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 설화와 문학작품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4.12.08 / 2019.12.24
  • 15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서론
1.설화(說話)란 무엇인가?
2.설화의 내용
3. 설화의 특징
4. 설화의 현대적 의미

본론
1.박종화 <아랑의 정조>
2.최인훈 <온달>
3.오영수 <소쩍새>
4.정한숙 <해랑각의 경사>
5. 조신몽 설화

결론
본문내용
서론
우리는 주변에서 설화를 매우 많이 접하며 살아가고 있다. 누구에 의해서 만들어졌으며 누구에게 의해 전해지고 어떻게 의해 발생되었는지는 모르지만 훈훈한교훈과 함께 전해지는 전설같은 이야기 모두가 설화에 포함된다. 우리는 어렸을적에 이불을 덮어 쓰고 보던 ‘전설의 고향’을 봤던 기억이 있는데 그러한 전설들도 모두 포함하는 것이 설화이다. 심청전과 흥부전또한 설화에 포함된다. 이번 과제에서는 설화를 소재로한 문학작품에 대한 것을 조사하는 것인데 일단은 설화에 대해서 너무 광의적으로 장황하게 알고있던 것을 정리하기 위해서 이부분에서는 설화의 전반적인 정의와 종류 및 특징을 정리하였다.
1.설화(說話)란 무엇인가?
설화는 문자 그대로 '이야기'를 말한다. 그러나 일상의 신변잡담을 전부 설화라고 하지는 않는다. 역사적 사실이나 현재적 사실을 말로 전하는 것도 설화의 개념에 넣을 수 없다. 설화는 일정한 구조를 가진 꾸며낸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물론 설화 중에는 사실을 가장한 이야기도 얼마든지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사실이 아닌 사실적인 이야기이며 사실여부보다도 문학적 흥미와 교훈 때문에 존재하는 것이다. 요컨데 설화는 꾸며낸 이야기라는 점에서 서사무가, 서사민요, 판소리, 소설 등 모든 서사문학의 장르들과 일치한다.
2.설화의 내용
설화를 분류하면 신화·전설·민담의 세 가지가 된다. 설화의 발생은 자연적이고 집단적이며, 그 내용은 민족적이고 평민적이어서 한 민족의 생활감정과 풍습을 암시하고 있다. 또 그 특징은 상상적이고 공상적이며, 그 형식은 서사적이어서 소설의 모태가 된다. 이러한 설화가 문자로 정착되고, 문학적 형태를 취한 것이 곧 설화문학이다. 신화는 민족 사이에 전승되는 신적 존재와 그 활동에 관한 이야기로서, 이에는 우주의 창생과 종말에 관한 우주신화와 천지·일월·성신에 관한 천체신화 및 건국신화와 국왕신화 등이 있다. 그 서술 방법에 따라 신의 상태·동작·성질 등을 설명하는 설명적 신화와 신의 기원·유래 등을 추설(推說)하는 추원적(推原的) 신화로 크다. 그것은 주체가 되는 사물에 따라 지명전설(地名傳說)·성명전설(姓名傳說) 등으로 분류되며, 그것을 증거할 암석·수목·산천 등의 흔적이 남아 있다. 민담에는 신화의 신성성과 위엄성 및 전설의 신빙성과 역사성이 희박하고, 그것은 흥미 위주로 된 일종의 옛 이야기이다. 그것은 동물설화·본격설화·소화(笑話) 등으로 분류되고, 또 본격설화와 파생설화(派生說話)로 구분되기도 한다. 한국의 고대설화가 문자로 정착된 것은 고려 때부터라 하겠으며, 단군신화(檀君神話)를 비롯한 수많은 신화·전설이 수록된 《삼국유사(三國遺事)》는 바로 설화의 보고(寶庫)라 일컬을 만한 것이다. 그 밖에 고려 전기에 박인량(朴仁亮)의 설화집 《수이전(殊異傳)》이 있었다고 하나 실전(失傳)되었고, 그 일문(逸文) 10편이 《삼국유사》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 《태평통재(大平通載)》 등에서 보인다.

