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국문학] 가사문학에 대하여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6.10.23 / 2019.12.24
  • 18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5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하고 싶은 말

국어국문학을 전공하면서 힘들게 만든 자료입니다.
소중히 사용해주세요~

목차
Ⅰ. 序 論

Ⅱ. 歌辭의 名稱과 槪念

Ⅲ. 歌辭의 起源과 장르
1. 歌辭의 起源
2. 歌辭의 장르

Ⅳ. 歌辭의 갈래와 內容
1. 士大夫歌辭
2. 庶民歌辭
3. 閨房歌辭
4. 宗敎歌辭
5. 開化歌辭

Ⅴ. 歌辭의 形式

Ⅵ. 歌辭의 史的 흐름
1. 第1期(形成期)
2. 第2期(發展期)
3. 第3期(變貌期)
4. 第4期(擴張期)
5. 第5期(衰退期)

Ⅶ. 決 論

Ⅷ. 參 考 文 獻

본문내용
Ⅰ. 序 論
우리 한국 문학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성격의 특수 문화형태인 ‘歌辭'는 발생이래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오랜 세월에 걸쳐 각계 각층의 많은 사람들에 의하여 각양각색으로 창작 되었다. 조선시대 선비들에게서는 후생들을 가르치고 깨우치기 위해 교술의 방편으로 지어져 노래 불러지거나 읊조렸다.
인간 이동의 여행 경험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새로운 지식과 견문의 전달을 위한 기행으로 지어졌고, 개화기 언론인들에게는 그들의 주장을 개진하기 위한 사설의 한 문체를 지어지기도 하였다.
한편 규방의 여인들에서는 그들만이 체험하고 터득한 갇힌 생활에서의 기쁨과 슬픔을 표출하기 위한 정한 발산의 수단으로 한풀이, 신명풀이의 사설이 되기도 하였다.
가사는 문학양식으로서의 그 이름도 여러 가지로 표기되어 사용되어 있다. 이런 가사의 전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겠다.
Ⅱ. 歌辭의 名稱과 槪念
가사는 시조와 함께 조선조 문학의 쌍벽으로서 일제시대까지 면면히 창작, 향유되어 온 우리 고유의 문학 장르이다. 현재까지 발굴된 것만도 2000편에 가깝고 규방가사의 異本들까지 합하면 수 천편에 달하여 작품의 수량 면에서 국문학 유산 중, 가장 풍성할 뿐만 아니라 내용도 다양하다.
이러한 가사는 그 명칭이 일정하지 않아 ‘長歌’, ‘長篇’, ‘長辭’, ‘歌詞’, ‘歌辭’ 등과 같이 여러가지로 쓰였으며 국문으로는 ‘가’, ‘사’ 등으로 표기되었다. 그리고 규방가사는 향유층에 의해 주로 ‘두루말이’란 이름으로 불리워졌다. 문헌상으로 볼 때 長歌, 長篇, 長辭 등의 명칭은 歌詞나 歌辭에 비해 널리 쓰이지 못했으나 ꡔ芝峯類說ꡕ, ꡔ溪陰漫筆ꡕ, ꡔ松江歌辭ꡕ, ꡔ松江別集ꡕ 등에 쓰인 예가 있다.
長歌則感君恩 翰林別曲 ....... 退溪歌 南冥歌 宋純免仰亭歌 (ꡔ芝峯類說ꡕ)
且作歌曲 如無等長歌等 酒紺輒使歌兒 舞女唱之 (ꡔ溪陰漫筆ꡕ)
歌曲尤妙絶 古今長篇短什 無不盛傳 (ꡔ松江歌辭ꡕ)
其體有短歌長辭 (ꡔ松江別集ꡕ)
여기에 쓰인 長歌, 長篇, 長辭 등은 시조를 短歌라 부른 데 대한 對稱으로서 오늘날의 가사문학 작품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고려속가, 경기체가, 악장 등 시조보다 긴 형태의 우리 고유의 노래를 통칭한 것이다.
歌詞란 명칭은 대개 음악적인 면에서 ‘우리말 노래’를 뜻하나, 일반적으로 노랫말 즉, 노래의 臺詞를 뜻하는 말이다. ꡔ樂章歌詞ꡕ에 쓰인 ‘歌詞’란 용어는 漢詩로 된 樂章에 대한 우리말 노래란 뜻으로, ꡔ芝峯類說ꡕ과 ꡔ北軒集ꡕ에 쓰인 ‘歌詞’란 용어는 中國 漢詩에 대한 우리나라 詩歌란 뜻으로, ꡔ時用鄕樂譜ꡕ에 쓰인 ‘歌詞’란 용어는 악보에 쓰인 詩詞(노랫말)의 뜻으로 쓰였다.
참고문헌
▪ 김대행, 《시가 시학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1.
▪ 김문기, 《서민 가사 연구》, 형설출판사, 1983.
▪ 김병국, 《한국 고전 문학의 비평적 이해》, 사울대학교출판부, 1995.
▪ 김학성, 《국문학의 탐구》, 상군관대학교출판부, 1987.
▪ 정재호 편, 《한국 가사 문학 연구》, 태학사, 1996.
▪ 정재호, 《한국가사문학론》, 집문당, 1982.
▪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1983.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용비어천가」 분석과 지도 방안
  • 문학을 포함시키기 위해 설정된 특수한 갈래인 만큼 경기체가, 가사 등과 더불어 갈래 귀속 문제, 갈래 설정 문제 등을 논할 수 있고, 이것은 학습자의 사고력을 발달시키고 문학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을 길러줄 것이다. 또한 용비어천가는 교술이면서도 운문이기 때문에 시로서 어떤 율격을 지니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자료로도 쓰일 수 있다.(3) 문법 학습용비어천가는 후기 중세 국어의 모습을 연구하는 데 절대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는 자료이다.

