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박통사 번역박통사 소개 번역박통사 이해 번역박통사 해석 번역박통사 번역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3.29 / 2015.03.29
  • 6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번역박통사 飜譯朴通事>
1.연대 : 1517년 이전
2. 언해자 : 최세진
3. 이해
번역박통사는 중종 때 최세진(崔世珍)이 중국어 학습서인 《박통사》 원문의 한자에 한글로 음을 달고 번역한 책이다. 현재 권상 1책만 전하나, 《노박집람》 《박통사집람》과 1677년에 간행된 《박통사언해》에 의하면 상·중·하의 3권 3책임을 알 수 있다. 책의 역자와 간행 연도에 대한 명확한 기록이 없다. 하지만 사성통해에 실린 번역노걸대를 번역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사성통해가 중종 12년(1517년)에 간행된 것으로 보아 그보다 앞섰을 것으로 추정된다.
원문 하자의 아래에 중국어의 음을 달되 우측은 속음(한자의 음을 읽을 때, 본음과는 달리 일반 사회에서 쓰는 음)을 적고 좌측에는 정음(글자의 바른 음)을 달고 있으며 원문과 번역문은 사이에 권표를 두어 구별하고 있다.
박통사가 중국사람의 생활 풍습과 제도 등에 관한 문답을 실은 책이므로 그것을 번역한 이 책은 독특한 대화체의 풍부한 자료를 제공하여주며 특이한 국어학 자료가 된다.그 내용에 있어 외교상 구체적 절차, 잡기 보석 치장, 용접관계, 결혼 풍속, 계약절차, 문서작성 관계, 산후조리, 활쏘기 등, 다양한 내용이 들어있다. 이들 가운데는 동일한 원문에 대하여 상이한 해석의 언해본들도 있다. 이러한 사실로 인하여 이들 문헌들은 국어의 사적 연구를 위한 전대미문의 가치를 지닌 문헌 자료로 평가되었고 , 오늘에 이르기까지 많은 연구자들이 여러 관점에서 접근하였던 것이다. 또 중간본인 박통사언해와 비교가 가능하다는 점에서도 귀중하다. 아울러 원문한자의 한글 독음은 중국어의 음운사 연구에 이용될 수 있다.
4.백화문과 한문(문언문) 비교
번역박통사는 ‘노걸대’의 원문 한자에 한글로 중국의 정음(오른쪽)과 속음(왼쪽)을 달고 그 원문 백화문을 우리말로 번역한 책이다. 여기서 백화문은 중국어 서면어(書面語)인 백화(白話)로 쓰인 산문을 말한다. 즉 구어체로 쓴 중국의 글이라는 것이다. 지식인층을 중심으로 고전 등에 나오는 문구를 근거로 쓰여진 문언문에 비해, 백화문은 각 시대를 거치며 북경어를 중심으로 민간에서 말해지는 일상 언어가 반영되어,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그 형태가 갖추어졌다. 번역박통사는 생활 풍습 등의 가벼운 이야기 등을 담은 책이므로 민간인들에게 쉽게 읽혀지도록 백화문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당시의 사대부들은 백화로 씌어진 문장을 경시하였다. 하지만 문법을 몰라도 아는 한자만 있으면 말하는 대로 적는 백화문이 일반 민중들에게는 편리한 표현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찰幾기箇개好호朋붕友우們문 這저八팔月월十십五오日일仲중秋추節절 감些사錢전 做주원원月월會회 찰做주那나一일日일 各각自자說설箇개重중誓서 結결做주好호弟제兄형時시如여何하 好호意의思사 將장一일張장紙지來래 衆중朋붕友우們문的적名명字자 都도寫사着착請청去거
우리 여러 됴히 너기논 벋히 이 팔월 보름날 중추절에 돈거두워 샹완 노리져
우리 그 나래 각각 큰 세 닐어 됴 형뎨 지면 엇더고 됴 디로다 죠 댱 가져다가 모든 벋 일후믈 다 써 쳥라가라
우리 여러 마음 좋게 여기는 벗들이 이 팔월 보름 추석에 돈을 걷어 달 구경할 놀이를 하자. 우리 그 날에 각각 굳은 맹세를 하여 (마음) 좋은 형제를 맺는 것이 어떠한가. 좋은 생각이다. 종이 한 장 가져다가 모든 벗들의 이름을 다 써서 청하러 가거라.
1) 벅히 : 벗들이; ‘-ㅎ’은 복수접미사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대중매체]대중문화의 이해 - 판타지소설과 영화에 대하여
  • 해석과 평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문화평론가 김정란씨는 “지금 유행하는 판타지 소설의 본질은 현실에 만족하지 못하는 갈증을 현실 도피적인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풀어내는 것.”이라며 “지극히 가볍고 오락적인 형태 일색인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판타지문학이 주류로 편입되기 위해서는 작가들의 치열한 철학적 사유가 반영된 환상적 리얼리즘으로 발전해야한다.”고 덧붙였다. 요즘 우리나라 서점가나 인

