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별곡」에 대한 고찰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3.29 / 2015.03.29
  • 5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9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서경별곡」에 대한 고찰
Ⅰ. 본문
서경이 아즐가
서경이 셔울히마르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닷곤 l 아즐가
닷곤 l 쇼셩경 고요l마른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여l므른 아즐가
여l므른 질삼뵈 리시고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괴시란l 아즐가
괴시란l 우러곰 좃니노이다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구스리 아즐가
구스리 바회예 다신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긴히ㅼ 아즐가
긴히단 그츠리잇가 나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즈믄 l를 아즐가
즈믄 l를 외오곰 녀신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신잇 아즐가
신잇 그츠리잇가 나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대동강 아즐가
대동강 너븐디 몰라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l내여 아즐가
l내여 노다 샤공아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네가시 아즐가
네가시 럼난디 몰라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녈l예 아즐가
녈l예 연즌다 샤공아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대동강 아즐가
대동강 건너편 고즐여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l타들면 아즐가
l타들면 것고리이다 나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서경이 서울이지만
닦은 곳 소성경 사랑하지만,
여의기보다는 길쌈 베 버리고
사랑하신다면 울면서 좇겠습니다.
구슬이 바위에 떨어진들,
끈이야 끊어지겠습니까?
즈믄 해를 외따로 살아간들
신이야 끊어지겠습니까?
대동강이 넓은 줄을 몰라서 배를 내어놓았느냐, 사공아,
네 아내가 놀아난 줄도 모르고 다니는 배에 몸을 실었느냐, 사공아.
(나의 임은) 대동강 건너편 꽃을, 배를 타면 꺾을 것입니다.
Ⅱ. 주제
떠나는 임에 대한 애원과 체념
Ⅲ. 기존연구
고려속요는 주제를 대부분 사랑으로 하고 있어 종종 남녀상열지사의 지탄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는데 그러한 고려속요의 대부분의 사랑은 미완성의 사랑이다. 이동길. 「高麗俗謠硏究-話者의 態度類型에 따른 內容的 特性을 中心으로-」 1992. p.75.
이러한 입장에서 서경별곡을 해석한 의견을 살펴보면, <서경별곡>은 전 13단락으로 분단되어 있으나 크게 3연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本歌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어석의 문제와 合成歌謠說이다. 어석의 문제는 마지막 문단의 ‘네가시 럼난디’ 부분인데 양주동은 ‘네 妻가 猥淫한지’로 해석하고, 박병채는 ‘너의 아내가 過慾한 줄을’로 해석하였다. 김정규와 전규태는 ‘네 아내가 淫亂한 마음이 난지’로 해석한다. 이 부분에서 알 수 있듯이 거의 비슷한 의견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 합성가요설을 이야기해보면, 그 내용을 보았을 때 <서경별곡>의 첫 연은 간절하고 지극한 사랑의 표현이다. 화자는 자신의 고향, 자신의 직분인 ‘질삼뵈’를 버리고 울면서라도 사랑하는 님을 따르겠다고 말하고 있다. 이러한 열렬한 사랑으로 떠나는 님에게 매달리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화자의 님이 떠나가는 것을 고려 중후기의 민란이나 몽고란과 관계있다고 보는 설이 있다. Ibid. p.78.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려속요의 여음의 특징과 기능
  • 대한 고찰을 통해 ‘動動’이 지니는 의미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다. 고려속요 중 작자를 확실히 알 수 있는 예종의 , 정서의 은 12세기에 창작된 작품들이다. 그리고 12세기에 창작된 이러한 작품들에서는 여전히 향가의 모습이 남아있음을 알 수 있다.(물론, 이러한 논의들은 한용운이나 정지용의 시에서 보이는 향가적 여음구에 대해서 반드시 설명해야 하는 논리적 모순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사실이 시사하는 바는 노래라는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고려속요 개관, 속요의 주제, 속요의 후렴구, 속요의 특징)
  • 대한 전반적인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고려속요와 경기체가가 지니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해 봄으로써 두 장르의 성격을 규명해보도록 하겠다.본론1. 고려속요 개관1) 속요의 개념과 명칭속요란 원래 민간의 노래였다가 고려말기에 궁중으로 유입되어서 불려진 것으로서 고려시대에 우리말로 불리어 지되 속악의 가사로 사용된 시가의 한 갈래이다. 고려가사, 고려가요, 장가, 별곡, 속가 등의 많은 명칭으로 불리고 있으며, 현전하는 속요

  • 고려 속어는 민요인가
  • 서경별곡청산별곡2. 신의(新意)와 용사(用事)1960년대부터 한국고전시론에 대한 연구조종업 : 용사론 신의론을 대비하여 설명최신호 : 신의론과 용사론 사이의 두 가지 대립된 특징을 바탕으로 그 상대성 제시전형대 : 신의가 용사의 반대개념X => 달의주의와 기교주의신의와 용사 -> 대립관계 VS 서로 다른 차원의 성격Ⅰ신의론이규보선내용후형식용사론이인로선형시후내용신의와 용사는 대립관계인가?1) 신의와 용사는 대립관계!조종업 : 용

  • 동동의 서정성
  • 대한 송양, 축도의 뜻을 가졌고 기타 련은 연정을 노래하였다.』 양주동 『여요전주』을유문화사 1947 p.70고 하여 남녀의 연정을 표현하였다고 하였다.‘송도 겸 남녀정사의 노래이다.’라고 주장한 우리 어문학회의 서적은 그 의견을 이렇게 말하고 있다. “현존 서정요는 남녀의 연정, 상사를 표현한 것으로 동동과 같이 송도를 겸하여 남녀 간의 연정을 월령체로 노래한 것도 있고, 서경별곡과 같이 애절한 別意와 대동강변의 別境을 눈 앞에 보이도

  • 고려시대의 문학高麗時代文學고려속요는 민요인가
  • 서경별곡>, , , , , - 고려속요에 대한 논의① 고려 후기 채택되어 민간에 떠돌던 민요적 노래로써 그 작자를 알 수 없는 것② 작품 내용, 기교, 문헌기록을 통해 지식층의 개인 창작시③ 종합적인 입장으로 궁중가악의 가사라는 설- 고려속요의 생성, 유전, 정착의 과정을 밝혀줄 문헌 기록이 매우 빈약Ⅱ 일반적 고찰- 정동화 : 고려속요는 독립된 창작시가의 한 장르가 아닌 민요이다.① 口口傳承의 구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