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의 특성 분석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3.29 / 2015.03.29
  • 7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보 고 서
제 목: 향가의 특성 분석
1. 향가의 특성에 대한 자료 풀이
① 其意甚高 「삼국유사」, 권2, 奇異
“王曰. 朕嘗聞師讚耆婆郞詞腦歌. 其意甚高. 是其果乎. 對曰然.
郞을 찬미한 사뇌가는 그 노래 내용의 뜻함이 매우 높다는데 사실인가?” “그렇다”
- 삼국유사 景德王 忠談師 表訓大德에서 경덕왕이 충담에게 한 말이다. 이것은 사뇌의 문체적 특성을 지적한 말이다. 사뇌가 단순한 서정적 민요가 아니고 그 안에 어떠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또한 이 노래는 불교의 높고 깊은 경지를 담고 있다는 불교사상과 관련되는 시가의 한 갈래라고 볼 수 있다.
② 詞淸句麗 「균여전」, 均如傳, 10, 75
“十一首之鄕歌 詞淸句麗 其爲作也 號稱詞腦
이렇기 때문에 8,9행으로 된 당서는 뜻이 넓어 글에 함축됨이 있고, 열 한 수의 향가는 말이 깨끗하고 글귀가 고우니 보현십원가의 작품을 일러 사뇌라 부른다.”
- 곧 사뇌란, 노래말에 담긴 사의가 매우 정밀하고 깊다는 뜻으로 당시의 사뇌라는 것이 보현십원가를 부르는 말이었음을 설명해 주고 있다.
③ 意精於詞 故云腦
“균여대사께서는 불교 이외의 학문으로 詞腦에 익숙했다.(詩의 뜻함이 詞에 정밀하게 드러나 있다. 그러므로 사뇌, 곧 노래 말이 매우 알차다고 했다) 균여께서는 보현보살의 열가지 큰 원에 따라 11장의 노래를 지었다 대저 사뇌란 것은 세인들이 희희덕거리고 즐겨하는 것을 갖춘 것이며, 원왕이란 보살들의 행을 닦는 요경이다.”
- 향가가 불교적 성격을 갖춘 것임을 보여주는 정의이다. 사뇌(세속의 것)에 보살의 뜻함이 들어있다고 하여 향가 속에 세속과 불교적 의미가 함께 있는 것을 말하고있다.
④ 羅人尙鄕歌者尙矣 蓋詩訟之類歟 故往往能感動天地鬼神者非一
“신라 사람들은 향가를 숭상함은 말할 나위 없다. 이 향가는 시경의 訟과 같은 것이다. 때문에 천지와 귀신을 감동시킨 것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향가 및 사뇌가의 성격과 작품 분석
  • 향가의 성격에서 벗어난 작품이라고 할 수는 없다고 본다.4. 맺음말지금까지 현전하는 26수의 작품을 살펴 본 결과 26수의 작품들이 모두 향가의 성격과 완벽하게 일치하는 것으로 보여지는 것은 몇 수 밖에 되지 않는다. 그러나 분석해 본 결과 ‘사뇌가’와 ‘향가’는 다른 성격을 가진 문학작품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확실해 졌다. ‘사뇌가’는 ‘향가’의 하위갈래로서 불교적인 성격을 지닌 문학성이 뛰어난 작품으로 불교의 교리를 백

  • [국어와 사회] 속담과 노랫말에 나타난 사회
  • 분석과 심리학 71.2 연구 방법 72. 본론: 연구 결과 7-122.1 인성 관련 속담에 대한 경험적 분석 72.2 한국인의 성격특성 82.3 한국인의 대인관 103. 결론 13대중가요 가사 분석을 통한 한국인의 정서 탐색: 해방 이후부터 1996년까지의 가요를 대상으로1. 서론1.1 대중가요의 정의 및 연구사 가요(歌謠)는 대중문화의 하위 유형일 뿐 아니라 고래(古來)로부터 지금까지 존재해 온 대표적 향유문화라고 할 수 있다. 신라 향가, 고려의 고려 가요, 조선의 시조와

  • 고전시가론 레포트 - 향가의 이론적 정리, 서동요, 풍요, 헌화가, 도솔가, 처용가, 우적가, 보현십원가, 도이장가
  • 향가라는 개념과 그 명칭이 포괄하는 개념은 아직까지 논란의 여지가 많은데, 이는 곧 향가 장르의 특성과 연결되는 문제이기도 하다. 어학적 해독을 통하여 향가의 형식을 4/8/10 구체라는 세 가지 형식으로 도출하고 있으나 이 역시 문제가 없지 않다. 오늘날 우리가 당연한 듯 부르고 있는 향가라는 이름이 장르명으로 정착된 경위를 보더라도 단순하지가 않다. 일제 강점기의 초창기 향가 연구자들은 이 장르의 이름을 향가로 부르자는 쪽과 사뇌가로

  • 삼국유사, 균여전을 통해 살펴본 향가의 성격
  • 향가 글자 자체와 그 내용에 대해 분석하고 있는 것으로 향가글귀의 수려함을 향가의 특성으로 보고 있는 듯하다. 지금까지 살펴본 것을 토대로 향가의 성격을 크게 두가지로 보려한다. 첫 번째는 향가의 귀족적 성격이고, 두 번째는 향가의 서민적인 성격이다. 향가의 성격을 단순히 이 두가지로나누기에는 많은 문제들이 있겠지만 이 두 가지 성격을 기본으로 하여 향가작품들을 분석해 보려고 한다. 3. 현전향가 25수에 적용해 본 향가의 성격1)서동

  • 삼국유사 균여전 을 통해 살펴 본 향가의 성격
  • 향가 글자 자체와 그 내용에 대해 분석하고 있는 것으로 향가글귀의 수려함을 향가의 특성으로 보고 있는 듯하다. 지금까지 살펴본 것을 토대로 향가의 성격을 크게 두가지로 보려한다. 첫 번째는 향가의 귀족적 성격이고, 두 번째는 향가의 서민적인 성격이다. 향가의 성격을 단순히 이 두가지로나누기에는 많은 문제들이 있겠지만 이 두 가지 성격을 기본으로 하여 향가작품들을 분석해 보려고 한다. 3. 현전향가 25수에 적용해 본 향가의 성격1)서동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