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국어 <-오/우->의 기능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1.06.26 / 2019.12.24
  • 7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5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하고 싶은 말
중세 국어 <-오/우->의 기능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목차
1. 머리말

2. ‘-오/우-’의 문법적 기능 규명

3. ‘-오/우-’의 문법적 성격

4.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
4.1. 종결형․연결형에 나타나는 ‘-오/우-’의 기능
4.2. 관형사형에 나타나는 ‘-오/우-’의 기능

5. 후행 어미와의 결합 양상
5.1. ‘-오/우-’와 수의적으로 결합하는 어미
5.2. ‘-오/우-’와 결합하지 않는 어미
5.3. ‘-오/우-’와 항상 결합하는 어미

6.-오/우-의 변천
6.1 관형화 구성에서의 ‘-오/우-’의 소멸
6.2 명사화 구성에서의 ‘-오/우-’의 소멸

7. 맺음말

※ 참고자료


본문내용
1. 머리말

15세기 우리말에는 현대 국어에서 찾아볼 수 없는 ‘-오/우-’의 사용을 볼 수 있는데 이의 용법에 대하여 여러 학자들의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어 왔으나 아직도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동안의 ‘-오/우-’에 대한 논의의 대부분이 추구하였던 주제는 ‘-오/우-’의 기본적인 의미, 기능이 무엇이냐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들에 의해 밝혀진 ‘-오/우-’의 의미와 기능은 ‘-오/우-’를 다룬 논의의 수만큼이나 다양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문제에 대한 접근 태도로 보아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가 있다. 형태론적인 접근 태도와 의미론적인 접근 태도가 그것으로, 전자는 허웅(1958, 1959, 1963ㄱ․ㄴ, 1964, 1965)으로 대표되는 인칭․대상 활용설이고, 후자는 이숭녕(1959, 1960, 1964)으로 대표되는 의도법설이다. 이들 이외에도 많은 논의가 ‘-오/우-’의 주변에서 있어 왔다.
여기에서는 여러 연구자들의 ‘-오/우-’에 관한 문법적 기능 규명과 그 성격을 간략히 정리해 보고 선어말 어미 ‘-오/우-’의 기능과 ‘-오/우-’와 후행 어미와의 결합 양상, ‘-오/우-’의 변천을 살펴보기로 한다.

2. ‘-오/우-’의 문법적 기능

‘-오/우-’ 연구자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오/우-’의 문법적 기능의 규명에 있다. ‘-오/우-’의 기능을 파악하려는 많은 연구가 있었는데, 이들의 결론을 한마디로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참고문헌
고영근(1997), 『표준 중세 국어 문법론』, 집문당.
국립 국어 연구원(1996), 『국어의 시대별 변천 실태 연구1』
손주일(1994), 「‘-오/우-’ 연구 현황과 과제」, 『인문과학연구』32, 강원대.
손주일(1994), 「15세기 국어의 선어말어미 ‘-오/우-’에 대한 통사론적 연구 」
http://oc.kangwon.ac.kr/~sulb/sjistudy/endou.htm.
손형주(1993), 「15세기 국어 ‘-오/우-’의 연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안병희․허경(1998), 『국어문법론Ⅱ』, 한국방송통신대.
이기문(1983), 『국어사 개설』, 탑 출판사.
이기백(1992), 『국어학강독』, 한국방송통신대.
전정례(1995), 『새로운 ‘-오/우-’ 연구』, 한국문화사.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국문학]국어사 고대,중세,근대,현대국어
  • 우리 말에는 없는 유성음이다)을 표기하기 위한 글 자로 봄. 합용병서는 ㅂ계와 ㅅ계로 나뉘어지는데 중세국어에서는 이들의 ㅂ과 ㅅ이 뒤에 오는 자음을 경음화하는 기능을 함③ 엄밀한 의미에서 독립음운으로서의 자질을 가진 15세기 중엽 중세국어의 자음체계(239쪽)- 파열음과 파찰음에서의 3지적 상관속, 마찰음에서의 2지적 상관속 형성④ 8종성 체계 - ㄱㄴㄷㄹㅁㅂㅅ가으로 ㄷ과 ㅅ이 대립. 16세 이후 ㅅ이 변화하여 오늘날의 7종 성

  • [국어형태론] 형태소 `-오-`에 대하여..
  • 오/우-론에서의 합치점 -오/우-가 화자와 관련하는 어떤 기능을 가진 형태소라는 것.4. -오/우-론의 불투명성, 미완성성의 원인 ① 모든 -오/우-론이 -ㅁ/음 동명사 어미에 나타나는 -오/우-와 -딪 부동사 어미에 나타나는 -오/우-를 원리적으로 제외하고 있었기 때문. ② 중세 국어의 -오/우-가 현대에는 완전히 죽어 버렸다고 상정해 왔기 때문. 그리하여 중세 국어로서의 한에 있어서의 -오/우-에만 주의를 모았고, 중세 국어로서의 한에 있

  • [국어학개론] 개화기국어의 특징 - 높임법과 문장종결법의 변화
  • 오간접 의문문에서는 ‘-ㄴ가’, ‘-ㄴ지’의 종결법이 사용되었다. 예) 줌으신다고 던가 우슈워라(빈 30)져놈은 왼 놈인지 밤낫 읍시 와셔 파못쳐 잇더니(귀 하13)3) 명령문중세 국어의 명령법은 쇼셔체, 야쎠체, 라체가 있었는데 근대 국어에 이르러서는 객체 높임법의 선어말 어미 ‘-/옵/오-, -/옵/오-, -/옵/오-’류가 상대 높임법의 선어말 어미로 기능 변화를 보임에 따라 이들 형태가 들어 있는 것 (-쇼셔, -오쇼셔)이 없

  • [국어문법] 중세국어와 현대국어의 차이점 - 의도법 선어말 어미 `-오, 우-`
  • 제목: 중세국어 ‘오’선어말어미과 목 명: 언어사용의 이해담당교수: 제 출 일: 04. 12. 10학 과: 학 번: 성 명: 의도법 선어말 어미 ‘-오/우-’1. 서론중세국어는 현대국어와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이는 부분들이 있다. 여기에서 말하고자 하는 의도법 선어말어미 ‘-오/우-’는 중세국어 에서는 그 쓰임이 보이다가 현대국어에서는 그 쓰임을 찾아 볼 수 없는 것이다. 중세국어의 선어말 어미에 대하여 간략히 알아보

  • [국어의 음운 체계] 음운 탈락 현상
  • 오/우’ 탈락 107. y 탈락과 w 탈락 - 11Ⅳ. 통시적 관점에서 살펴 본 음운 탈락 현상1. ‘ㄹ’ 탈락의 고찰 112. 중세 국어에서의 어말음 탈락 133. ‘ㄱ’ 약화 - 144. 중세 국어에서의 어두음 탈락 -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