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의이해] 조선전기 여류문인의 생애와 작품의 고찰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10.27 / 2019.12.24
  • 24페이지 / fileicon pptx (파워포인트 2007이상)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8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가. 이매창과 시
나. 이옥봉과 시
다. 허난설헌과 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But, 그 속에서도 여류문학은 꽃 피웠다!!


여성의 삶과 경험․가치관이 작품으로 형상화됨.
따라서 여류문학은 사대부 문학과는 또 다른 여류문학적 의의에 대한 고찰을 해보고자 한다.

<발표제약>
1. 여류문인의 시가문학만을 선정
2. 조선전기(임진왜란을 기준으로)라는 시간적 제약
3. 여류문인을 세 종류로 분리
-기녀 : 매창
-소실 : 이옥봉
-규방의 여인(정실) : 허난설헌



梨花雨 흩뿌릴 제 울며 잡고 이별한 님
秋風落葉에 저도 날 생각난가.
천 리에 외로운 꿈만 오락가락 하노매.

- 李梅窓 <靑丘永言> 中

해석) 배꽃이 비 내리듯 흩날릴 때,
울면서 소매를 부여잡고 이별한 임.

세월이 흘러 가을바람에 낙엽이 지는 이때에
임도 나를 생각하고 있을까?

멀리 떨어져 있기에 외로운 꿈속에서만
나를 찾아 오셨다가 가시는구나.

- 이매창 <청구영언> 중에서
이옥봉 [李玉峰]

- 호 : 옥봉
- 이름 : 媛
- 활동분야 : 시인
- 이봉의 서녀로 태어나 조원의 소실됨.
- 옥봉의 삶과 시는 1704년 조원의 후손 정만이 쓴
『가람세고』의 부록「李玉峯行績」 에서 전해진다.




참고문헌

『韓國漢文學論文選集36 女流詩文學(2)』, 불함문화사, 2002.
김지용,『역대여류한시문선』, 대양서적, 1982.
최각규,『조선시대 강원여성시문집』, 강원도, 1998.
하응백,『이옥봉의 몽혼』, Human & Books, 2009.
함종임,『난설헌 허초희 채련』, 푸른사상, 2007.
허경진,『韓國의 漢詩14, 梅窓 詩選』, 평민사, 1997.
황충기,『기생 시조와 한시』, 푸른사상, 2004.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등교육, 한국 문학의 이해
  • 작품에서 민중의 모습을 생생하게 그려냈다. 이 시에서 화자는 고통스럽게 살아가지만 몸놀림에 활력이 넘친다. 이색은 이 시를 통해 노동은 즐겁다는 것을 스스로 겪고 있는 듯 말하면서 자신만의 내부의 관점을 새롭게 보여주었다.2.4. 조선시대에서 개화기까지의 한문학2.4.1. 조선전기의 한문학(조선 건국부터 임진왜란 전까지)조선은 건국 후 성리학을 정치 이념으로 삼았고, 등시에 숭유억불정책을 폈다. 그래서 성리학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

  • 1920년대 후반 한국시
  • 문인 집단인 파스큘라와의 통합을 원했던 것이고, 반면 김기진은 염군사가 작품 활동 이외의 다른 수단을 동원하여 선전 활동을 하고자 한 점이 문예인의 영역을 넘어서는 것이라 하여 통합을 꺼렸던 것이다. 이러한 사정은 카프 결성 후 1927년을 전후한 내용-형식 논쟁이나 1929년을 전후한 대중화론에서 김기진의 태도를 암시하는 장면이다.③ 카프(KAPF) 문학의 전개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은 1925년 8월에 결성된 경향적(傾向的) 예술단체이다.

  • [여성과 예술] 서양미술과 한국미술에서 여성의 위치를 중심으로
  • 조선시대와 근대(1920년대∼1940년대)의 여성미술가의 작품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그것이 현 시점의 한국 페미니즘 미술에 있어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① 조선 시대▷ 조선시대 여성화가조선시대 여성미술 연구는 한국 여성미술의 전통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토대가 된다. 조선시대에 활약했던 여성미술 작품과 작가에 대한 현존하는 자료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몇몇 여성 작가의 작품은 당시의 시대적 상황에 비추어 볼

  • 1920년대 문학, 1930년대 문학
  • 문인들이 속출되어 뛰어난 작품들이 세상에 나올 수 있게 된 것이다. 이 가운데 《조선》,《동아》 두 일간지의 발행과 1919년 《창조》이후《개벽》,《백조》 등의 잡지 발간은 1920년대 우리 문학의 전개와 발전에 직접적인 기여를 하게 되었다. 또한 서구와 일본으로의 문예사조의 도입은 20년대 문학이 다양한 경향으로 발전하게 하였다. 이런 출판물의 간행과 문예사조의 유입은 신문학 태동의 1910년대를 지나 한국 현대문학의 출발을 알리게 되었다.

  • [고전시가론] 경기체가
  • 작품은 경기체가가 정착될 수 있게 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상 대 별 곡(霜臺別曲) > 조선조 경기체가인《霜臺別曲》은 권근이 지은 것으로 『樂章歌詞』에 전해지고 있다. 《霜臺別曲》은 사헌부 관원으로서 늠름하고 호기에 넘치는 현실적 삶을 숭고한 건국이념을 바탕으로 노래한 작품인 동시에, 권근이 과거 고려의 遺臣임을 자처하면서 충주의 양촌에 은거하다가 태조의 명을 받고 出仕한 자신에 대한 변명의 의도가 담겨져 있는 것으로 이해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