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계 경기체가][서방가][미타찬][안양찬]불교계 경기체가의 형태, 불교계 경기체가와 서방가, 불교계 경기체가와 미타찬, 불교계 경기체가와 미타경찬, 불교계 경기체가와 안양찬, 불교계 경기체가와 기우목동가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3.07.28 / 2019.12.24
  • 24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7,5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개요

Ⅱ. 불교계 경기체가의 형태
1. 형태의 구성과 특색
1) 연가형태
2) 각장의 전후 분절과 위~경긔엇더 니잇고의 첨가
3) 음절, 음보, 구수 등의 구성
2. 형태의 기본형

Ⅲ. 불교계 경기체가와 서방가
1. 제1장
2. 제2장
3. 제3장
4. 제4장
5. 제5장
6. 제6장
7. 제7장
8. 제8장
9. 제9장
10. 제10장

Ⅳ. 불교계 경기체가와 미타찬
1. 제1장
2. 제2장
3. 제3장
4. 제4장
5. 제5장
6. 제6장
7. 제7장
8. 제8장
9. 제9장
10. 제10장

Ⅴ. 불교계 경기체가와 미타경찬
1. 1장 설명하여 보여주는 지름길
2. 2장 미혹의 무리에게 가리키는 길
3. 3장 불국토를 찬탄하여 공덕을 흔모함
4. 4장 불덕을 찬탄하고 염하길 권함
5. 5장 동서남북상하의 제불이 같이 찬탄함
6. 6장 이것 저것을 서로 접인함
7. 7장 인간계와 천상계의 중생들이 함께 좇음
8. 8장 현세와 미래에 함께 유익함
9. 9장 쉽게 중생한테 있는 선근기는 부처님 감응을 일으킴
10. 10장 두루 자기가 닦은 공덕을 돌려, 목적하는 곳으로 향해 염함

Ⅵ. 불교계 경기체가와 안양찬
1. 제1장
2. 제2장
3. 제3장
4. 제4장
5. 제5장
6. 제6장
7. 제7장
8. 제8장
9. 제9장
10. 제10장

Ⅶ. 불교계 경기체가와 기우목동가
1. 1장
2. 2장
3. 3장
4. 4장
5. 5장
6. 6장
7. 7장
8. 8장
9. 9장
10. 10장
11. 11장
12. 12장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불교계 경기체가가 유행되었던 조선조 초기는 崇儒斥佛 정책이 강력히 추진되던 시기였다. 고려조의 국교로서 숭앙을 받아오던 불교는 고려 말엽으로 접어들면서 그 폐해가 늘어나고 여말의 신흥사대부들이 성리학을 그들의 새로운 이념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숭유척불 정책은 조선조의 국기가 다져질수록 더욱 심화되어 갔으나 삼국시대 이래로 국민의 중심사상으로 전승된 불교는 표면상으로는 약화된 듯했으나 심층적으로는 민간신앙의 주류적인 세력으로 면면히 지속되었던 것이다. 민간에서는 물론이고 궁중에서도 표면적으로는 유교를 내세웠으나 내면적으로는 불교를 숭상하고 외호하였다. 그러면 불교를 外護하는데 힘썼던 태조, 세종, 세조를 중심으로 조선초 역대 왕들의 信佛의 모습과 불교에 기여한 업적, 조선조 초기의 불교계의 동향을 살펴 보기로 한다.
태조 李成桂는 조선조 창업 이전부터 불교와 인연이 매우 깊었을 뿐만 아니라 그 자신이 독실한 불교 신봉자였다. 그는 즉위 전에 太古和尙, 懶翁和尙 등을 師事했으며 無學自超와도 관계가 긴밀하였다. 잠저시에는 오백나한에 기도드리고 도봉산, 성거산, 금강산, 금산 같은 명산에 가서 발원하는 등 불법의 冥加를 위한 祈禱信心이 대단하였다. 즉위 원년 10월에는 탄신일을 맞아 무학자초를 王師로 봉하고 궁중에서 승려 200인에게 음식을 대접하고 왕사 자초를 청하여 禪을 설하게 하니 顯妃는 발을 드리우고 이를 들었으며 한편으로는 해인사 대장경을 인출케 하고서 中樞院事 鄭摠으로 하여금 印出大藏經 願文을 제진케 하였는데 정총은 왕의 봉불함이 甚謹하다고 諫하였으나 일축당하기도 했다. 그리고 태조는 沙汰僧尼를 청하는 사헌부의 상소를 “民心安堵”를 이유로 거절하기도 했으며 공자의 釋奠에는 불참하면서 불교법회인 文殊會에는 참석하기도 했다. 즉위 2년에는 演福寺塔을 중창하고 문수회를 베풀었으며 해인사 고탑을 중수하고 3년에는 천태종 僧 祖丘를 국사로 봉하기도 했다. 6년에는 顯妃 姜氏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興天寺를 창건하였고 조종의 명복을 빌고 群生의 普利를 위하여 津寬寺에 水陸道場을 개설하는 등 태조의 불교에 대한 심신과 불법진흥에 대한 시책은 지대하였다. 즉위 7년에는 강화의 禪源寺에 있던 대장경판을 支天寺로 옮겼고 松軒居士라고 자처하였으며 흥천사에 행행하여 3층 사리탑을 營造하기도 하였다. 그의 奉佛 행사는 왕조실록에 전하는 것만도 印經 12회, 消災會 14회, 佛事法席 35회, 飯僧 9회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태조는 양위한 뒤, 德安殿을 지어 精舍로 삼고 念佛三昧로 만년을 보냈는데 그는 평소 佛力에 의하여 國祚를 영구히 하며 과거의 죄과와 양심의 가책을 면하여 구원받으려 했었다. 태조는 당시에 鄭道傳, 趙浚 등의 배불론에 심각히 처하였으나 숭불신념을 버리지 않고 禪敎 兩宗에 대하여 외호를 아끼지 않았다.
참고문헌
- 김문기, 불교계 경기체가 연구, 성곡학술문화재단, 1991
- 김종진, 경기체가 기우목동가의 구조와 문학사적 위상, 한국시가학회, 2008
- 김동률, 한문가사연구 : 미타찬 · 안양찬 · 미타경찬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홍익어문연구회, 1993
- 김문기, 기우목동가 연구, 한국어문학회, 1980
- 조연숙, 서방가와 안양찬 고찰, 한국고시가문학회, 2007
- 조평환, 경기체가의 불교문화 수용양상 연구,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1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경기체가 레포트
  • 경기체가(景幾體歌)< 목 차 >■ 들어가는 말■ 명칭과 형성■ 형식■ 장르적 성격■ 작품 경기체가의 시대구분에 따른 작품 범위 및 특징 정서 표출양상에 따른 경기체가의 변화■ 작자와 향유계층 사대부의 경기체가 예조 찬진의 경기체가 불교계 경기체가■ 연행방식 음영으로의 전환과 형식변화 음영으로의 전환과 형식의 변화 - 주세붕의 경기체가 경기체가의 연행 방식 ■ 쇠퇴원인■ 맺음말■

