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체가 한림별곡翰林別曲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6.04.16 / 2016.04.16
  • 26페이지 / fileicon pptx (파워포인트 2007이상)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경기체가
「한림별곡」(翰林別曲)을 중심으로
목차
Ⅰ. 머리말
Ⅱ.『한국문학강의』,『한국문학통사』,『한국문학의 이해』
내용분석
Ⅲ.「한림별곡」(翰林別曲)
1) 원문
2) 현대어 풀이
3) 문학사적 의의
4) 작자층과 창작배경
5) 통석
Ⅳ. 맺음말
<참고문헌>
Ⅰ. 머리말
경기체가는 고려말~조선초 혼란의 시기에 그것을
향유하는 계층이 잔치가 있는 곳에서 자신들의 신분
을 과시하고 흥을 돋우기 위해 부른 우리말 노래다.
성격과 형식 면에서 어떤 한 곳으로 장르를 귀속
시킬 수 없고 단순한 나열과 과장이 섞여있어 후대
사람이나 그것을 향유하는 계층이 아니라면 이해
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기도 하다.
Ⅱ.『한국문학강의』,『한국문학통사』,
『한국문학의 이해』 내용분석
{BDBED569-4797-4DF1-A0F4-6AAB3CD982D8}김대행
『한국문학강의』
경기체가의 흐름과 명칭의 유래 성격을 간략하게 설명하고 있다.
*흐름
13c초 한림별곡을 시작으로 출현해서 조선조 초기에는 경기체가의 성격이 개국의 기상과 맞물리고 사대부들의 역할에 의해 「상대별곡」, 「오륜가」, 「독락팔곡」등이 경기체가의 형식으로 지어졌다. 그러나 그 이후에는 융통성 없는 형식성에 한정됨으로서 더 이상 창작되지 않고 그저 조선시대까지 선비들이 그 노래를 불러 즐기는 정도로 명맥이 유지된 시가양식이다.
*경기체가의 명칭
노래의 경 긔 엇더하니잇고 혹은 경기하여의 구절이 되풀이 되는 것을 두고 이를 줄여서 붙인 것이다.
*내용
선비들의 학식과 체험을 노래하고 사물이나 경치를 나열함으로써 신흥사대부의 호탕한 기상과 자부심을 드러내고자 했다.
Ⅱ.『한국문학강의』,『한국문학통사』,
『한국문학의 이해』 내용분석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경기체가를 크게 세 부류로 나누어 기능적인 측면에서 구별하고 있다.
조선전기 사대부 국문시가의 대표적인 갈래로 자리 잡았다고 해서 그 시기를 경기체가의 시대라고 말하고 있고 경기체가의 성장을 가로막은 장애요인과 경기체가의 몰락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경기체가 구별
-악장의 구실을 하는 경기체가
-승려의 노래인 경기체가
-사대부의 생활이 담긴 경기체가
*경기체가의 몰락
사물을 열거하면서 감탄하는 기본요건이 경기체가의 성장을 가로 막은 장애요인으로 작용해 가사가 성장하는데 비례해 경기체가는 몰락하게 되는 필연적인 추세를 보였다. 생활이나 심성을 가다듬기에 부적당해 사라지지 않을 수 없는 운명을 지니게 되었다.
Ⅱ.『한국문학강의』,『한국문학통사』,
『한국문학의 이해』 내용분석
김흥규
『한국문학의 이해』
경기체가의 특징과 갈래를 작품 한림별곡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경기체가의 흐름 속에서 그것을 향유했던 계층과 쇠퇴한 이유를 특징을 들어 설명하고 있다.
*한림별곡을 예로든 경기체가의 특징과 갈래
전절(하나의 경 안에서 첫 번째의 감탄적 포괄까지의 부분)에서는 원순문, 인노시, 공노사육과 같이 서술적 연결이 빈약한 명사 혹은 한문 단형구의 나열에 압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나열의 대상은 외부세계에 존재하는 사물이나 행위 관념들을 이른다. 그리고 후절<전절이하의 엽(葉)>에서는 ‘위 경긔 엇더니잇고’의 구절을 통해 나열의 대상 모두를 아우르는 정서적인 감격으로 나아간다.
사실이념의 차원과 주정적 심미화의 차원이 특이한 방식으로 결합된 시가이며, 갈래분포상의 위치는 그 두 차원(영역)이 인접하는 중간지대에 놓여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김선기. 「한림별곡의 해석적 고찰」.『한국언어문학』. 제47호. 한국언어문학회, 2001.
김흥규. 『한국문학의 이해』. 민음사, 1986.
박경주. 『景幾體歌 硏究』. 以會文化社, 1996.
박경주. 「고려후기 문학 담당층의 전개양상과 경기체가」.『국제어문』. 제25호. 국제 어문학회, 2002.
박일용. 「경기체가의 장르적 성격과 그 변화」. 『韓國學報』. 제13호. 일지사, 1987.
조동일 서대석 이혜순 김대행 박희병 오세영 조남현 공저. 『한국문학강의』. 길벗, 199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제4판. 서울:지식산업사, 2005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한국 문학 - 경기체가 - 작품연구 - 형성 - 연행방식
  • 翰林別曲)- 116화산별곡(華山別曲)127화전별곡(花田別曲)131경기체가(景幾體歌) 요점 정리○ 정의 : 고려 고종 때 발생하여 조선 선조 때까지 약 350년간 이어진 별곡체 형태의 시가를 이른다. 그 최초의 작품은 한림학사들이 지은 한림별곡(翰林別曲)이다.○ 형성 : 고려 중엽에 무신들이 정권을 잡게 되자, 여기에서 패배한 문신들은 재야에 묻혀서 시와 술로써 자신들의 감정을 토로했는데 이로

