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사] 1970년대 시대구분논쟁에서의 중세와 고려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06.29 / 2019.12.24
  • 13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머리말
Ⅱ. 1970년대 이전의 시대구분
Ⅲ. 1970년대의 시대구분논쟁
(1) 金哲俊, 「韓國 古代社會의 性格과 羅末, 麗初의 轉換期에 대하여」 (2) 姜晋哲, 「高麗 田柴科 體制下의 農民의 性格」
Ⅳ. 맺음말

본문내용
Ⅱ. 1970년대 이전의 시대구분
1931년에 나온 최남선(崔南善)의 『조선역사(朝鮮歷史)』는 일반에 한국사를 보급시키는데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고 평가받는 책이다. 시대구분을 왕조사의 관점에서 한국사를 上古 (高麗以前)-中古 (高麗時代)-近世 (朝鮮時代)-最近 (興宣大院君-韓國倂合)의 네시기로 구분 하였다. 그러나 최남선은 상고시대(上古時代)가 통일신라말(統一新羅末)에서 끊겨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이 없다. 또한 중세가 고려시대에 국한해서 발전된 것에 대한 뚜렷한 설명도 나타나지 않으며 뒤에 나타나는 근세(近世)의 시작과 전개과정 문제도 명확히 설명하지 않고 있다. 이기백(李基白)은 최남선의 시대구분을 왕조중심으로 파악하면서 ‘신라는 삼국시대부터 계속해오던 국가이기 때문에 삼국통일로서 끊는 것은 부적당하고 단순히 고려와 신라를 다른 왕조이기 때문에 이를 신라와 같이 한 시대로 볼 수 없다고 한 것은 왕조중심의 시각에서 벗어나지 못한다’고 하였다.
이기백 「韓國史 時代區分 問題」,『韓國史時代區分論』, (을유문화사, 1970), p.11

백남운(白南雲)은 1933년 『조선사회경제사(朝鮮社會經濟史)』와『조선봉건사회경제사(朝鮮封建社會經濟史)』를 저술했다. 이 두 책에는 세계사적 발전 법칙이 한국사에도 예외 없이 적용되어 있다는 백남운의 견해가 드러나 있다. 백남운은 『조선사회경제사』에서 "한 민족의 발전사는 그 과정이 어찌하여 아시아적이라 하더라도 사회구성 내면의 법칙 그 자체는 완전히 세계사적인 것" 백남운, 『朝鮮社會經濟史』, (동문선, 2004)
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백남운은 마르크스의 사회단계설 마르크스의 사회발전단계설은 인류역사가 발전해온 과정을 원시공동체사회(原始共同體社會)-고대노예제사회(古代奴隸制社會)-중세봉건사회(中世封建社會)-근대자본주의사회(近代資本主義社會)의 단계적인 순서로 발전한다고 보았다.
에 영향을 받아 그것을 한국사에 적용하여 '原始氏族社會-原始部族國家(古朝鮮, 三韓)-奴隸國家(三國時代, 統一新羅)-東洋的 封建國家(高麗, 朝鮮)-移植資本主義(日帝下)'라는 시대구분을 제시했다. 백남운이 제기한 노예제사회론 이후 한국사 시대구분론은 한국사에 있어서 노예제사회의 존재 유무와 그 시기 설정에 대한 문제를 둘러싼 논쟁으로 이어졌다.
백남운의 시대구분은 전석담(全錫淡)에게 비판받는다. 전석담은 한국사의 발전도 세계사적 역사법칙에 의해 발전을 거쳐 온 것은 사실이지만 백남운의 시대구분에는 이러한 사회적인 법칙을 한국사에 적용하는 데에 문제가 있다고 하였다. 전석담은 백남운의 의견은 한국사 안에서의 일반성과 특수성을 옳게 파악하지 못하였다고 생각했으며, 추상적인 일반 법칙을 구체적으로 적용하는데 있어 너무 성급했다고 지적했다. 즉 전석담은 한국사 발전과정에 나타났던 사회의 성격규명을 제대로 하지 않은 상태에서 성급하게 마르크스적 발전식을 도입하여 억지로 꿰어 맞춰 시대를 구분하였다고 비판한 것이다.
참고문헌
연대기자료
高麗史
朝鮮王朝實錄

단행본
韓國經濟史學會, 『韓國史時代區分論』, 을유문화사, 1970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14, 국사편찬위원회, 2002
강진철, 『高麗土地制度史硏究』, 일조각, 1980
박용운외 공저, 『고려시대 사람들 이야기』2, 신서원, 2006
박용운, 『고려시대사』, 일지사, 2009


