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전시가론] 해외 기행가사 연구-조선시대의 중국행, 일본행 사행가사와 근대의 서양 기행가사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10.28 / 2019.12.24
  • 25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7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서론

Ⅱ. 사행가사

Ⅲ. 중국행 기행가사

1. <서행록>
1) 작품 구조와 내용
2) 이국에서의 자아 인식

2. <연행가>
1) 작가
2) 노정 및 구성
3) 세계 인식 태도

Ⅳ. 일본행 기행가사

1. <일동장유가>

2. <대일본유람가>

Ⅴ. 해외 기행가사

1. <셔유견문록>
1) 전통 대중 시가의 표현형식 차용
2) 견문 내용의 상세한 보여주기
3) 변형된 화이관(華夷觀)

2. <해유가>
1) 여행의 동기
2) 미국의 사회 구조에 대한 깊은 이해

Ⅵ. 결론

본문내용
(2) 숭명사상

연행가 속에는 숭명사상을 드러내는 인용 고사가 많이 드러난다. 이를 통해 작가가 품고 있었을 대명의식을 파악할 수 있다.

릉하 다다르니/ 물빗도 젹탁며/ 풍셰 위름여/ 흉흉 물결이라 슬푸다
명젹의 유장군/ 수십만명 일시의 함몰여/ 이물의 져니/ 이리 지날젹의
엇지아니 창감랴

대릉하(大凌河)를 지날 때는 그곳에서 대명(大明)의 유장군을 회상하며 명나라의 병사가 이곳에서 빠져죽은 것을 슬퍼하고 있다.

구혈라 희/ 셕셩셔 쳐다뵌다/ 명장 원슝환이가/ 쳥병을 쳡
라지 도라나라/ 피토던 곳이라데

위의 인용문에서는 구혈대(嘔血臺)에서 명나라 장군 원숭환이 청병을 맞아 싸우던 고사와 함께 누르하치가 피를 토한 곳이라 말하고 있다.

영원셩 드러가니/ 죠가와 두루가/ 의의히 마조잇셔/ 져러듯 쟝도다
드르니 대명의/ 영 죠슈가/ 형뎨셰룍 지선으로/ 변방의 공셰우
나라의셔 졍문샤/ 루둘을 셰우시고/ 튱열을 포시니/ 편리국은 엿시
무도 죠가형뎨/ 그후의 반여/ 쳥나라 투항니/ 붓그럽다 져루여
긔교한 져루/ 의연이 나마잇다

여기서는 영원성(寧遠城)에서 조가(朝家)형제의 두 패루(牌樓)에 관한 고사를 말하고 있다. 대명 때 공을 세운 조가 형제에게 나라에서는 정문(旌門)하여 패루까지 세워주었는데 무도하게도 명나라의 은혜를 저버리고 청나라에 투항하니 두 패루만 의연히 남아있다는 내용이다.
이처럼 청에 끝까지 저항한 인물이나 반대로 청에 투항한 인물들을 내세워 숭명사상을 나타내고 있다. 당시 조선이 명나라와 청나라를 바라보는 관점이 그러하듯 작가도 숭명멸청사상을 숨김없이 드러내고 있는데, 명나라를 지칭함에 있어 대명(大明)이라 부르며 이와는 대조적으로 청을 오랑캐(胡)라고 일컫는 것은 이러한 감정을 잘 드러낸다. 그리고 명나라를 배반하고 청나라에 붙은 인물들을 비판하면서 끝까지 청나라에 부속되기를 거부한 명문거족 송씨를 찬양하는 대목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또 굳이 명나라를 직접 언급하며 숭명사상을 드러내지 않더라도 청을 멸시하는 시선 자체가 명나라를 긍정하는 것에 대한 반동현상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청에 대한 멸시는 상대적으로 명을 높이는 동시에 우리 문화에 대한 자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전시가론] 중국 기행가사
  • 사행가사가 지니는 문학사적의의라 할 수 있겠다. 참고자료임기중, 『연행가사연구』, 아세아문화사, 2001.공혜정, “에 나타난 홍순학의 사대부의식과 대외관 연구”, 부산:부경대 대학원, 2003.엄태웅, “연행 체험에 나타난 기억의 변모 양상-과 를 중심으로-”, 『한문학보』Vol.21, 2009. 유정선, “19세기 중국 사행가사에 반영된 기행체험과 이국취향-과 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17집, 2008.이병

  • [국어국문학] 가사문학에 대하여
  • Ⅰ. 序 論우리 한국 문학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성격의 특수 문화형태인 ‘歌辭는 발생이래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오랜 세월에 걸쳐 각계 각층의 많은 사람들에 의하여 각양각색으로 창작 되었다. 조선시대 선비들에게서는 후생들을 가르치고 깨우치기 위해 교술의 방편으로 지어져 노래 불러지거나 읊조렸다. 인간 이동의 여행 경험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새로운 지식과 견문의 전달을 위한 기행으로 지어졌고, 개화기 언론인들에게는 그들의 주장

  • [현대시강독] 개화기 시문학(1800년대 후반~1900년대)
  • 조선 후기 양반사회의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서 종래의 전통 사상을 지양하고, 서양 세력에 맞서기 위해서 서양 세력의 정신적 기반으로 보이는 천주교에 대항할 수 있는 새로운 종교의 필요성에서 생겨났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생겨난 동학은 지속적으로 종교사상으로서, 민족의 종교로서, 보국안민을 지향하는 사회 개혁 사상의 일면을 지니고 사회, 문화적 전환의 기폭제로 작용하게 된다. 신명란, “한국 근대 이행기 시조 연구”,2

  • 조선 후기 사행문학과 동아시아 문화교류
  • 조선시대 지식인들은 연행사와 통신사를 통해 유입된 외부 문물 및 지식에 반응하며 현실감각을 조율한 것이다. 이 가운데 사행문학은 공식적 차원의 기록들과 달리 창작 주체가 경험을 해석하고 내면화하여 의미를 재구성했기 때문에 심미성과 성찰성이 풍부한 텍스트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일찍부터 많은 연구자들이 사행문학을 주목한 이유이기도 하다. 김윤희, 「조선후기 사행가사의 세계 인식과 문학적 특질」,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0.이채연,

  • 가사 레포트
  • 가사 「金相肅」 書에,其體有短歌長辭위에 든 ‘長辭’도 단가(短歌)에 대하여 쓴 명칭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長歌’와 ‘長辭’는 고려나 조선시대를 막론하고 특별한 구별 없이 문학작품이 장형이라는 일반개념으로 부르는 명칭이며, 문학 장르의 명칭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3) 에 대한 문헌상의 용례• 「삼국사기」 권 11, 신라 본기 11, 헌강왕조에,燕群臣於臨海殿 酒酣上鼓琴 左右各進 歌詞• 「삼국유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