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랑(永郞) 김윤식론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3.29 / 2015.03.29
  • 6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영랑(永郞) 김윤식론
영랑의 생애와 활동
본명은 김윤식이다. 영랑은 전남 강진군 김영랑, 박용철, 김현구를 ‘강진시파’라 부르기도 한다. 강진시파의 원공간인 강진은, 신석정에 의하면, “해양성 기후라서 사철 온난하고 비가 유달리 많은 것이 특징이다. 봄날에는 강진만 앞바다의 크고 작은 섬들이 마치 물오리떼처럼 은빛으로 남실거리며, 좀처럼 영하로 온도가 내려가는 법이 없어, 난대식물들이 무성히 자라고, 대숲과 동백이 우거진 곳이다.” 라고 하였다.
에서 500호 지주 김종호의 5남 3녀 중 맏아들로 태어났다. 1909년 봄부터 영랑은 서당에 다니기 시작하였고, 1911년에는 강진 보통학교에 입학하여 1915년에 졸업하였다. 그의 나이 열세 살 때인 1916년에 영랑은 부친의 뜻에 따라 김은하와 결혼하였으나 다음 해에 사별하고 만다.
영랑은 1917년 3월에는 휘문의숙에 진학하게 된다. 1919년 봄 휘문의숙 3학년에 재학 중이던 그는 31운동사건에 가담한 죄로 경찰에 체포, 구속되었다가 석방된다. 곧 고향 강진 땅으로 내려 간 영랑은 그곳에서도 독립 만세운동을 모의하다가 사전에 발각되어 6개월간 옥고를 치렀고 결국 휘문의숙을 중퇴하기에 이른다. 그리고 그 해 10월 하순경에 금강산 장안사를 중심으로 한 내금강 일대와 고성에 있는 영랑호를 여행하고 서울로 돌아온다.
이듬해인 1920년 9월 영랑은 아버지의 뜻에 따라 일본 동경에 있는 이오야마 학원 3학년에 편입학 하여 뒷날 영랑의 문학적 동반자이자 최대의 후원자가 된 박용철을 만나게 된다. 박용철과 김영랑은 함께 하숙하면서 아주 가깝고 친한 사이가 되었다. 이 시기에 영랑은 자신의 아호를 영랑(永郞)으로 정하였다.
1921년 7월, 하기휴가를 맞아 잠시 귀국한 영랑은 음악을 전공하고 싶다는 뜻을 밝혔으나 완고한 아버지에게 거절당하고 만다. 일본으로 돌아간 영랑은 9월 이후 학교 도서관에 묻혀서 문학 서적을 읽는데 몰두하게 된다. 영랑의 동경 유학생활은 1923년 관동대지진의 여파로 중단되고 이듬해 귀국한다. 고향의 생가로 돌아온 영랑은 1924년 훗날 최고의 무용가로 이름을 날리게 되는 최승희와 교제하였지만 결혼에는 실패하고, 1년 뒤 루시아 여고에 근무하고 있던 안귀련과 재혼하였다.
영랑이 28세 때인 1930년 3월, 박용철의 주도로 우리 현대시문학사에 획기적인 순수 시동인지 《시문학》 이 발간되었다. 여기에는 영랑과 정지용, 이하윤 등이 참여하였는데 영랑의 경우, 「동백닙에 빛나는 마음」 등 30여 편의 시를 발표함으로써 시문학파의 대표적 시인으로 떠오른다.
1931년 박용철이 발간한 《문예월간》에는, 《시문학》발간 때의 ‘순수와 양심을 저버리고 해외 문학파 이하윤 등과 타협한’ 박용철과의 불화로 단 한 편의 시도 발표하지 않았지만 1934년에는 박용철 주간의 《문학》지에 「모란이 피기까지는」과 「사행소곡(四行小曲)」 등을 발표하였다. 1938년 절친한 벗 박용철이 죽음을 맞았고 영랑은 『박용철 전집』을 발간하였다. 그리고 1939년부터 두 해 동안 15편의 시작품을 《女性》, 《朝光》, 《文章》 등에 발표하였다. 특히 《文章》의 경우 영랑의 대표작인 「오월」, 「毒을 차고」, 「춘향」 등이 발표되었다.
영랑은 1940년 9월 「춘향」을 마지막으로 하여 1946년까지 작품을 발표하지 않았는데 이는 문학적으로 침묵함으로써 일제에 저항하고자 한 모습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영랑은 일제 말 군국파시즘이 강요하였던 신사참배나 창씨개명을 끝까지 거부하였고, 한복만 즐겨 입는 등 저항적인 태도를 견지하였다.
1945년 43세에 해방을 맞으면서 그는 대한독립촉성회 강진단장을 지내는가 하면, 1948년 510 선거 때는 초대 민의원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고 가산을 정리하여 서울로 이사를 한다. 그 해 10월 중순에 여순반란사건의 현장을 답사하고 그 사건의 만행을 「새벽의 처형장」을 통해 고발하였으며, 1949년 이승만 대통령의 추천으로 공보처 출판국장으로 6개월간 일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1950년 625가 나던 해인 49세 때 미처 피난을 못간 채 서울에 은신해 있다가 포탄의 파견을 복부에 맞고 9월 29일에 영면했다.
영랑의 시집에는 시문학사에 낸 『영랑시집』(1935), 서정주가 편찬한 『영랑시선』(1949), 정음사와 신구문화사에서 낸 『영랑시집』(1959) 등이 있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현대시] 1930년대의 시세계 정리
  • 론하지 않은 것은 그 것이 대 명제인 순수 시 정신과는 어느 정도 이격(離隔)이 존재하기 때문일 것이다. 시의 아름다움은 그것이 시적인 것일 때 가능한 것이다. 시가 시로서 존재하기 위해 노력하던 30년대는 그만큼 현대 시사(詩史)에서 중요한 부분임에 틀림없을 것이다. 참고문헌김주영 임인철, 대성출판문화사, 1990.이성교,『한국현대시인 연구』, 태학사, 1997.지반추억(地畔追億)/ 김영랑깊은 겨울 햇빛이 따사한 날큰 못가의 하마 잊었던 두

