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초(石艸) 신응식 - 작품 경향과 변모 과정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3.29 / 2015.03.29
  • 11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석초(石艸) 신응식 (1909-1975)
1. 생애
본명은 응식(應植), 일명 유인(唯仁), 호는 석초(石初) 혹은 석초(石艸). 1909년 충남 서천군 한산면에서 부친 신긍우와 모친 강긍선의 2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석북(石北) 조선 후기 당시 널리 애송되었던 《관산융마(關山戎馬)》를 지은 문신. 효성이 지극하였으나 오랜 관직생활에도 노모(老母)를 모실 집이 없는 사실이 알려져 왕으로부터 집과 노비를 하사 받기도 하였다. 주요 작품으로 《부해록(浮海錄)》, 《석북집(石北集)》 등이 있다. 그의 시는 당시의 현실을 담고 있거나 우리나라의 신화나 역사를 소재로 하여 민요풍의 한시로 표현하고 있어, 한문학사상 의의가 매우 크다.
신광수(申光洙)의 후손답게 그의 가계는 사대부 가문으로서의 명성을 내내 유지했다. 그는 부유한 가정에서 출생하고 성장하여 풍족한 삶을 살았다. 신학문에 큰 관심을 기울인 개화된 선비의 풍모를 갖춘 그의 부친은 석초에게 두 사람의 가정교사를 두고 한학과 신학문을 동시에 교육시켰다. 또한, 부친은 권국담 선생을 초빙하여 석초의 한학 지도를 부탁했다. 국담 선생은 종종 석초에게 이백과 두보와 소동파 얘기를 해주었다. 석초의 집은 두 할머님을 모시고 살았는데 특히 친가 어른께서는 한문과 한글을 모두 잘 하셨고 글씨도 주옥같았다. 어린 석초에게 고전소설을 들려주셨다고 한다. 석초는 사서삼경을 떼고 1921년 정규과정을 거치지 않고 한산초등학교 2학년에 입학했다. 1925년 석초는 상급학교 진학을 위해 초등학교를 자퇴했다. 우수한 성적으로 5학년을 마치고 검정고시에 합격, 최고의 명문인 서울에 있는 경성제일고보에 입학했다. 1926년 봄, 당시에 아직 잔존하던 조혼 풍습으로 아버지의 강행에 의해서 2살 연상인 강영식과 혼인하였다. 그는 선천적으로 약했고 자주 앓았다. 1927년 한 차례 학교를 휴학했고 1928년 신병을 이유로 자퇴했다.
1929년 유학길에 올라 일본에 체류하며 학업에 전념한 그는 1931년 법률을 전공하라는 부친의 의사와는 달리 호세이대학(法政大學)의 철학과에서 수학했다. 이 시기에 그는 인생에 대한 방황과 고민의 흔적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방황과 고민을 타개하기 위해 서양의 문학 서적들을 읽었다. 그 무렵 폴 발레리 20세기 전반 프랑스의 시인·비평가·사상가. 말라르메의 전통을 확립하고 재건, 상징시의 정점을 이뤘다. 20세기 최대 산문가의 하나로 꼽힌다. 산문작품은 다방면에 걸치며 평론이 가장 많다.
의 작품을 읽은 후 감명 받아 인생의 지표로 삼는다. 급기야 불어로 발레리의 작품을 통독하고자 동경에서 특별히 불어 개인교습을 받기도 한다. 당시 그를 가르치던 선생은 프랑스 여성인 잔느 시게노 부인이었다. 석초는 일주일에 두 번 그녀로부터 교습을 받았는데, 그 때 그는 교습뿐만 아니라 그녀의 해박한 지식에 압도당했다. 이 무렵 그는 일본에 만연되어 있던 사회주의 사상을 만나 1930년~32년 카프에 가담한다. 임화, 안막, 박영희 그리고 국제적인 무용가 최승희와 활발하게 교류했다. ‘유인(唯仁)’이란 필명으로 1931년에 《중앙일보》에 평론 「문학창작의 고정화에 향하여」를 발표하였고 1932년엔 《신단계》에 「예술적 방법의 정당한 이해를 위하여」를 발표하였다. 그러나 카프의 창작방법론에 대한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과정에서 1933년 박영희와 함께 카프를 탈퇴했다.
1935년 귀국하여 그의 시작에 많은 영향을 주었던 한학의 스승인 위당 정인보와 절친한 벗이었던 이육사를 만나게 된다. 우연히 《신조선》편집을 담당하면서 본격적인 문단 활동을 시작했다. ‘석초(石初)’라는 필명을 사용하여 「비취단장」 그의 첫 작품 「비취단장」은 처음 발표할 때는 19행이었으나 그후 『문장』(1940)에선 7연 50행으로, 『바라춤』에서는 6연 49행으로 꾸준히 개작된다. 이외의 많은 작품들에서 개작과 재수록이 이루어진다. (조용훈(2001) ‘신석초연구’. 도서출판 역락 )
, 「밀도를 준다」등을 발표했다. 이육사는 신석초에게서 시작 초고들을 뺏다시피 해 잡지에 발표해 주곤 했다. 석초를 훗날 《자오선》 동인으로 일컫는 것도 이런 연유에서였다. 석초는「호접(胡蝶)」,「무녀의 춤」을 《자오선》1호에 발표하였다. 《자오선》은 시인 민태규를 발행인으로 창간된 시전문지로서 1937년 11월에 창간하자마자 수명을 다했다. 주로 생명파로 지칭된 오장환, 서정주, 함형수 외에도 김광균, 민태규, 이육사 들의 작품을 대대적으로 수록했다.
이어 1939년 《시학(詩學)》 지에 「파초」(1호), 「가야금」(2호), 「묘 (墓)」(4호) 등을 발표하였다. 1942년 일제의 탄압으로 인해 『문장』이 폐간되었는데, 여기에 석초는 「발레리 연구」라는 논문과 「바라춤」,「궁시(弓矢)」 2편을 실었다. 1946년 첫 시집 『석초시집』을 간행하였고 이후 1956년 <한국문학가협회> 사무국장에 선임, 『현대문학』시 추천 위원으로 임명되는 등 활발한 활동을 이어나갔다. 1959년 두 번째 시집 『바라춤』이 간행되었고 세 번째 시집 『폭풍의 노래』(1970), 네 번째 시집 『처용은 말한다』(1974), 『수유동운』(1974)을 간행한 후 1975년 천식과 장출혈로 사망했다.
2. 작품 경향과 변모 과정
(1) 초기시
가속화되는 일본제국주의의 침탈정책으로 당시 한국의 많은 문인들의 항전 논리는 투쟁과 침묵 두 방향이었다. 석초는 침묵 쪽이었다. 그는 시대적 절망을 정인보의 조선주의에서 찾아 전통을 추구하는 방식으로 나갔다. 석초의 초기시는 생명파와도 매우 유사했다. 유하한 생을 극복하기 위해 몸부림쳤다. 그의 시는 원초적이고 관능적이고 감각적이었다. 유한자적 존재를 영원자적 존재와 대비시켜 유한자적 존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했다. 그의 정신은 멸하지 않는 것이었다. 석초는 서구적인 것은 프랑스 발레리에서 전통적인 것은 위당 정인보에서 시세계를 구축해갔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시인 신석초0
  • 작품이다. 그 점에서 조지훈의 「승무」와 유사하지만, 「승무」와는 달리 이 작품에는 춤동작에 대한 묘사가 없고, 내적인 갈등이 더 강하게 표출되고 있는 점이 특징적으로 드러난다. 또한 불교 사상에 바탕을 둔 고전적 시풍이 드러나며, 신석초의 큰 특징 중 하나인 고전시가의 운율을 원용하여 시상이 전개되고 주제가 드러나고 있는 점을 특징으로 들 수 있겠다.「바라춤」의 서두에는 ‘환락은 모두 아침 이슬과도 같이 덧없어라’라는 싯달다

