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별곡(翰林別曲) 작품론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3.29 / 2015.03.29
  • 5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9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한림별곡(翰林別曲)> 작품론
1. 작품요약
1) 작품전문
<제 1 장>
元淳 文(원순 문) 仁老 詩(인로 시) 公老 四六(공로 사륙)
李正言(이정언) 陳翰林(진한림) 雙韻走筆(쌍운주필)
基(충기) 對策(대책) 光鈞(광균) 經義(경의) 良鏡(량경) 詩賦(시부)
위 試場(시장)ㅅ 景(경) 긔 엇더니잇고
(葉) 琴學士(금학사)의 玉門生(옥순문생) 琴學士(금학사)의 玉門生(옥순문생)
위 날 조차 몃부니잇고
<제 2 장>
唐漢書(당한서) 莊老子(장노자) 韓柳文集(한류문집)
李杜集(이두집) 蘭臺集(란대집) 白樂天集(백락천집)
毛詩(모시) 尙書(상서) 周易(주역) 春秋(춘추) 周戴禮記(주대예기)
위 註(주)조쳐 내외온 景(경) 긔 엇더니잇고
(葉) 太平光記(태평광기) 四百餘卷(사백여권) 太平光記(태평광기) 四百餘卷(사백여권)
위 歷覽(역람)ㅅ 景(경) 긔 엇더니잇고
<제 3 장>
眞卿書(진경서) 飛白書(비백서) 行書(행서) 草書(초서)
篆書(전주서) 書(과두서) 虞書南書(우서남서)
羊鬚筆(양수필) 鼠鬚筆(서수필) 빗기 드러
위 딕논 景(경) 긔 엇더니잇고
(葉)吳生劉生(오생유생) 兩先生(양선생)의 吳生劉生(오생유생) 兩先生(양선생)의
위 走筆(주필)ㅅ 景(경) 긔 엇더니잇고
<제 4 장>
黃金酒(황금주) 栢子酒(백자주) 松酒(송주) 醴酒(예주)
竹葉酒(죽엽주) 梨花酒(이화주) 五加皮酒(오가피주)
鸚鵡盞(앵무잔) 琥珀盃(호박배)예 득 브어
위 勸上(권상)ㅅ 景(경) 긔 엇더니잇고
(葉)劉伶(유영)陶潛(도잠) 兩仙翁(양선옹)의 劉伶(유영)陶潛(도잠) 兩仙翁(양선옹)의
위 醉(취)혼 景(경) 긔 엇더니잇고
<제 5 장>
紅牧丹(홍목단) 白牧丹(백목단) 丁紅牧丹(정홍목단)
紅芍藥(홍작약) 白芍藥(백작약) 丁紅芍藥(정홍작약)
御柳(어류) 玉海(옥해) 黃紫薔薇(황자장미) 芷芝冬栢(지지동백)
위 間發(간발)ㅅ 景(경) 긔 엇더니잇고
(葉) 合竹桃花(합죽도화) 고온 두 분 合竹桃花(합죽도화) 고온 두 분
위 上暎(상영)ㅅ 景(경) 긔 엇더니잇고
<제 6 장>
阿陽琴(아양금) 文卓笛(문탁적) 宗武中琴(종무중금)
帶御香(대어향) 玉肌香(옥기향) 雙伽倻(쌍가야)ㅅ고
金善琵琶(금선비파) 宗智琴(종지혜금) 薛原杖鼓(설원장고)
위 過夜(과야)ㅅ 景(경) 긔 엇더니잇고
(葉) 一枝紅(일지홍)의 빗근 笛吹(적취) 一枝紅(일지홍)의 빗근 笛吹(적취)
위 듣고아 드러지라
<제 7 장>
蓬萊山(봉래산) 方丈山(방장산) 瀛州三山(영주삼산)
此三山(차삼산) 紅樓閣(홍루각) 仙子(작작선자)
綠髮額子(녹발액자) 錦繡帳裏(금수장리) 珠簾半捲(주렴반권)
위 등망오호(등망오호)ㅅ 景(경) 긔 엇더니잇고
(葉) 綠楊綠竹(녹양녹죽) 栽亭畔(재정반)애 綠楊綠竹(녹양녹죽) 栽亭畔(재정반)애
위 黃(전황앵) 반갑두셰라
<제 8 장>
唐唐唐(당당당) 唐楸子(당추자) 莢(조협)남긔
紅(홍)실로 紅(홍)글위 다
혀고시라 밀오시라 鄭少年(정소년)하
위 내 가논 갈셰라
(葉) 削玉纖纖(삭옥섬섬) 雙手(쌍수)ㅅ길헤 削玉纖纖(삭옥섬섬) 雙手(쌍수)ㅅ길헤
위 携手同遊(휴수동유)ㅅ景(경) 긔 엇더니잇고
-『樂章歌詞』-
2. 주제
①귀족들의 향락적 풍류 생활, 유생들의 학문적 자부심.
②귀족들의 사치스런 생활상과 향락적이고 퇴영적인 기풍, 신진사류(新進士類)들의 의욕적 기개 경탄.
3. 기존연구
▶ 제작연대 - 고종대 창작설
한림별곡의 창작시기가 고려 고종대 라는 견해의 가장 유력한 근거는 『고려사(高麗史)』 악지(樂志)의 기록이다. “고려 고종(高宗) 때 한림(翰林)의 여러 선비가 지은바” 라고 기록되어 있다.
연구자
추정연대
근거
김동욱 김동욱, 「한림별곡에 대하여」,『고려가요 연구』, 새문사, 1982.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전시가교육론] 한림별곡 - 참을 수 없는 사대부의 긍지, 한림별곡을 고찰하다
  • 참을 수 없는 사대부의 긍지,한림별곡(翰林別曲)을 고찰하다.Ⅰ. 서 론 고등학교 때 을 정말 재밌게 공부했던 기억이 난다. 점잖은 사대부들이 어떻게 보면 유치하게 보일 정도로 천진난만하게 스스로 자랑하는 모습을 상상하면서 고전의 즐거움을 느끼게 해줬던 작품이었다. 그래서 이번 경기체가의 작품론을 쓰면서 작품선정을 아무 주저 없이 한림별곡을 선정했다. 경기체가는 고려 후기에 발생하여 조선 중기까지 세력을 잃지 않았던

