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사] - 한국 최초의 소설 - 금오신화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3.29 / 2015.03.29
  • 6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한국 최초의 소설, 금오신화
1. 작자, 김시습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소설인 금오신화를 저술한 조선 초기의 학자 김시습은, 문인으로 생육신 중 한명이다. 그는 1435년에 출생하여 1493년에 생을 마감하였다.
단종이 세조에게 밀려날 때, 김시습은 끝까지 신의를 잃지 않고 벼슬길을 포기하고 자연에 몸을 맡겼다. 배운 것은 꼭 실천하는 성격의 소유자였던 김시습은, 서울 성균관 근처에서 강릉 김 씨로 태어났다. 김시습은 세 살 때 글자를 처음 배웠으며, 한시까지도 지을 수 있었다. 세 살이라는 나이에 한시를 지어 신동이라는 소리를 들은 김시습은 다섯 살 이라는 어린 나이에 당시 통치하던 세종의 부름에 궁으로 들어가게 되었다. 어린 김시습은 이런 저런 세종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그에 알맞은 시를 지어 사람들의 감탄을 자아냈다. 이에 세종은 훗날 큰 인재로 쓰겠다며 비단을 내렸는데, 김시습이 이를 허리에 차고 궁궐 밖을 나갔다는 유병한 일화가 전해져 내려온다. 이후 사람들은 5살 때부터 실력을 발휘했다하여, 그를 김오세라고 불렀다. 하지만 그에게도 어머니의 사망과 함께 고난이 시작되었다. 아버지마저 돌아가시고 결혼생활 마저 순탄하지 못하였다. 이에 그치지 않고, 그에게 약속을 했던 세종마저 사망을 하여 그에게 관료로 나가 나랏일을 하게 할 명분이 사라졌다.
김시습이 스물한 살 때에는 수양대군이 조카인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에 올랐는데, 이를 비통하게 여긴 김시습은 하던 공부를 그만두고 스스로 스님이 되는 길을 택하였다. 김시습과 같이 세조가 왕위를 찬탈했을 당시에 벼슬을 마다하고 절개를 지킨 사람들을 생육신이라고 하는데, 이들은 세조가 벼슬을 권하는 것도 마다하고 단종에 대한 신의를 지켰다. 또한 김시습은 세조 집권 당시 처형당한 사육신을 아무도 두려움에 매장하지 못할 때, 나서서 노량진에 임시로 매장하였다고 한다. 돌아와 그에 대해 다시 설명 할 때, 이긍익의『연려실기술』에 의하면 그는 유,불,도에 해박한 지식을 두루 갖추었음과 함께 시대와의 마찰로 인해 광적인 행동을 보인 것을 알 수 있다. 김시습은 초상화에서조차 다른 유학자들과 다르게 그들이 쓰지 않은 흔치않은 모자를 쓰는 등, 도가 사상을 수용하여 기인의 풍모를 여실히 지닌 것을 알 수 있다. 김시습에 대해 이이는 그의 전기를 쓰면서 심유적불이라는 네 글자로 그의 삶을 표현했다. ‘심유적불’ 은 마음은 유가였지만 자취는 불가라는 뜻으로, 시대와 어울리지 못하고 도피적으로 살아간 그의 행실에 대해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생각하여 이이는 부정적으로 평가 한 것이다. 하지만, 방랑을 하고 은둔생활을 지속한 김시습도 결코 현실을 외면한 것은 아니다. 왕도 정치를 구현하려고 성종 즉위 후에는 오랫동안 이어온 은거 생활을 마치기도 하였다.
2. 금오신화 분석
1) 금오신화 작품 줄거리 및 해석, 작품의 의의 및 이 작품이 미친 영향
① 만복사저포기
만복사저포기는 조선 전기인 15세기 후반에 김시습이 남원에 있는 만복사를 배경으로 쓴 단편 한문소설이다. 이 작품은 원본 없이 소설집인 금오신화에 실려 있다. 살아있는 남자와 죽은 여자의 사랑을 소재로 한 애정소설이며, 이는 이생규장전과 함께 구조 유형상 명혼소설이며, 시애소설이다.
만복사저포기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전라도 남원에 살던 양생은 일찍이 부모를 잃고 만복사의 구석에 위치한 방에서 외로이 지냈다. 혼인할 상대가 없음을 슬퍼하던 중에 그는 부처와 저포놀이를 하였고, 거기에서 이겨서 그 대가로 아름다운 처녀를 얻게 되었다. 그 처녀는 왜적의 난 중에 부모와 생이별하고 정절을 지키고 있다가 혼인 시기가 되어 배필을 구하던 터였다. 둘은 부부의 연을 맺고 며칠 동안 열렬히 사랑을 하였다. 그리고 그들은 다시 만나기로 약속을 한 후 헤어졌다. 약속한 장소에서 부인을 기다리던 양생은 죽은 딸의 상을 치르러 가는 양반집의 행차를 만났다. 양생은 이 양반 집의 죽은 딸이 자신과 함께 사랑을 누었던 여자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여자는 양생과 부모가 준비한 음식을 먹고, 저승의 명을 거역할 수 없다면서 양생을 떠나갔다. 이제 양생은 쓸쓸히 혼자 귀가했다. 양생은 장가를 다시 가지 않고 여자를 그리워 한 채 지리산에 올라가 약초 등을 캐며 지냈는데, 그 미친 바를 알 수 없었다고 한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전문학사] - 김시습의 문학사적 의의, 생애, 작품
  • 고전문학의 향기를 찾아서』, 돌베개, 1998.박천욱, 『교과서보다 쉬운 독학국사』, 일빛, 2004.김시습, 류수, 김주철 옮김, 『금오신화에 쓰노라』, 보리, 2005.최귀묵, 『김시습의 사상과 글쓰기』, 소명출판, 2001.김시습‧박지원 외, 『금오신화/박지원 단편선/유충렬전』, 한국뉴턴, 1999.*인터넷 자료네이버 지식백과 매월당집 梅月堂集-천재의 광기(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2006.9.18, 휴머니스트)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2101&cid=263&categoryId=2702)