참고문헌
http://210.218.32.140/khr1/story/st_22.htm
http://my.dreamwiz.com/apt0417/kuunmong.htm구
http://ipcp.edunet4u.net/~koreannote/11/11-%C0%CF%C0%E5%C3%E1%B8%F9.htm
최종석의 국어교실 : http://ahg21.com.
똥침 국어교실
각 웹싸이트의 백과사전
구비문학의 세계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선녀와 나무꾼설화의 다양한 결말과 금기에 대하여 선녀와 나무꾼 설화 분석 선녀와 나무꾼 설화 조사 선녀와 나무꾼 설화 속 금기 선녀와 나무꾼 설화 의미 선녀와 나무꾼 설화에 대해서
  • 작품은 구비문학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여러 가지 유형별로 다른 전승양상을 띠고 있다. 나는 의 유형별 전승양상에 대하여 조사해 보았다. 그리고 설화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것이 바로 금기이다. 설화에 나오는 금기는 언제나 깨지게 마련이다. 김화경, 《한국의 설화》, 지식산업사, 2002, P.245이런 금기의 의미가 무엇이고 위반의 결과가 어떠했는지에 대하여도설화 위주로 간단하게 알아보았다. Ⅱ.본론1.

  • 조선 전기 문학
  • , 명문 귀족의 딸과 보잘것없는 서생의 생사와 신분을 초월한 사랑 이야기는 작가의 애정지상주의를 보여준다. 그러나 이런 사랑에도 불구하고 시간이 다해 영원히 이별하게 되는 장면은, 남녀의 애정역시 명수가 다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는 운명사상 역시 드러내고 있다.-참고도서-송강가사-정재호(신구문화사)국어과 선생님이 뽑은 금오신화-만복사저포기&이생규장전-김시습(북앤북)중고생이 꼭 읽어야 할 한국 고전 소설 35-박지원(리베르)

  • 슬픔의 노래, 공무도하가
  • 슬픔의 노래, 공무도하가1. 내용요약公無渡河 님더러 물 건너지 말래도,公竟渡河 님은 건너고 말았네墮河而死 물에 빠져서 죽었으니.當奈公何 님이여, 어찌하리오. 조동일, 『한국문학통사1』(지식산업사, 2005), 105면.는 고대의 다른 시가들과 마찬가지로 설화 의존적 작품이다. 이 작품은 설화와 더불어 전승되고, 설화의 일부로서 존재한다. 정하영, 「공무도하가의 성격과 의미」,『한국고전시가작품론1』(집문당, 1992), 15면.따라서

  • [고전문학사] - 용비어천가 분석과 문학사적 의의
  • 설화를 소재로 하였다는 점, 다수의 영웅이 등장하지만 태조가 중심인물이 되고 있는 점, 영웅에 수반되는 조건인 용맹 준마 무기 무훈 등이 화려하게 장식된 점 등을 고려하여 이 작품에서 영웅서사시적 요소를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반면 『한국문학통사』의 저자 조동일은 용비어천가는 단편적인 영웅시의 집합이며 순수서사시라기보다는 교술적인 서사시에 가깝다고 주장하였다. 근래에는 서정 갈래론이 부각되기도 하였을 정도로 용비어

  • 선녀와 나무꾼의 다양한 결말과 금기에 대하여
  • 문학의 특성이기도 한데, 이야기가 전승되는 과정에서 그 세대의 윤리의식이 반영되고 또 전승되는 지역의 특수성과 지역성이 설화 등에 덧씌워지기 때문이다. 먼저 이번 보고서에서는 이렇게 다양한 의 전승양상에 대하여 다루어 보았다. 그리고 설화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것이 바로 금기이다. 설화에 나오는 금기는 언제나 깨지게 마련이다. 김화경, 《한국의 설화》, 지식산업사, 2002, P.245이 설화에서도 이야기 전개의 원동력이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