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전시가교육 - 천주가사 중심으로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3.29 / 2015.03.29
  • 7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한국고전시가교육
1. 개요
가사는 시조와 함께 조선조 문학의 쌍벽으로서 현대까지 창작, 향유되어 온 우리 고유의 문학 갈래이다. 한글 창제 이후에도 여전히 한문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던 시대에 한글로 창작된 가사는 예술적 활동에서 한글을 본격적으로 사용하였으므로 한글문학의 위상을 드높였다.
가사는 고려 말에 발생하고 조선 초기 사대부계층에 의해 확고한 문학 양식으로 자리 잡아 조선시대를 관통하며 지속적으로 전해 내려온 문학의 한 갈래이다. 조선 후기의 가사는 양반, 평민, 승려와 여성에까지 확대되어 대중화가 이루어지면서 근대 문학의 형성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4음 4보격을 기준 율격으로 할 뿐, 행(行)에 제한을 두지 않는 연속체 율문(律文)형식을 갖고 있다. 주요 작가층은 사대부계층이며, 장르 자체가 지닌 폭넓은 개방성 덕분에 양반가(兩班家)의 부녀자, 승려, 중·서민(中·庶民) 등 기술(記述) 능력을 갖춘 모든 계층이 참여했던 관습적 문학양식이다. 내용 또한 까다로운 제한요건이 없어 다채롭게 전개되었다. 명칭은 ‘가사(歌詞)·가사(歌辭)·가’ 등이 관습적으로 통용되었으나, 오늘날에는 문학 장르 명칭으로 ‘가사(歌辭)’라고 일반적으로 부른다.
가사 중에 ‘종교가사’에는 종교의 교리를 세상에 널리 펴는 것을 주제로 한 가사로 경전 교리를 가사체로 서술한 것, 신앙정신에 입각하여 창작한 것, 전도를 목적으로 지은 것 등 모두 포함된다. 종교가사에는 불교가사, 천주교가사, 동학가사, 유교가사 등이 있다.
불교가사는 가사 발생문제의 쟁점이 되어온 나옹화상(懶翁和尙)의 <서왕가 西往歌>·<승원가 僧元歌> 등에 이어 휴정(休靜)의 <회심곡>과 회심곡의 이본들, 침굉(枕肱)의 <귀산곡 歸山曲>·<태평곡>, 지영(智塋)의 <전설인과곡 奠設因果曲>·<수선곡 修善曲> 등이 있다.
천주교가사는 정약전(丁若銓) 등이 지은 <십계명가 十誡命歌>, 이벽(李檗)이 지은 <천주공경가>, 도마 최양업(崔良業)의 <사향가>·<삼세대의> 외 20편, 김기호(金起浩)의 <성당가 聖堂歌> 등이 있다.
동학가사는 천도교가사라고도 하는데, 후천 개벽의 도래를 주창하면서 동학을 창시한 최제우(崔濟愚)의 ≪용담유사≫ 9편은 가사가 곧 동학의 경전이 된 작품이며, 김주희(金周熙)가 설립한 상주 동학본부에서 수집 정리하여 간행한 동학가사 100여 편이 있다. 동학가사는 민중의 힘을 결집시킨 구국과 개혁의 사회적 이념이 자생적 근대 지향을 보인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이번 Report에서는 많은 가사 작품 중, 천주가사의 목적과 형성배경, 발전양상 그리고 천주가사의 작품을 알아보고 분석해보도록 하겠다.
2. 천주가사의 목적 및 형성배경
천주가사는 천주교의 교리와 신앙의 교훈을 전달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가사이다. 형식은 조선 후기의 일반가사형식인 4·4조로 되어 있으며, 후기에 와서는 드물게 7·5조와 8·5조도 나타난다. 평이한 한글로 작사되고, 가사가 주로 장형(長型)으로 되어 있음은, 작사의 본래 의도가 종교의식의 음악적 목적에 사용하고자 한 것이 아니라 대중교화를 목적으로 하였기 때문이다. 전승자들은 이를 ‘천당노래’·‘천당강론’·‘사주구령가(事主救靈歌)’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천당노래’란 하늘나라를 향하여 영생을 꿈꾸며 사는 순례자들이 자기네 고향인 천당 길을 닦는 노래라는 뜻이며, ‘강론’이라는 명칭은 가사의 내용이 교훈과 교화를 주로 하고 있으므로 붙인 것이다. 또한 ‘사대구령가’란 천주를 섬기고 자기 영혼의 길을 가르치는 신앙 본래의 목적을 노래하고 있는 데서 비롯된 것이다. 천주가사를 곡조에 맞추어 노래한 것은 1900년대부터이다.
가사의 사용자들이 자신의 감흥을 위하여 그 시대에 널리 유행되고 있는 노래의 곡조를 빌려다 쓰거나 단조로운 곡조를 붙여서 불렀고, 전례의식의 성가로 사용된 것은 1920년경부터이며 한 가사의 일부분이 인용되는 정도였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현대시강독] 개화기 시가문학(1860~1919)
  • 중심으로 발행된 『친목회 회보』가 근대식 잡지의 효시라 하겠는데, 사설, 논문, 교양물 위주였으며 특히 문원란을 두어 문학작품을 다루었다. 문체는 한문, 국한문혼용체였다. 1.2.3. 국어국문운동한편 이들 신문과 잡지에서 주목해야 할 사실은 국문교육과 국문운동이다. 1984년 갑오경장이후 고종은 홍범(洪範) 14조에서 신교육을 천명하고 교육을 전담하는 학부아문(學府衙門)을 두어 한성사범대학에서는 교사를 양성하고 전국 각지에 관공립 소학

