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식과 결부된 시인 고은 시 문의마을에 가서 중심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6.27 / 2015.06.27
  • 3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8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고은은 현대시인. 소설가. 수필가. 본명은 은태(銀泰). 전북 옥구(沃溝) 출생. 1951년 해인사(海印寺) 대교과(大敎科)를 거쳐 1957년 선 과정을 이수. 1959년 대덕 법계(大德法階) 품수. 1958년 〈현대문학〉에 《봄밤의 말씀》 · 《눈길》 · 《천은사운(泉隱寺韻)》을 추천받았다. 1960년대 대본산 주지를, 이어 불교신문사 주필을 지냈다.
승려시인으로 시를 쓰기 시작했으나 곧 환속 시작과 저술에만 전념하는 청신 · 발랄 · 기발한 감성의 소유자로 평가받고 있다. 시집으로 《피안감성(彼岸感性)》(62), 《해변의 운문집》(66), 《신 · 언어 · 최후의 마을》(67) 등이 있고, 장편소설 《피안앵(彼岸櫻)》과 《성(聖) 고은 엣세이집》 · 《인간은 슬프려고 태어났다》 등 수필집도 있다.
그의 초기 시들은 허무의 정서에 바탕을 두고 있다. 생에 대한 절망을 노래하면서 허무의 정서에 젖어 있는 시적 자아의 형상에는 삶에 대한 의지나 집착보다는 언제나 죽음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죽음은 두려움의 대상이라기보다 심미적 탐닉의 대상으로 그려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뿐만 아니라 이 시기의 시적 언어는 지나치게 탐미적이고 감상성을 벗어나지 못한 채 불안정한 정서을 표출하고 있다.
그런데 그의 시 세계는 1970년대 중반에 발간된 『문의마을에 가서』(1974), 『입산』(1977), 『새벽길』(1978) 등을 통해서 변모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제 시적 자아는 자기 혐오나 허무감을 떨쳐버리고 역사와 현실 앞에 자기를 세운다.동시대에 대한 비판적인 안목과 민중 중심의 역사관에 바탕을 둔 이러한 자기 인식을 통해 시인은 정의롭지 못한 현재에 대한 격렬한 항쟁의지를 노래한다 .이 <문의마을에 가서>를 통해서 고은 70년대의 시세계를 알 수 있다.
Ⅱ. 작품분석
1. 시대배경
1960년대 중반부터 문단의 쟁점이 된 시의 현실 참여 문제는 1970년대후 산업화 시대에 들어선 뒤에도 여전히 시단의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이 논쟁은 단순한 문단적 쟁론이 아니라.시적 대상과 시적 인식의 범주를 정립하기 위한 노력으로 확대된다.그리고 시의 현실 참여를 강조했던 시인들은 상상력의 포괄성을 위하여 시적 서정성의 획득에 더욱 관심을 기울였으며,언어적 순수에 집착했던 시인들도 일상적 경험에 대한 접근을 게을리 하지 않게 된다.이제 시의 세계와 현실세계의 간격이 상당히 좁혀지고 있다.
2. <문의 마을에 가서>분석
고은 <문의 마을에 가서>
참고문헌
참고문헌
한국현대문학대사전, 2004. 2. 25.
[네이버 지식백과]고은[高銀]
한국현대문학사 권영민 1945-2000
<문의 마을에 가서>시집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전시가론] 시조
  • 시조의 구조.14ꊶ 시조의 표현방식.15ꊷ 시조의 전개과정과 주요 작품1) 제 1기 고려 말의 시조.182) 제 2기 조선초기의 시조.283) 조선 중기의 시조.534) 조선 후기의 시조.115제 7장 시조ꊱ 시조의 명칭과 개념1. 시조의 정의시조란 고려 말에서 조선 초기에 걸쳐서 발생하고 정제된 서정 시가로써 조선조의 전 시기와 개화기까지 생명력을 유지해 온 민족 시가이다. 즉, 한민족의 고유한 예술양식의 하나로서 국문학상 가장 오랜 역사를 지녀오

  • 70년대 문학 전개과정 연구-이문구, 황석영, 조세희, 김지하, 신경림 중심으로
  • 의식의 측면에서 볼 수 있는 사회적 관심의 확대라든지, 그 장르적 측면에서의 장편화 추세 등은 모두 리얼리즘에 대한 평단의 논의를 충분히 뒷받침하고 있으며, 산업화 과정에서 빚어진 사회적 모순에 대한 소설적 인식이 가능했음을 말해 주고 있다. 시의 경우에도 관념적인 세계로부터의 탈피를 꾀하면서, 일상적인 경험적 현실에 접근하여 체험적 진실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노력이 두드러졌다. 이러한 문학적 경향은 개인과 현실, 더 나아가서는

  • [현대문학사] 1970년대 문학사
  • 시의 현실 참여 문제는 1970년대 이후 산업화 시대에 들어선 뒤에도 여전히 시단의 중요한 관심사가 되었고, 이는 시적 대상과 시적 인식의 범주를 정립하기 위한 노력으로 확대 되었다. 신령림, 이성부, 조태일, 최하림 등의 활동에 의해 더욱 폭넓게 민중적 정서에 기반을 둔 민중시의 시적 가능성을 인정받게 되었다. 대표적 작품으로는 김지하「오적」, 조태일「국토」, 신경림「농무」, 고은「문의마을에 가서」등이 있다.2) 관념과 기법의 정서언

  • [현대시 교육론] 문학교과서 제재 분석
  • 시 8●●박봉우휴전선●1960년대의 시박재삼울음이 타는 가을 강●김수영눈●●●●●어느날 고궁을 나오면서●풀●●푸른 하늘을●김남조정념의 기●신동엽껍데기는 가라●●●●●●●너에게●김형기폭포●박남수아침이미지●신경림농무●●●●정한모가을에●허영자자수●김영태멀리있는 무덤●1970~80년대의 시신동집오렌지●●김광섭저녁에●정호승또 기다리는 편지●고은문의 마을에

  • 한국현대시 400선 1 이해와 감상
  • 고은(高銀) 눈길 371. 고은 문의(文義) 마을에 가서 372. 고은 화살 373. 황동규(黃東奎) 기항지(寄港地)1 374. 황동규 조그만 사랑 노래 375. 황동규 풍장(風葬)1 376. 이성부(李盛夫) 벼 377. 이승훈(李昇薰) 위독(危篤) 제1호378. 허영자(許英子) 자수(刺繡) 379. 이수익(李秀翼) 말 380. 이탄(李炭) 옮겨 앉지 않는 새381. 조태일(趙泰一) 국토 서시(國土序詩) 382. 정현종(鄭玄宗) 사물(事物)의 꿈1383. 강은교(姜恩喬) 우리가 물이 되어 384. 오규원(吳圭原) 개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