나라에 는 唐에서 풍수설이 수입되기 이전에 이미 풍수설이 존재하였다. 상고시대의 우 리 민족과 마찬가지로 지상에서의 생활상의 요구로부터 적당한 토지의 선택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주택을 선택함에는 산수가 놓인 모양을 고려하지 않 을 수 없고, 國都를 정함에 있어서는 방위와 공격의 지세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러한 토지 선택의 방법은 점점 추상적으로 그리고 전문적으로 진보되 어 하나의 地相術로 발달하여 갔다. 金得晃, 韓國思想史, 白巖社, 1978. pp.195-201.
고하여 唐에서 풍수설이 수입되기 이전에 우리나라에는 이미 풍수설이 존재했다고 주장하였다.
朴時翼은, 한반도는 지형적인 구조에 있어서 산이 많은 까닭으로 산악과 산신에 대한 숭배사상이 구석기시대부터 내려왔으며 이 사상은 한반도를 중심으로하여 독특한 支石墓 문화를 형성하였다고 하고 우리나라에 있어서의 풍수사상은 산악지의 지리적인 환경조건과 山嶽崇拜思想, 地母思想, 靈魂不滅思想 및 三神五帝思想 등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발생하게 되었으며 단군의 神市 선정, 왕검의 符都 건설, 지석묘의 위치 선정, 신라 탈해왕의 반월성 입지 선정 등은 우리나라 고대에 풍수사상이 직접적으로 건축에 적용된 실례라 하였다. 朴時翼, 風水地理說 發生背景에 관한 分析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7. pp.230-243.
朴容淑은 檀君神話를 재해석하여 풍수사상이 고조선시대부터 자생적으로 발생했다고 주장하였고 朴容淑, 韓國의 原始思想, 文藝出版社, 1985. pp.23-24.
金泰坤은 고분속에서 발견된 男根誇張의 토우와 묘 앞의 좌우 망두석, 풍수에 의한 묫자리 등 이들 3자는 모두 성력에 의한 死者의 내세 재생이나 死者後孫의 번성을 기원하는 신앙심에서 이루어진 것이라 하고, 풍수설에 의한 묫자리에서 좌청룡 우백호의 지형 자체도 인간의 兩脚下體局部의 형태이며 산줄기의 落脈凸部의 묘지를 명당으로 인식하는 것과 묘 앞의 文筆峰을 吉像으로 알고 있는 것이 모두 性器 내지는 성교의 형태를 상징하는 것이기 때문에 묘지 풍수 신앙은 결국 고대의 성기 신앙으로부터 분화 발전되어 온 것으로 보이고 택지 풍수는 후기 연장적 발전형으로 보인다고 하였다 金泰坤, 性器信仰硏究, 한국종교, 제 1집,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1971. pp.45-47.
이에 반하여 李丙燾, 李鍾恒, 崔柄憲, 金光彦 등은 우리의 풍수사상이 중국에서 전래된 것으로 보고 있다.
李丙燾는 우리나라에는 到處有明堂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풍수조건에 적합한 곳이 실로 무수하여, 결국 이러한 자연적 환경이 후래 풍수지리사상의 성행과 폐해를 유치한 중요한 이유가 되었거니와 신라통일 이전 삼국시대에는 아직 그러한 술법과 사상을 받아들인 듯한 형적은 없다고 단언하면서 풍수사상은 중국으로부터 신라 통일 이후에 도입되었다고 하였다. 李丙燾, 高麗時代의 硏究, 亞細亞文化社, 1980, pp.21-30.
李鍾恒은 자고로 우리 민족은 名山 大山을 신성시하고 숭배해 왔는데 이러한 巨山崇拜와 風水說와 완전히 다른 사고방식임을 전제하고, 풍수지리설은 중국에서 발생하여 전차 주위의 異民族社會로 전파하게 되었는데 우리 민족이 중국의 문화를 수입함에 따라 이 風水地理說도 자연 유입하게 되고 그것이 점차 우리 민족의 기호와 운명관에 영합하여 일반화하게 ,되었을 것이며 그 시기는 이미 三國鼎立時代였을 것이라고 하였다. 李鍾恒, 風水地理說의 盛行의 原因과 그것이 우리 民族性에 미친 惡影響에 關한 一考察, 경북대학교 논문집, 제 5집, 1962.
崔柄憲은 四神壁畵가 그려져 있는 고구려 고분과 충남 부여군 능산리 고분은 그 주위의 산세가 확실히 풍수지리설상의 조건을 구비하고 있어서 풍수설에 의하여 선정된 것으로 볼 수 있고 백제 武王 3년 승려 觀勒이 曆法, 遁甲方술書와 함께 천문지리서를 가지고 일본에 가서 그곳의 僧正이 되었다는 기록을 통하여 관륵이 가지고 간 지리서가 당시 백제에서 유행하고 잇던 풍수관계 서적이 틀림없다고 하면서 삼국시대에 이미 풍수지리설이 들어왔다고 하였다. 崔柄憲, 道詵의 生涯와 羅末麗初의 風水地理說, 韓國史硏究, 2, 1975. pp.129-130.
金光彦도 신라 제4대 왕인 탈해가 호공의 집터가 三日月形의 길지임을 알고 꾀로 호공의 집을 빼앗아 살았기 때문에 왕이 되었다는 삼국유사의 기록과 신라의 도성이 半月城이었고 백제 도성인 부소산성의 이름 또한 반월성이었던 것도 같은 이치이며 삼국유사 天龍寺 조에는 鷄林 경내에는 客水 두 줄기와 逆水 한 줄기가 있는데 이들의 근원지인 천룡사가 이를 조화시켜서 국운을 지키는 裨補寺刹의 구실을 한다는 내용 등을 증거로 들어 사무구시대 초기에 풍수사상이 널리 퍼져 있었다고 보았다. 金光彦, 韓國의 住居民俗誌, 民音社, 1988. p.21.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한국사]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연구
  • 【 목 차 】1. 서론 -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 에 대한 기존의 연구 경향 검토2.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의 배경2.1.사상적 배경2.1.1. 풍수지리사상과 묘청 이전의 서경 천도논의1) 우리나라의 풍수지리사상2) 고려시대 개경 서경의 풍수지리적 고찰3) 개경서경의 운영방식 및 인식4) 묘청 이전의 서경천도 논의2.1.2.묘청의 사상1) 묘청 사상의 형성 배경2) 묘청의 서경천도론 2.2. 당시의 정치적 상황2.2.1.국내 정세2.2.2.당시 국제 정세 및 고려의 대

