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의 형식과 미학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1.01.19 / 2019.12.24
  • 32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7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서론



본론



결론



문학과 나의 삶



임용기출 문제 풀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내용
이 작품은 발해 문왕 때 귀덕장군인 양태사가 지은 한시(漢詩)로 24행의 칠언배율이다. 759년(문왕 23년)에 일본에 부사(副使)로 갔다가 송별연에서 <밤에 다듬이 소리를 듣는다(夜聽衣聲)>는 시를 읊었다고 한다. 이는 일본에서 편찬한 한시집 <경국집>에 전한다. 기록이 부실해서 뒷부분은 표기가 혼란되어 있다.
어느 가을밤에 고국으로 돌아올 생각을 하고 있는데, 홀연 이웃에서 여인네가 다듬이질하는 소리가 들렸다는 것을 서두로 삼았다. 다듬이질은 일본에는 없는 풍속이다. 그 여인은 반드시 발해 사람은 아니라도 동족 이주민일 터이므로, 다듬이질하는 소리를 듣고 친근감을 느끼고 고국을 생각하였다. 발해 시인이 남긴 시중에서 가장 장편이고 정감이 풍부한 작품이다.

ⅱ) 형식
앞의 8행을 살펴보면 2행 단위로 시상이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1-2행은 시적 배경을 알려주며, 이국에서 고향에 돌아갈 생각에 상념에 젖어 있는 화자의 상황을 서정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3-4행은 <다듬이 소리>라는 소재를 통하여 시상을 급전환 하여 이국에서의 객창감(客窓感, 나그네가 느끼는 쓸쓸한 정서)을 고향에 대한 그리움으로 전환시키고 있다. 5-6행은 다듬이 소리로 인하여 상념에 잠긴 모습을 나타내고, 7-8행은 고국을 떠난 다음에는 들어 보지 못했던 다듬이 소리를 타국 땅 일본에서 들으며 그 소리가 고국의 다듬이 소리와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다듬이 소리는 고국에서만 들어 볼 수 있는 것이기에 서정적 자아는 머나먼 이국땅에서 더욱 고향을 그리워하고 있다.
배율을 율시의 확대라고 생각하면 1, 2, 4, 6, 8 행의 살펴봐야 할 것이다. 그런데 그 끝 글자가 <명>, <정>, <성>, <지>, <사>로 완전히 안 맞추었다고도, 그렇다고 완벽한 형식을 유지 했다고도 볼 수 없을 것 같다.


참고문헌
6. 참고문헌
- 한국한문학회 엮음(2003), 한국한문학과 미학, 태학사
- 정 민(2003), 정민선생님이 들려주는 한시 이야기, 보림
- 김광순 외 (2003), 국문학개론, 새문사
- 오성수(2007), 우리가 죽기 전에 꼭 읽어야 할 한시, 김&정
- 이종묵(2009), 우리 한시를 읽다, 돌베개
- 김상홍(1997), 한시의 이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 심경호(2000), 한국 한시의 이해, 태학사
- 심경호(2006), 한시의 세계, 문학동네
- 정 민(1996), 한시 미학 산책, 솔출판사
- 이승수(2006), 거문고줄 꽂아놓고 : 옛사람의 사귐, 돌베개
- 이승수(2009), 문학이 태어나는 자리, 산처럼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한국한문학의 이해
  • 한시, 한문소설, 야담, 한문수필, 여성 한문학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한시는 중국의 시 형식에 맞추어 창작된 고체시와 근체시를 아우르며, 한문소설은 교훈성, 갈등구조, 허구성, 이념성, 풍자성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야담은 여러 이야기를 담고 있어 소재가 풍부하고 오락성이 강하기 때문에 언제든지 소설로 전이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한문 수필과 필기는 사대부의 지식과 생활에 관련된 것으로 국한되어 있으며, 여성한문

  • 전기소설의 해체와 세기 소설사적 전환의 성격 강상순
  • 미학적 감수성에까지 그 권력을 침투시켜 문학에 대한 내용적, 형식적 요구를 변모시킨다. 이데올로기와 무의식적 욕망 사이, 텍스트의 의식과 무의식 사이의 역동적 변증법이 17세기의 소설사적 전환을 이해하는 데 결정적인 중요성을 지닌다. 전기소설의 주인공은 가문의식을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애정에 있어서도 자발적이고 능동적이다. 하지만 가부장적 가문 이데올로기가 지배계급에서부터 강화되기 시작하면서 이러한 애정은 하나의 도덕적

  • [고전시가론] 시조의 향유층과 흐름에 관한 고찰
  • 형식의 시조를 창작하기 시작했다는 것은 새로운 시의 길 발견이라는 차원에서 주목할 만하다. 어쨌든 조선후기의 기녀작가들은 감성의 내면화를 통해 그들의 시적 정체성을 확보하고자 하였고, 그러한 안간힘의 종착지 어디쯤에서 그들은 연작시조에 닻을 내리게 된 것이다.기러기 우 밤에 내 홀노 잠이 업셔殘燈 도도혀고 輾轉不寐  차에窓 밧긔 굴근비 소리에 더욱 茫然하여라千里에 맛나다가 千里에 離別니千里 꿈 속에 千里님 보거고

  • [고전작가론] 정철 작품의 국문학사적 의의
  • A study on the KASA literary works writen by Song Kang Chong Chol”, 경기대학교. 신경림, 이은봉, 조규익 공편(1993), 송강문학연구논총.유남철(1999), “松江 歌辭의 志向 世界 硏究 Research on an Inclination of the Words by Song-Kang”,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이욱희(2004), “송강 정철 문학의 미학과 작가 의식 연구 (A) study on the aesthetics and writers consciousness of the literature of Song-Gang, Jeong Cheol”,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조연숙(1991), “松江의 詩歌文學 硏究”, 淑明女子大學校.

  • [시인 이육사의 작품과 생애에 대한 연구] 시인 이육사의 작품과 생애에 대한 연구
  • 형식미가 지닌 전통성과 고전성의 계승․발전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육사 시의 형태가 지닌 구조적 정형성은, 한시의 긴축된 형식미로부터 영향받은 것으로 보인다. 「절정」과 「광야」와 같은 시는 그 전형적인 예이고, 「교목」, 「꽃」 등의 시는 형태적 변형을 시도한 것이다.그러나 육사는 단순히 정형시적 기승전결의 구조에만 의지하지는 않았다. 이육사는 시 속에 영웅적 생의 전모를 표현하기를 원하였고, 그 결과 강렬한 주제 의식과 함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