  • 국어 통사론 연구의 경향 2001년을 중심으로
  • 번역 시스템을 위한 ‘-를’의 처리.”『한국어의 목적어』. 월인.허명자. “韓國語の被動文の語用的特徵について.” 『한일어문학논총』 . 태학사 .허원욱. “언어 구사의 모형과 실현 층위­‘상황 판단적 층위’ 중 ‘시간’에 대한 판단을 중심으로­ .” 『한말연구』9. 한말연구학회 .허철구. “국어 주제어의 문법적 특성에 대하여.” 『국어연구의 이론과 실제』(이광호교수 회갑기념논총) . 태학사 .홍상희. “여성 3인칭 대명사 ‘그녀’에

  • 한국어 변천사 훈민정음의 판본 창제목 제자원리 최세진의 훈몽자회
  •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 되어 그만큼 보람 있는 시간이 되었다. 수업시간에 많은 재미있는 이야기와 한국어의 변천사에 대해 많은 가르침을 주신 선생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며, 이번 보고서 마치려 한다. - 바로잡은 한글 / 권재선 / 우골탑 / 1994 -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 조규태 / 한국문화사 / 2000 -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 박종국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세종문화문고 / 1989 - 훈민정음 / 박창원 / 신구문화사 / 2005 - 훈민정음연구 / 강

  • 한국어사 자료 부분 정리
  • 정리하여 보았다. 자료의 성격 및 자료의 특징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렇게 각 자료의 특징들을 제대로 이해하게 될 때 국어학의 음운, 형태, 통사, 그리고 어휘에 대한 통사적 통찰력도 더 확보되리라 생각된다. 부족한 정리였지만 이를 바탕으로 각자가 더 낳은 자료를 정리하여 한국어사 연구에 조금의 보탬이 되고자 하는 바람을 담아 마무리를 하고자 한다.■ 참고문헌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중세 국어, 근대 국어 편), 1998, 국립국어연구원

  • [방언어휘, 방언, 어휘] 방언어휘(방언의 어휘)의 의미, 방언어휘(방언의 어휘)의 특성, 황해도의 방언어휘(방언의 어휘), 경상도의 방언어휘(방언의 어휘), 경상남도의 방언어휘(방언의 어휘), 함경북도의 방언어휘(방언의 어휘) 분석
  • 이해의 부족에 기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려면 상대방이 사용하는 방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리적인 거리에 의해 형성된 지역 방언과 사회적인 요인에 의해 형성된 사회방언을 이해해야 한다. 지역 방언이나 사회 방언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은 필수적으로 방언 조사를 요구한다. 방언 조사의 내용과 방법은 연구의 목적이나 방향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므로 그것을 고려해서 정해지게 되고, 이렇게 조사된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