  • [한국사] 온양 민속박물관 답사후 조선시대 생활상 조사
  • 풍수전통과 식습관, 놀이전통 등의 전통 마을의 모습을 실재로 느껴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사전조사를 하고 가서인지 마을입구의 무서운 표정으로 떡하니 서있는 장승부터 집안에 있는 사소한 가구들까지 관심 있게 살펴 볼 수 있었다. 특히나 그 거대한 존재감으로 방문자들을 압도했던 느티나무와 아기자기하게 잘 가꾸어진 이간 선생 댁의 정원이 기억에 남는다. 전통이라는 것은 보수적이고 지루한 것이라는 막연한 느낌을 가지고 있었는데 외

  • [종교]한국의 무교
  • 사상과 행동을 직접 간접으로 지배해온 것이며, 또한 한국 민중의식의 반영이 바로 무교였던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정신사에 있어 한국무교가 무시할 수 없는 의의를 지니고 있다고 본다. 그 의의를 나름대로 정리해 보면 우선 우리는 한국무교가 한국인들의 심성에 뿌리를 내리게 한 신앙정신에 초점을 기울이지 않을 수 없다. 한국무교는 다신숭배의 신앙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이 가운데 가장 최고신은 어디까지나 천신으로 하나님숭배야 말로

  • [민속학개론] 민간신앙 - 풍수신앙, 민간속신
  • 풍수설은 인간적 삶의 긍정적인 표현인 동시에 생동적 삶의 방식이라 하겠다. 아울러 이것이 신앙체계로 자리 잡을 때 풍수신앙이라는 신앙적 영역을 확보하는 한편, 한국인의 종교적 심성을 크게 좌우한다. 최운식 외, 『한국민속학개론』, 민속원, 1998, p.246.1) 풍수신앙의 개념풍수는 지리에 대한 하나의 이론적 모델에서부터 사상적 측면뿐만 아니라 신앙적 측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의미를 담고 있는 용어로 인류의 출현과 함께 자연스럽게 형성

  • [주거, 건축] 조선시대 양반가옥
  • 사상은 정치이념으로 뿐만 아니라 모든 학문, 문화, 사회 전반에 걸쳐 그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건축적으로는 공간의 위계성, 공간의 분화 등과 같은 형태가 나타나게 되었다. (2) 풍수지리사상 풍수지리설은 오래 전부터 한국의 정치, 사회, 문화 그리고 건축 등 여러 분야에 걸쳐서 응용되고 전승되었다. 풍수지리라 함은 지중(地中)에 일종의 신비한 기(氣)가 있어 이것이 인간의 길흉화복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생과 사를 구별하여 생자를 양(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