  • [불교사상][복전복리사상][정토사상][공사상][화엄사상][자비사상][중도사상]불교사상과 복전복리사상, 불교사상과 정토사상, 불교사상과 공사상, 불교사상과 화엄사상, 불교사상과 자비사상, 불교사상과 중도사상
  • 미타불의 교화를 받아 성불하거나 兜率天에 왕생하여 미륵보살의 회상에 났다가 미륵보살이 성불할 때에 龍華世界에 태어나 미륵부처의 설법을 듣고 성불하는 것을 말한다.이와 같이 불교계 경기체가에 나타나 있는 淨土思想도 두 가지로 대별되는데 , , ,등에는 他力往生의 사상이 드러나 있고 에는 自力往生의 사상이 드러나 있다.그런데 他力往生을 부르짖고 있는 , , ,

  • [국문학] 경기체가(景幾體歌)
  • 경기체가는 정격 작품의 경우 ‘景 긔 엇더니잇고’ 또는 ‘景幾何如’ 라는 구절이 각 연의 제4행과 제6행에 오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이러한 명칭은 엄격한 의미에서 시가 갈래에 대한 명칭이라기보다는 여타 시가 갈래와의 변별적인 특성을 지칭하는 말로도 볼 수 있다. 경기체가의 형식적인 기준은 여러 가지를 제시할 수 있으나, 크게 보아 율격과 형태구조가「한림별곡」과 같은 것, 그리고 끝에 ‘景 긔 엇더니잇고’ 따위의 여음이 붙

  • [불교][불교철학][불교문화][불교미술]불교와 불교철학, 불교와 불교문화, 불교와 불교문화재, 불교와 불교미술, 불교와 불교무용, 불교와 불교상, 불교와 불교계경기체가, 불교와 불교행사, 불교와 불교사회복지
  • 불교계경기체가불교계 경기체가가 佛經, 특히 淨土三部經의 내용을 얼마나, 어떻게 수용하고 있으며 불경의 내용과 文句를 어떻게 屈折시켜 淨土思想을 드러내고 있는 지에 대하여 검토해 보기로 한다.불교계 경기체가 중에서 과 은 淨土三部經의 내용을 포괄적으로 수용, 재편성하고 있으며 는 維摩經을 위시한 불교 諸經典의 解脫의 과정과 경지를 재편하여 唯心淨土思想을 드러내고 있는데 비해 와

  • [고전시가론] 경기체가
  • 경기체가의 발생에 대하여는 여러 설이 있다. 정통 향가(鄕歌)의 뒤를 따른 문학이라는 견해는 매연 첩구(疊句)가 향가의 낙구(落句)의 발전이며 한구(漢句)의 나열은 민족적 개성을 상실하지 않은 종교적 지식성이 모화사상(慕華思想)에 사로잡힌 귀족 관료적 고답성으로 대치된 결과라고 본 것이다. 이와는 달리 이전의 어느 시가와도 관계없이 한 학자의 소일파적(消日破寂)으로 이 형태가 발생되었다고도 하며, 그 기본 음조는 중국의 사(詞)나 사륙(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