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별곡(翰林別曲) 작품론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3.29 / 2015.03.29
  • 5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9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한림별곡(翰林別曲)> 작품론
1. 내용
<한림별곡(翰林別曲)>은 <고려사>악지에 속악가사의 하나로 들어있으며, <악장가사>에 전문이 실려 있고 경기체가의 효시로 꼽힌다.
작품은 모두 8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장은 과거 시험장의 모습을, 제 2장은 난해한 책들을 많이 접하고 외운다는 내용을, 제 3장은 서예가들을 나열하고 있으며, 제 4장은 고급술자리의 모습을 노래하고 있다. 제 5장은 기녀를 상징 하는 것 같은 꽃을 등장시키고, 제 6장은 당대의 남녀 악사들이 대거 등장한다. 제 7장에서는 선녀로 묘사되는 기녀와의 놀이를 다루고 있고 마지막으로 제 8장에서는 두 사람이 쌍그네를 타는 장면을 묘사한다.
元淳文(원슌문) 仁老詩(인노시) 公老四六(공노사륙)
李正言(니졍언) 陳翰林(딘한림) 雙韻走筆(솽운주필)
沖基對策(튱긔대책) 光鈞經義(광균경의) 良鏡詩賦(량경시부)
위 試場(시댱)ㅅ 景(경) 긔 엇더니잇고
琴學士(금학사)의 玉筍門生(옥슌문) 琴學士(금학사)의 玉筍門生(옥슌문)
위 날조차 몃부니잇고
唐漢書(당한셔) 莊老子(장로자) 韓柳文集(한류문집)
李杜集(니두집) 蘭臺集(난대집) 白樂天集(백락텬집)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전시가교육론] 한림별곡 - 참을 수 없는 사대부의 긍지, 한림별곡을 고찰하다
  • 참을 수 없는 사대부의 긍지,한림별곡(翰林別曲)을 고찰하다.Ⅰ. 서 론 고등학교 때 을 정말 재밌게 공부했던 기억이 난다. 점잖은 사대부들이 어떻게 보면 유치하게 보일 정도로 천진난만하게 스스로 자랑하는 모습을 상상하면서 고전의 즐거움을 느끼게 해줬던 작품이었다. 그래서 이번 경기체가의 작품론을 쓰면서 작품선정을 아무 주저 없이 한림별곡을 선정했다. 경기체가는 고려 후기에 발생하여 조선 중기까지 세력을 잃지 않았던

  • 고려가요의 이해, 주요작품 분석
  • 작품론1』, 집문당, 1992.임주탁, , 국어교과서교육학회, 2001.강대구, , 첨람어문학회, 1995.최승영, ,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4.이현주, , 부경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박재민, “정석가의 발생시기” ,한국시가학회, 2003.박재민, “정석가> 주석재고와 문학적 향방 (2) -딩아 돌하를 중심(中心)으로 ,한국고전문학회, 2012.정병

  • [고전시가론] 경기체가 연구
  • 한림별곡(翰林別曲) > 1 어구해석 및 현대역 元淳文 仁老詩 公老四六李正言 陳翰林 雙韻走筆沖基對策 光鈞經義 良經詩賦위 試場ㅅ景 긔 엇더니잇고琴學士의 玉荀文生 琴學士의 玉筍文生위 날조차 몃부니잇고▶현대역유원순의 문장, 이인로의 시, 이공로의 사륙변려문이규보와 진화의 쌍운주필유충기의 대책문, 민광균의 경서풀이, 김양경의 시와 부아, 과시장(科試場)의 모습 그 어떠합니까금의(琴儀)의 죽순처럼 많은 제자, 금의의 죽순

  • 시조의 기원 및 발생시기
  • 翰林別曲之類 出於文人之口 而矜豪放蕩 兼以褻慢戱狎 尤非君子所宜尙 惟近世李鼈六歌者 世所盛傳 猶爲彼善於此 亦惜乎其有玩世不恭之意 而少溫柔敦厚 之悉也 老人素不解音律 而猶知厭蚊世俗之樂 閑居養疾之餘 凡有感漁情性者 每發漁詩 然今之詩而於古之詩 可詠而不可可也 如欲珂之 必綴伊俚俗之語 蓋國俗音節所不得不然也 故嘗略倣李珂而作 爲陶散六曲者二焉 其一言志 其二言學 欲使兒輩朝夕習而珂之 憑 而廳之 亦令啞配自歌而自舞蹈之 庶幾

  • 경기체가의 장르적 성격
  • 한림별곡의 연행 방식과 향유층’, 한국고전시가작품론1, 정병욱선생10주기회갑논문집간행위, 집문당, 1992.2. 임기중외 5인 공저, 경기체가연구, 태학사, 1997. 3. 이명구, ‘경기체가의 역사적 성격 고찰’, 대동문화연구 1,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1963.4. 장덕순, 국문학통론, 신구문화사, 1963.5. 조동일, ‘경기체가의 장르적 성격’,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15, 학술원, 1976.6. 장덕순, 한국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1986.7. 조동일, 제3판 한국문학통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