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중세사] 서위 우문태의 부병제도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4.07.26 / 2019.12.24
  • 10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97)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9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 서론

2. 육진의 난

3. 동위의 군사제도

4. 균전제도

5. 서위 24군

6. 隋․당의 부병제

7. 결론

본문내용
府兵制

1. 序論
後漢末 三國時代의 大亂이 일어나자 지방의 豪族은 自衛手段으로 人民을 모집하여 莊園의 私兵으로 充員하였다. 이렇게되니 國家는 豪族支配下의 人民을 徵發하기가 어렵게 되었으며 하는 수 없이 流民을 모으거나 良民을 동원하여 常備軍으로 조직하였던 것이다. 이들 常備軍의 경우에는 그 兵士는 家族과 함께 兵戶에 편입되어서 世襲身分化 하여갔던 것이다. 그 결과 前漢代의 兵民一致制는 붕괴되고 특히 南朝에서는 兵戶의 신분이 크게 떨어져서 梁武帝의 치세에서는 兵戶는 奴隸에 가까운 대우를 받기도 하였던 것이다. 이 밖에 남조의 상비군에는 兵戶외에 중앙과 지방의 장군이 수시로 모집한 募兵이 있었으며 이들 募兵은 兵戶보다 數的으로 훨씬 많았다. 募兵은 처음에는 官兵이었지만 皇帝權이 약화됨에 따라서 그들을 모집한 高官이나 將軍의 私兵으로 編入되었다. 또 募兵은 본래 良民 중에 생활이 困窮하여 응모한 者들이므로 家族과 함께 高官이나 將軍에게 隸屬당하는 隸民으로 轉落하였다.
北魏는 화북지방을 정복하는 과정에서 軍事的으로 중요한 지역에 軍鎭을 설치하고 軍政을 실시하였다. 軍鎭에는 鮮卑族과 鮮卑族 이외의 北方民族을 配置하여 군대의 근간으로 삼아 敵地攻略과 征服地 確保의 重任을 맡겼다. 한편 수도 平城에는 강대한 中央軍을 설치하고 鮮卑族을 군병으로 충원하였다. 북위는 軍鎭軍과 수도의 中央軍 즉 羽林軍을 군사력의 근간으로 삼고 鮮卑族의 모든 성년남자는 모두 軍人으로 충원되었기 때문에 北魏의 군사력은 막강한 것이었다.
참고문헌
신채식 동양사개론 삼영사 1993
김유철 균전제와 균전제령 강좌중국사 1989
이근명 중국역사 신서원 1993
임대희 중국의 역사 (위진남북조)
궁기시정 중국중세사 신서원 1996
김명희 중국 수.당사 연구 국학자료원 1998
임대희 중국의 역사 혜안 2001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동양중세사] 당의 관리 등용 제도-과거제를 중심으로
  • 서위(西魏) 이래 관롱귀족(군사귀족)과 산동군성세력 출신들이 있었다.) 당 초기에 정치 군사상 주요 요직을 차지한 것은 관롱귀족이었다. 산동세력은 그들의 유학역량을 통하여, 행정, 문물제도의 정비, 편찬사업 등에 적극 참여하였다. 산동귀족들은 관계진출과 혼인을 중시하였다. 북조후기 이래 정부의 통제정책으로 빈천에 처하여 결혼을 전개하였는데, 태종(太宗)은 이에 대하여 예교(禮敎)를 손상한다 하여, 그들을 매도하고 정관씨족지(貞觀氏

  • [동양사] 당전기의 지배층- 관중집단과 산동귀족 중심으로
  • 부병의무였으며, 과중한 부병역을 피하기 위하여 본향을 떠나는 도호가 급증하였다. 도호에 대하여 이미 현주지의 정착을 인허하는 괄호정책은 현종조의 우문융의 재정확보책으로 유명하지만, 우의 정책은 이미 측천조의 이교에 의해 제기되었고 실제 시행되었음이 돈황고문서에 의하여 입증되고 있다. 부병의무에 대한 농민의 도호증가는 연쇄적으로 균전제와 조용조의 와해를 가져오고, 이러한 수취제도의 동요에 의하여 촌락공동체의 붕괴는 가속

  • 남북사통속연의 67회 68회
  • 우문태위난세영웅 내하오신역질 득무유천탈기백 특가수어내질 이장해기사호우문태는 난세의 영웅인데 어찌 잘못 반역하는 조카를 믿어서 하늘이 혼을 빼앗게 하지 않고 특별히 조카의 손을 빌려 자손을 피해주려고 하는가?陳霸先襲殺王僧辯, 攫得重權, 廢蕭淵明而仍立蕭方智, 彼固玩孤兒於股掌之上, 可以隨我舍取也。진패선습살왕승변 확득중권 폐소연명이잉입소방지 피고완고아어고장지상 가이수아사취야攫(붙잡을 확; ⼿-총23획; jué)진패선

  • 돌궐과 아시아와 유럽
  • 동양중세사의 관점에서 보면 수/당의 성립과 동로마/페르시아의 승패는 초원과 중원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이념의 완성과도 같다. 그리고 이후 전개된 중원(정착문명권)과 북방 유목민족간의 무수한 충돌은 민족 간의 전쟁이라기보다는 이념의 확산에 따른 파열음이라고 보아도 무방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이 시대의 주변세력들의 관계를 명확히 설정하기 위해서는 초원의 이념이 어떻게 중원에 적응되면서 그것이 다시 주위로 어떻게 확

  • [동양사] 안록산 난에 대한 연구
  • 제도사적인 측면이 아닌 인민의 입장에서 본다면 인민에 대한 수탈의 강화는 당연히 인민의 반발을 불러오게 되고 인민이 등을 돌린 왕조는 필연적으로 멸망에 이르게 된다는 아주 당연한 이론을 우리에게 가르쳐 준 것을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미야쟈키 이치사다,『 중국 중세사』,신서원,1996김승태 편역『동양사의 기초지식』,신서원,1995剪伯贊 『중국전사 上』학민글밭,1990藤善眞澄『아시아의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