  • 현대시강독 1940년대 한국시 1940년대 한국시 시대벅 배경 1940년대 한국시 친일시 저항시
  • 론가 트럭에 실려가는 정지용을 보았다고 말하고 있다. 이석우, 『현대시의 아버지 정지용 평전』, 푸른사상사, 2006.2.4. 우익계열2.4.1. 김영랑1) 영랑 김윤식 永郞 金允植, 1903. 1. 16 ~ 1950. 9. 29 (김영랑의 연보는 이전 발표인 1930년대 자료 31쪽 참고) 영랑의 시작활동은 대체로 세 시기로 나누어볼 수 있다. 제 1기는 1930년 3월부터 1935년 11월까지로, 그가 가장 왕성한 작품 창작 활동을 했던 시기다. 이 시기의 영랑 시는 순수서정의 한 극치로 평가받는

  • [현대시] 1930년대 한국 시 문학
  • 영랑(金永郞)과 함께 『시문학(詩文學)』을 창간했다. 『시문학』에 이어 『문예월간(文藝月刊)』 『문학』 등을 계속해서 발간하고 시와 함께 많은 번역시, 그리고 『인형의 집』을 비롯하여 『빈의 비극』,『베니스의 상인』등의 희곡을 번역했다. 시보다는 시론으로 더 알려져 있다. 1931년 이후로는 비평가로서도 크게 활약하여『효과주의 비평논강(效果主義批評論綱)』,『조선문학의 과소평가』,『시적 변용(詩的變容)에 대하여』등을 발표, 계급

  • [국문학사] 30년대 시의 전개과정과 특징 -김영랑, 백석, 정지용, 윤동주, 이육사를 중심으로
  • 30년대 시의 전개과정과 특징-김영랑, 백석, 정지용, 윤동주, 이육사를 중심으로 Ⅰ. 서론 Ⅱ. 개인과 민족의 발견 – 한국어의 훈련과 그 의미 Ⅲ. 30년대 주요시인들1. 모더니즘 – 정지용2. 순수서정시 – 김영랑3. 이야기시 – 백석4. 암흑기의 저항시 – 윤동주, 이육사Ⅳ. 결론Ⅴ. 참고문헌Ⅵ. 부록Ⅰ. 서론 1930년대는 한국에 대한 일제의 강압적인 정책이 가열되면서 언론의 자유와 사상 행동이 다시 제약받고 집회 결사의 자유가 봉쇄

  • 영랑永郞김윤식
  • 론, 자유분방한 감정을 마음껏 펼쳐내는 도구인 상징과 암시에 의한 표현의 중시 등이 있다.시인들에 경도되어 있던 영랑의 동경 유학 생활은 1923년 관동대지진의 여파로 중단되고 이듬해 귀국한다. 고향으로 돌아온 영랑은 1924년 훗날 최고의 무용가로 이름을 날리게 되는 최승희와 교제하였지만 결혼에는 실패하고, 1년 뒤 루시아여고에 근무하고 있던 안귀련과 재혼하였다. 고향에 돌아온 이후는 간혹 음악회를 들으러 서울에 올라가는 것 외에는 고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