  • 1940년대 문학사
  • 과정을 통해 그것을 成就해 나가는 少年主人公의 패기있는 의지를 보여주었다. 셋째, 흙과 자연에의 磁性을 다룬 작품은 암흑기라는 시대상황과 관련지어 볼 때 비로소 해당작품의 내적 의미가 드러나리라 본다. 지주의 소작인에 대한 횡포를 풍자한 李無影의 과 농민의 순한 심성을 그린 朴魯甲의등이 있는데 이로 미루어 볼 때 일제말기 농촌소설은 1930년대 농촌소설에서 볼 수 있었던 프로문학적 농촌소설의 퇴조가 가장 큰 변모라

  • [현대문학사] 해방과 새로운 문학 공간(1945-1948)
  • 과정 그 자체에서 겪는 고난스런 경험과 견문을 제시. 혼미하고 고난이 단속하는 귀국의 여정을 제시함으로써 이 시대의 삶의 실상을 여실하게 묘사2)생존의 상태가 극히 암울했던 이전의 식민지 시대의 어둡고 자물쇠화된 상태에 대한 기억과 추억의 문학적인 양식화.-식민지시대의 비극적인 역사 체험을 기억에 떠올리는 문학형태박노갑 1948;일제 치하 40년의 수난사를 객관적으로 서사화하고 있는 작품.채만식1946;문자 그대로

  • 1945~1950년대의 문학 - 현대문학의 흐름
  • 과정에서 절규하는 작품 또는 회고적이거나 감상주의적 민족주의에 바탕을 둔 역사극이 대부분이다. 많은 희곡작품이 탄생했지만 작품들의 경향이 단적으로 감격과 흥분 단순히 감정의 분출 또는 일제에 대한 복수 감정이나 회고적이며 피해의식을 되도록 미화하고 그것으로 자기만족을 이룩하려 했던 당시 극작가들의 속성을 엿볼 수 있다. 또 이런 상황 속 줄곧 침묵을 지켜왔던 유치진이 연극계의 조직화된 우익 세력을 탄생시키게 되는데 이는 해

  • 문학교육론 - 민중적 서정 시인 신경림(申庚林)
  • 변모를 겪게 된다. 그는 그동안 사회의 구조적 모순에 대해 가져오던 거부와 저항의 목소리를 내려놓고, 세상 모든 일상적인 것들의 가치를 따뜻한 목소리로 노래한다. 현실 비판만이 가난하고 힘없는 사람들을 위하는 일이 아님을 깨달은 것이다. 이에 시적 대상을 내면화하거나 자연을 통해 자아와 세계를 성찰하는 순수 서정시적 면모를 보여주기 시작한다. 그는 더욱 일상적이고 구체적인 삶의 현장 속에서 사람들이 사는 모습을 그리면서 그 안에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