  • 문학작품에 나타난 방언
  • 문학 초창기 문학방언에 대한 관심은 주로 계몽주의적 시각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이태준은 시인이나 작가는 “언문통일”을 위해 방언을 사용하는 역기능을 줄여나가야 한다는 계몽주의적 입장을 견지했다. 50년대 이후 대학에서 국어학과 국문학연구는 세분화되는 과정을 겪으며, 문학 작품에 나타나는 방언에 대한 연구는 사소한 것으로 인식할 뿐이었다. 그러나 문학연구를 위해 국어학적 시각이 절실하게 필요하다는 인식은 김완진(1975)에 와서

  • [심리학]분노와 인간 문화와의 관계에 대한 고찰
  • 국문학 이해의 길잡이, 서울 : 집문당, 1996.조동일, 한국문학통사(1-6), 서울 : 지식산업사, 1993최서해, 토혈(吐血), 동서한국문학전집 7, 서울: 동서문화사, 1990최서해, 홍염(紅焰), 동서한국문학전집 7, 서울 : 동서문화사, 1990최윤영 옮김, 분노의 포도(J. E. Steinbeck 지음), 서울 : 혜원 출판사, 1994Bronte, Charlotte, Vilette, New York: Everymans Library, 1992.de la Rocha, Zack, Know Your Enemy, Rage Against the Machine, Los Angeles : Retribution Music(BMI), 1992.de la Rocha, Zack, Wake Up, Rage Again

  • [고전시가론] 경기체가
  • 가사강」, 도남조윤제전집1, 1989. p.141: 충숙왕 17년에 강릉도 존무사로 있다가 돌아오는 길에 관동의 절경(절승)을 음영한 것.② 이명구 이명구, “경기체가의 역사적 성격 고찰”, 「대동문화연구」, 창간호, 1963. pp.89-90: 1330년③ 김창규 김창규, “竹溪別曲의 諸問題”, 「국어국문학」 84, 1980. p.211: 의 제작 연대가 『麗史』에 의하면 “忠惠王卽位命存撫江陵道”만을 믿어 1330년으로 생각하고 있으나, 의 漢詩 七律에 따르면 “

  • [국어국문학] 한국 가사문학 연구
  • 문학, 예술에도 참여하였다는 데에 그 이유가 있다. ≪本 論≫Ⅰ. 가사의 개념Ⅰ-1. 일반론가사는 시조와 함께 조선조 시가문학의 쌍벽으로서 일제시대까지 면면히 창작, 향유되어 온 우리 고유의 문학 장르이다. 현재까지 발굴된 것만도 2000편에 가까우며 규방가사의 이본들까지 합하면 수천 편에 달하여 작품의 수량 면에서 국문학 유산 중 가장 풍성할 뿐 아니라 내용도 다양하기 그지 없다.이러한 가사는 그 명칭이 일정하지 못하여 `長歌(장가),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최근 판매 자료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