  • [고전문학사] - 매월당 김시습의 시와 문학사적 의의 연구
  • 매월당 김시습의 시와 문학사적 의의 연구Ⅰ.머리말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1435~1493)의 『금오신화』는 최남선의 연구를 기점으로 장덕순의 나말여초의 전기소설이 소설의 시원이라는 견해와 대립되기도 하지만 姜錫瑾, 「매월당 사유록의 南原 시문과 만복사저포기의 향토성 = Namwon poetry of Maewol-dang Sayou-rok and the local color of」, 2012, 3쪽, 대체로 한국의 문학사상 최초의 소설로 여겨진다. 이에 따라 김시습은 고전문학사에서 빼

  • [국문학사] 라말려초의 설화와 전기
  • 문학사에서 소설의 발생 시기를 재정립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참고 문헌김현양 등역, 『譯註 殊異傳 逸文』(박이정,1996)박희병, 「한국고전소설의 발생 및 발전단계를 둘러싼 몇몇 문제에 대하여」『관악어문연구17』(서울대학교 출판부,1992)박희병, 「羅末麗初 傳奇小說 硏究」『대동문화연구30』 1995, p.41임형택, 「羅末麗初의 傳奇文學」『韓國文學史의 視覺』(창작과 비평사,1984)장효현, 『한국고전소설사연구』(고려대학교출판부,2002

  • [고전소설] 고소설의 시원 - 「조신전」과 『금오신화』를 중심으로-
  • 소설성5.『금오신화(金鰲新話)』(1)『금오신화(金鰲新話)』의 해석과 문학사적 의의 (2)『금오신화』의 소설기원설 (3) 자아와 세계의 대결 6. 마치며1. 시작하며우리나라 최초의 소설은 『금오신화』라는 주장은 오랜 기간 동안 정설로 받아들여졌고 우리들 대부분 그렇게 알고 있다. 하지만 1970년대 이후 그 주장에 반발하는 의견이 발표되기 시작하였다. 그 대표작으로 「조신전」과 「최치원전」을 들 수 있다. 본 발표 조는 소설의 고전적, 현대

  • 김시습 금오신화의 사상배경과 창작배경, 김시습 금오신화의 특징과 여성상, 김시습 금오신화와 만복사저포기, 김시습 금오신화와 이생규장전, 김시습 금오신화와 최유부벽정기, 금오신화와 남염부주지, 용궁부연록
  • 한국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게 된 것은 선학들의 꾸준한 연구 성과와 탁견에 힘입은 것이며, 동시에 그것은 후세의 학자들이 발전하는데 채찍질이 되기도 하며, 방해물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기존의 견해를 살펴보는 것은 발전적인 면에서 대단히 중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견해들을 일별하고자 한다. 우선 조동일은 ꡔ금오신화ꡕ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논하고 있다.자아와 세계의 상호 우위에 입각한 대결을 소설의 기본 특징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