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유학사] 사계 김장생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1.03.23 / 2019.12.24
  • 11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7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사계의 생애 및 저술
1. 사계의 생애
2. 사계의 저술
Ⅲ. 사계의 학문 및 사상
1. 사계의 예학사상
1) 사계 예학의 특징
2) 사계 예학의 주요 학설
⑴ 正統說
⑵ 家統說
⑶ 道統說
⑷ 王統確立說
2. 사계의 경학사상
1) 경학의 개념
2) 사계 경학사상의 특징
⑴ 소학의 중시
⑵ ‘경서변의’에서 나타나는 실증적이며 객관적인 학문정신
⑶ 주체적 학문태도
⑷ 개방적 학문연구
Ⅳ.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Ⅲ. 사계의 학문 및 사상

1. 사계의 禮學思想

1) 사계 예학의 특징
① 사계 예학은 統의 수립을 중시하고 종법 종법(宗法) : 당내(堂內)나 문중과 같은 친족조직 및 제사의 계승과 종족(宗族)의 결합을 위한 친족제도의 기본이 되는 법.
주의적(宗法主義的) 원칙을 중시하였다. 김 장생은 禮의 기능을 “통서(統緖)를 바로 하는 것(正統)”이라고 인식하였다. 또한 적서 의 차별보다는 종지(宗支)의 위치를 더 중시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서자의 종법적 위상 을 제고하는 예론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한기범, “신독재 김집의 종법인식과 실천”, 「백제연구」 25집, 1998. 참조

② 사계 예학은 정례 情禮: : 정리(情理)와 예의
(情禮)와 시의 時誼 : 그 당시의 사정에 마땅한 것
(時誼)를 중시하는 예학 경향이 강하였다. 기본적으 로 「주자가례」와 고례(古禮)를 따랐으나, 비록 변례적인 속례(俗禮)라 하더라도 그것 이 정례에 맞으면 이를 좇게 하였고, 고례에도 없는 국속(國俗)이라 하더라도 이를 무조 건 배척할 것이 아니라 정례와 시의로써 그 시비를 가려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였다.
③ 사계 예학은 계몽성과 실용성이 강한 예학이었다. 김장생은 「상례비요」의 집필 동기 를 "사람들로 하여금 책을 열면 환하게 알아 갑자기 일을 당했을 때 실수하는 일이 없 게 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의례문해」는 실생활에서 행하는 의례에서 의문이 드는 문제들을 문답한 것을 집성한 것이어서, 평이하고 실용성이 높은 예서로 손꼽힌다.

2) 사계 예학의 주요 학설

⑴ 정통설正統說
사계의 예학사상에 있어서 가장 강조되는 것이 바로 정통사상(正統思想)이다. 사계는 統 의 수립을 무엇보다 중시하였다. 그것은 종법질서의 확립이 곧 국가의 기강과 사회질서를 바로 잡을 수 있는 요체라는 그의 확고한 禮 인식의 소산이었다.
사계는 인간이 인간으로서 지켜야 할 도리인 예의를 지킬 경우에 인간의 역할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자기의 본성을 알고 하늘을 알아야 하며, 그 방법은 궁리(窮理)뿐이라고 하였다. 「全書」80쪽 : "人之所以爲人者 知性也 至誠之要 無他窮理而已."
이렇게 자신에게 주어진 소당연(所當然)의 리(理)를 알고 그에 맞게 각자의 명분에 따라 합당한 행위를 하는 것은 곧 정통, 즉 통을 바로잡는 것으로 이어진다. 각자 자기에게 주어진 성을 실천해나가며 종법사회의 체계 하에서 조화를 이루는 것이 바로
참고문헌
참고문헌

논문
오석원, “사계 김장생의 경학사상-경서변의를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회, 1989
한기범, "신독재 김집의 종법인식과 실천", 「백제연구」 25집, 1998.
한기범, "사계·신독재 예학의 성격과 위상", 「유교사상 연구」, 2003.
한기범, "사계 김장생의 생애와 예학사상", 「백제연구」, 1989.
장민, “사계 경학 사상연구 - 『경학변의』,『중용』중심”, 한국유교학회, 2003
이영호, “『 경서변의 대학 』 을 통해서 본 사계 김장생의 경학사상”,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0

