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6.04.16 / 2016.04.16
  • 9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8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1. 서
세종 25년(1443) 창제된 훈민정음은 국어의 완전한 문자화라는 민족적 소망을 실제적으로 구현한 역사의 산물이며, 그 속에 존재하는 과학성과 독창성 등으로 인해 높이 평가받고 있다. 이기문,『新訂版 國語史槪說』, 태학사, 1998, p 68 ~ 71
언어학적 사료(史料)의 측면에서도 그 가치는 높이 평가되어 왔으며 학자들의 수많은 연구를 통해 문자의 체계와 창제원리 등을 분석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동안의 훈민정음 연구는 크게 문자체계, 문자창제의 두 측면에서 진행되어 왔다고 할 수 있는데 1940년 안동에서 『훈민정음해례본』이 발견된 이후 그 성과에 있어 커다란 진전을 이루었다. 이를 통해 제자의 기본원리 및 그 창제의 원리에 관한 그 동안의 의문점들이 어느 정도는 해소되었으며 학계에서 계속되었던 여러 논쟁들이 일단의 합의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훈민정음해례본』에 그 제자원리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역학의 ‘태극 음양(太極 陰陽)’과 ‘오행(金木水火土)’ 설이 등장하는 것은 의미 있는 것이었다. 이는 모든 음성, 문자의 생성 및 그 설명에 있어서 태극(太極)이 음양(陰陽), 사상(四象), 팔괘(八卦), 육십사괘(六十四掛), 그리고 만물을 생성한다는 연역법적 우주적 합리주의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음성문자의 이치를 천지의 법칙과 사람의 법칙에 결부시키고, 만물에서 가장 귀중한 ‘삼재(三才)’인 하늘 땅 사람의 상호작용과 이에 관계되는 사방(四方), 사계절(四季節)의 자연 순행과 변화 발전 관계에 일치시켜 풀이하였으며 음성이나 그 음성 글자의 변별적 자질을 만물형성의 다섯 가지 요소인 오행(五行)으로 설명하였다.
제자원리의 설명을 통하여 드러난 훈민정음의 모습은 그 과학적이고, 독창적인 문자체계의 이면에 동양 전통철학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언어 속에 숨겨진 민족의 세계관을 가늠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즉 훈민정음이 단순한 문자표기체계가 아니라 확고한 언어철학이 반영된 문자서(文字書)이자 음운서(音韻書)였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훈민정음은 현대 국어표기의 모체를 이루는 것으로 그 창제의 원리가 당시의 철학사상을 내포하고 있음은, 현재를 사는 우리에게도 그 의미를 이해함이 큰 가치로 다가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고에서는 훈민정음의 제이론에 나타나는 철학사상을 중심으로 하여 초성, 중성, 종성 원리의 배경을 분석하고 그 철학성을 정리하고자 한다.
2. 훈민정음의 철학적 배경
세종 26년 2월 최만리 등 몇몇 집현전학사들은 세종에게 언문반대상소문을 올렸다. 그 구체적 사항의 한 가지는 한글은 성리학(性理學)을 배우는데 도움이 전혀 되지 않는 다는 것이었는데 세종은 이에 대해 답변을 하지 못하였다. 남윤경, 「世宗代 創製된 訓民正音에 대한 歷史的 接近」,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0
二十七字諺文足以 立身於世 何須苦心勞思窮性理之學哉
27자의 언문으로 넉넉히 세상에 출세한다면 어찌 애를 쓰고 생각함에 힘을 써 성리(性理)의 학(學)을 연구하겠습니까?
『세종실록』 권 103, 세종 26년 2월 20일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훈민정음 서문에 반영된 언어학 이론
  • 훈민정음 서문에 반영된 언어학 이론0. 훈민정음(1)훈민정음①‘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라는 뜻으로, 1443년 세종이 창제한 우리나라의 글자.②정인지 등이 세종의 명으로 새로 창제한 훈민정음을 설명한 한문 해설서.1997년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음.(2) 훈민정음의 구성①훈민정음 해례본 : 집현전 학사들이 중심이 되어 만든 ‘한문해설서’ . 훈민정음 원본예의(例義) : 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목적을 밝힘(어제 서문).

  • 훈민정음 서문에 반영된 언어학 이론
  • 훈민정음 서문에 반영된 언어학 이론목 차훈민정음이란?훈민정음 제자해초성해, 중성해, 종성해합자해, 용자례정인지 서문훈민정음이란‘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훈민정음을 설명한 한문 해설서.훈민정음의 구성훈민정음 해례본집현전 학사들이 중심이 되어 만든 ‘한문해설서’ 예의(例義) 해례 정인지 서(序)훈민정음 언해본한자 원본인 해례본을 한글로 번역.훈민정음 예의본 예의부분만 들어있는 것.예의(例儀)편훈민정음

  • 훈민정음언해 해석
  • 훈민정음, 조규태, 한국문화사, 2000.): (부사)해석 : 하여금, 하게하여수 : 쉽(어간) +이→쉬→수해석 : 쉽게니겨(동사) : 니기다 - 익히다의 옛말해석 : 익혀국어학강독 훈민정음 언해 6쪽 형태소 분석날로(부사) : 날(명사) + 로(조사)해석 : 날마다메 : 사용함에 ; (어간) +움(명사형어미) + 에(조사)해석 : 씀에便뼌安킈 : 便安(명사) + 킈(보조적 연결어미 ‘-게’의 다른 형태) 해석 : 편안하게고져 : (어간) +고져(어미)해석 : 하

  • [한국어] 훈민정음
  • 2006 여름 계절학기-1차 훈 민 정 음목 차Ⅰ. 서론Ⅱ. 본론1. 훈민정음이란 무엇인가?2. 훈민정음 창제 동기 및 목적3.『훈민정음』4. 훈민정음 제자 과정Ⅲ. 결 론Ⅳ. 참고 문헌 Ⅴ. 별첨 자료1. 훈민정음 원본 : 간송미술관 소장본 일부2. 훈민정음 원본 : 조선어학회 영인본(1946) 일부3. 훈민정음 언해본 : 서강대학교 도서관 소장본 일부4. 훈민정음 언해본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본 일부Ⅰ. 서론훈민정음이란 현재 우리 민족이 쓰고 있는 문자

  • [훈민정음] 훈민정음과 한글의 원리 및 의의
  • 훈민정음과 한글의 원리 및 의의Ⅰ. 들어가며Ⅱ. 훈민정음 창제의 목적Ⅲ. 훈민정음의 원리Ⅳ. 한글 맞춤법Ⅴ. 한글 음성문자체계의 원리와 응용Ⅵ. 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의Ⅶ. 결론Ⅰ. 들어가며고려말 신유학(性理學)이 도입된 후, 이를 적극 수용한 신흥 사대부들에 의해 조선 왕조가 개창되자 유교는 國是로 천명되었다. 世宗 元年(1419)에는 유교의 지도이념에 합당한 체제정비를 수행하고 유교국가로서의 면모를 갖추고자 ≪四書大典≫,≪五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