  • 고려가요의 이해, 주요작품 분석
  • 작품론1』, 집문당, 1992.임주탁, , 국어교과서교육학회, 2001.강대구, , 첨람어문학회, 1995.최승영, ,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4.이현주, , 부경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박재민, “정석가의 발생시기” ,한국시가학회, 2003.박재민, “정석가> 주석재고와 문학적 향방 (2) -딩아 돌하를 중심(中心)으로 ,한국고전문학회, 2012.정병

  • [고전시가론] 경기체가 연구
  • 한림별곡(翰林別曲) > 1 어구해석 및 현대역 元淳文 仁老詩 公老四六李正言 陳翰林 雙韻走筆沖基對策 光鈞經義 良經詩賦위 試場ㅅ景 긔 엇더니잇고琴學士의 玉荀文生 琴學士의 玉筍文生위 날조차 몃부니잇고▶현대역유원순의 문장, 이인로의 시, 이공로의 사륙변려문이규보와 진화의 쌍운주필유충기의 대책문, 민광균의 경서풀이, 김양경의 시와 부아, 과시장(科試場)의 모습 그 어떠합니까금의(琴儀)의 죽순처럼 많은 제자, 금의의 죽순

  • 시조의 기원 및 발생시기
  • 翰林別曲之類 出於文人之口 而矜豪放蕩 兼以褻慢戱狎 尤非君子所宜尙 惟近世李鼈六歌者 世所盛傳 猶爲彼善於此 亦惜乎其有玩世不恭之意 而少溫柔敦厚 之悉也 老人素不解音律 而猶知厭蚊世俗之樂 閑居養疾之餘 凡有感漁情性者 每發漁詩 然今之詩而於古之詩 可詠而不可可也 如欲珂之 必綴伊俚俗之語 蓋國俗音節所不得不然也 故嘗略倣李珂而作 爲陶散六曲者二焉 其一言志 其二言學 欲使兒輩朝夕習而珂之 憑 而廳之 亦令啞配自歌而自舞蹈之 庶幾

  • 경기체가의 장르적 성격
  • 한림별곡의 연행 방식과 향유층’, 한국고전시가작품론1, 정병욱선생10주기회갑논문집간행위, 집문당, 1992.2. 임기중외 5인 공저, 경기체가연구, 태학사, 1997. 3. 이명구, ‘경기체가의 역사적 성격 고찰’, 대동문화연구 1,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1963.4. 장덕순, 국문학통론, 신구문화사, 1963.5. 조동일, ‘경기체가의 장르적 성격’,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15, 학술원, 1976.6. 장덕순, 한국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1986.7. 조동일, 제3판 한국문학통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