  • [한국고전시가론] 해외 기행가사 연구-조선시대의 중국행, 일본행 사행가사와 근대의 서양 기행가사
  • 가사국가 공식 사절의 일원으로 일본을 방문한 경험을 그린 사행가사는 18세기 계미통신사의 일본 체험을 그린 김인겸(金仁謙: 1707~1772)의 와 그 뒤를 잇는 작품은 조선 공사관 참서관 자격으로 일본에 거주했던 이태직(李台稙)이 1895년 7월~1896년 4월까지 거주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쓴 이다. 두 편의 가사는 조선 후기, 구한말이라는 이질적인 시기를 배경으로 동일한 대상을 서술한 작품이다. 작품에 나타난 노정은 140여 년이

  • [한국문학사] 개화기 문학
  • .4. 맺는말지금까지 개화기의 문학 작품들을 통해 그 작품 속에 반영된 개화기의 문학작품과 시대상황을 살펴보았다. 개화가사나 창가, 신체시, 신소설 등은 하나의 정형화된 장르적 특성을 보여주지는 못했으나 과도기적인 특성을 보여줌으로서 당시의 사회 또한 전근대에서 근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혼란된 양상을 보여주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이러한 개화기 문학을 거쳐 앞으로 이어질 한국문학사를 이해하는데 보탬이 되었음 한다.

  • [한국문학사] 한국문학사 요점정리 서브노트
  • 한국 현대시 개관1. 우리 시문학의 전통가. 5세기 이전부터 시가전통이 존재함나. 신라시대의 향가와 고려시대의 가요다. 조선전기 시조의 융성라. 조선후기 사설시조를 중심으로한 서민문학 발전마. 19세기 후반의 개화기시가와 창가의 등장2. 개화기 시가의 성격가. 개화기 가사▪창가▪신체시 등의 작은 갈래나. 제국주의 열강의 위협과 근대화에 대한 강한 지향다. 주요작자층은 당대의 선각자와 지식인 엘리트라. 비전문적이고 계몽적인 창

  • [현대문학사] 1900-1910년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 소설, 비평
  • 한국현대문학사1』, 민음사, 2004, 160~162쪽② ≪大韓每日申報≫의 개화가사• ‘사조’, ‘사회등’에 발표되었다. 1907.12.8~1910.8.17까지 ‘사회등’에 발표된 작품은 총 600여 편이다.• 대부분 익명이고, 제목이 있으며, 연마다 (一)(二)의 번호가 있다.• 서구문화와 과학사상을 수용하여 민족의 자주권을 확립하고 청소년들에게 신교육을 권장하여 문명개화를 이룩하자는 주제의식을 담고 있다.• 민족관념은 구국정신으로 표상되는데, 이것은 개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