논문
김철준, 「羅末麗初의 社會轉換과 中世知性」,『창작과 비평』12, 창비, 1968
김철준, 「新羅時代의 親族集團」,『韓國史硏究』1, 한국사연구회, 1968
김철준, 「羅末麗初의 社會轉換과 中世知性」,『창작과 비평』12, 창비, 1968
김철준, 「韓國古代政治의 性格과 中世政治思想의 成立科程」,『동방학지』10,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69
김철준, 「韓國古代文化硏究에 있어서 몇 가지 問題」,『동양학학술회의록』,
단국대학교 동양학 연구소, 1973
강진철, 「韓國史의 時代區分에 대한 一試論」,『진단학보』29, 진단학회, 1966
강진철, 「高麗時代의 農業經營形態」,『한국사연구』12, 한국사연구회, 1976
강진철, 「高麗時代의 地代에 대하여」,『진단학보』53, 진단학회, 1982
강진철, 「中世史」.『진단학보』57권, 진단학회, 1984
목영관, 「韓國史의 時代區分에 관한 小考」,『광주보건전문대학논집』9,
광주보건전문대, 1984
문철영, 「韓國史의 時代區分 論議」,『한국학연구』1, 단국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94
이기동, 「韓國史 時代區分의 反省과 展望」,『經濟史學』21, 경제사학회, 1996
이현정, 「韓國前近代의 時代區分에 관한 硏究」, 昌原大學校, 2002
조동원, 「韓國史 時代區分論議에 대한 檢討」,『人文科學』29,
성균관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1999
차하순, 「時代區分의 理論的 基礎」,『歷史學報』45, 歷史學會, 1970
최규성, 「韓國史 時代區分 問題의 再檢討」,『상명대학교 논문집』13,
상명여자사범대학, 1984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북한과 남한의 한국사 시대구분론 비교 -`고대와 중세의 기점구분` 논쟁을 중심으로
  • 북한과 남한의 한국사 시대구분론 비교 -‘고대와 중세의 기점구분’ 논쟁을 중심으로-◀차례▶Ⅰ. 머리말Ⅱ. 북한의 고중세사 시대구분론ⅰ. 1950년대 시대구분론ⅱ. 1960년대 시대구분론ⅲ. 197080년대 시대구분론ⅳ. 1990년대 시대구분론Ⅲ. 남한의 고중세사 시대구분론ⅰ. 1950년대 시대구분론ⅱ. 1960년대 시대구분론ⅲ. 1970년대 시대구분론ⅳ. 1980년대 시대구분론ⅴ. 1990년대 시대구분론Ⅳ. 북한과 남한의 시대구분론 비교ⅰ. 북한과 남

  • 고려 지배계층의 성격
  • 년대에서 1970년대 초에 이르는 시기의 고려 귀족제 연구는 귀족의 특성, 귀족의 세습원리로서의 음서의 중요성 및 그들의 경제기반이 되는 공음전시의 세전 등을 밝힘으로써, 고려사회가 귀족제 사회였다는 인식도 심화되어갔다. 그러나 70년대 초기에 들어와 이에 대한 반론이 제기되었다. 귀족제설에 대해 부정적인 논자의 주장을 살펴보면, 첫째, 신분제 사회가 곧 귀족제 사회일수는 없으며 후자는 전자에서의 특정시대에 존림하는 한시대적인 적

  • [한국근현대사]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비판
  • 제목: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비판 1. 서론광복 이후 우리나라 역사학계는 일본의 식민지 정책을 주로 수탈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시각이 강하였었다. 하지만 1980년대 중반 이후 일본의 식민지 정책을 개발 및 근대화로 보는 관점인 식민지 근대화론이 대두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로써 우리의 식민지 시대를 수탈의 관점에서 볼 것인가 혹은 개발의 관점에서 볼 것인가에 대한 논쟁이 시작되었다. 즉 식민지 수탈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논

  • 북한문학, 독일문학, 프랑스문학, 영국문학, 러시아문학, 동유럽문학,일본문학(일본의 문학),중국문학(중국의 문학),한국문학(한국의 문학)
  • 시대가 인식하기를 거부하는 심리상황으로서 ‘비합리적이며 절대적이라고 여겨지는 삶의 심연’을 향한 인간의 끝없는 욕망인 것이다.20년대에도 토마스 만이나 헤르만 브로흐, 로베르트 무질, 알프레드 되블린과 같은 작가들은 신화적인 분위기에 젖어 있었다. 엘리자베트 랑게서의 ꡔ지울 수 없는 봉인 Das unauslöschliche Siegelꡕ(1946)에서는 기독교 문학의 혁신과 기독교적인 실존주의의 형상화가 이루어졌다. 30년대의 시민적인 작가들에게서 보여 지

  • [교육학] 국사 교과, 근현대사 교과 분석
  • 구분 교과123제6차 교육과정사회과국사(2)국사(2)사회1(3)사회2(2) 제7차 교육과정사회과국사(1)국사(2)사회1(3)사회2(2)수업 시수 면에서는 종래 중학교 2학년 국사가 주당 2시간이었던 것이 1시간으로 줄었다. 이는 중학교 사회가 전체적으로 11시간에서 10시간으로 1시간 줄어든 것을 국사의 수업시수에서 줄인 것이다.2)고등학교 국사① 대단원 구성 대단원 구성의 가장 큰 변화는 시대사 중심에서 분류사로 전환한 것이다. 6차 교과서는 고대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