  • [고전시가] `쌍화점`과 `만전춘`, `한림별곡` 작품분석
  • Ⅰ. 서론- 장르에 대한 이해, 고려가요 -주로 민중 사이에 널리 전해진 속요(俗謠)를 뜻한다. 넓은 뜻으로는 고려시가(高麗詩歌) 모두를 포함하며 ‘고려가사(高麗歌詞)’ ‘고려가요’, 줄여서 ‘여요(麗謠)’, 또는 ‘고려장가(高麗長歌)’라는 이름으로 통한다. 그러나 좁은 뜻으로는 《한림별곡(翰林別曲)》 《관동별곡(關東別曲)》 《죽계별곡(竹溪別曲)》 등 한문계(漢文系) 시가는 경기체가(景幾體歌) 또는 별곡체(別曲體)라 하고, 《청산별곡(靑

  • 독후감 - 한림별곡(翰林別曲)(내용, 주제, 기존 연구, 감상)
  • 경기체가연구」, (태학사, 1997), p.53.‘한림별곡’은 ‘고려사’에 기록된 것처럼 고려 고종 때 한림들이 지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한다면 고종 7년에서 17년 사이, 즉 금의가 벼슬을 그만두고 물러나 있다가 죽은 그 기간 중에 금의의 문생들이 지은 것으로 생각한다. 제1장의 화자가 스스로 금의의 문생임을 밝힌 데다가, 제 8장에서 화자가 ‘나’라고 표현하여 수미일관의 수사법을 구사하였을 뿐만 아니라, 나머지 여섯 장에서도 화자가 금의의 문생

  • [고전시가론] 경기체가
  • 경기체가 형식의 악장을 통해 드러낸다. 그들이 악장을 제작하는데 이처럼 경기체가의 형식을 가져 온 것은 그 형식이 가지는 집단적 정서 표출의 기능이 훌륭했기 때문이다. 4. 《상대별곡》의 형식每念天恩罔極 倚高麗翰林別曲音節 作不憂軒曲丁克仁 《不憂軒曲》(매번 임금의 은혜가 끝없음을 생각함에 고려조 《한림별곡》의 음절에 의지하여 《불우헌곡》을 지었다)라는 기록을 통해 《한림별곡》이 경기체가를 지을 때 모범이 되는 전형적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고려속요, 경기체가,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비교)
  • 翰林別曲>처럼 ‘별곡’이라는 용어가 붙어 있는 작품이 있음에 착안한 발상이다. 이는 의 형식이 고려가요의 그것과 다르지 않다는 점을 논거로 주장한 것이지만, 학계에서는 을 독립된 장르인 경기체가로 보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편 조선조의 가사 작품에서도 처럼 ‘별곡’이라는 용어의 작품이 적지 않으므로 고려가요의 특성을 드러냄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俗樂歌詞는 《고려사》악지에 속악조가 있으므로 거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