단행본
최근덕 外, 『沙溪思想硏究』, 沙溪 愼獨齋兩先生紀念事業會, 1991
장세호, 『沙溪 金長生의 禮學思想』, 경인문화사, 2006
정옥자, 『우리선비』, 현암사, 2002
채종준, 『사계김장생 전서 1』, 한국학술정보(주), 2006
하겸진, 『기호의 유학자들』, 나남(주), 2008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한국사상가] 율곡 이이
  • 한국 사상사에서 율곡 이이가 지니는 의미를 온전하게 평가할 수 있는 길일 것이다.김상오, 1980, 「黨爭史의 立場에서 본 李珥의 文廟從祀問題」, 『全北史學』 4이희권, 1983, 「東方五賢의 文廟從祀 小考」, 『全北史學』 7정옥자, 1986, 「朝鮮後期 文廟祀典의 釐正」, 『韓國文化』7이종호, 1994, 『율곡 인간과 사상』, 지식산업사최영성, 1995, 『한국유학사상사 Ⅱ』, 아세아문화사황준연, 1995, 『율곡 철학의 이해』, 서광사조남국, 1997,

  • [한국유학] 조선시대 성리학과 붕당정치
  • 유학사의 이대논쟁이라고 까지 말해진다. 호락논쟁은 율곡학파의 적통 우암 송시열의 문하인 수암 권상하의 제자들 가운데서 싹트게 된다.당시 수암은 청풍(현재의 제천)에서 강학을 베풀고 있었는데 여기서 율곡학파의 중심이 되는 뛰어난 학자들이 많이 배출되어 하나의 학파를 이룰 정도였다. 그 중 대표적인 학자로 江門八學士가 손꼽히는데 江門八學士는 湖洛論爭의 시발점이 되는 巍巖 李柬과 南塘 韓元震을 포함하여 屛溪 尹鳳九, 鳳巖 蔡之洪,

  • 인문어학 조목
  • 한국유학사≫, 亞細亞文化社. * 정순목(1983), ≪嶺南敎育史草≫, 영남대출판부. * 정순목(1989), ≪퇴계평전≫, 지식산업사. * 정순목(1999), , ≪退溪門下의 인물과 사상≫,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지음, 예문서원. * 한국국학진흥원(2002), ≪영남지방의 퇴계학맥도≫, 예문서원 * 한국사상사연구회(1996), ≪조선유학의 학파들≫, 예문서원. ◈ 참고 사이트* 민족 문화 추진 위원회 http://www.minchu.or.kr* 네이버 논문 중 1절 퇴계학의

  • [경영학] 붕당정치
  • 사계 김장생의 서재이다. 송시열은 이이-김장생-김집으로 이어진 기호학파의 적통을 계승한 정통기호학파였다. 송시열은 사계 김장생에게서 학문을 배웠다. 김장생은 이이의 수제자였고 따라서 송시열은 이이-김장생으로 이어지는 기호학파의 적통을 이은 것. 이 당시 기호학파는 붕당으로는 서인에 해당되고 따라서 기호학파의 적통을 이은 송시열은 서인의 우두머리 역할을 할 수 있었던 것이다. 송시열의 학맥을 기록해 놓은 책, 화양연원록을 보

  • 우암 송시열의 정치사상 연구
  • 그들의 나라 이덕일 김영사3) 조선조 성리철학의 구조적 탐구 최근덕 성균관대 출판부(2001)4) 우암 송시열의 정치사상 연구 이영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부속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조선철학사 Ⅱ 정성철 이성과 현실, 1988 6) 조선철학사 上 정진석 이성과 현실, 19887) 한국인물유학사 한국인물유학사편찬위원회, 1996 8) 조선사 인물 여행 조동림 신사출판사, 1997 9) 한국인물탐사기4 김동욱 오늘, 199610) 이야기 인물 한국사 이이화 한글사, 1993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