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심화요탑 연구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9.06.15 / 2019.12.24
  • 10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 서론
 
2. <심화요탑>의 내용과 관련 문헌 및 설화 분석
1) <심화요탑>의 내용
2) <심화요탑>의 관련 문헌(술파가 설화)
3) 설화 분석
 
3. <심화요탑> 내의 문화원형과 현대적 적용
1) 짝사랑
2) 한풀이
3) 불과 사랑
4) 신분을 초월한 사랑
 
4. <심화요탑>의 재해석
  
6.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사랑’이라는 소재는 사람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 아마도 그것은 ‘사랑’이라는 것이 인류가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감정이기 때문일 것이다.
사랑은 누구나 느낄 수 있고, 알고 있는 감정인 반면에 누구도 정확히 정의할 수 없다는 양면성을 지닌다. 가령 엄마를 사랑하는 다섯 살짜리 어린아이나 미래를 약속하는 젊은 연인, 혹은 앞서간 자신의 반쪽을 그리워하는 90세 노인에게도 사랑이라는 감정은 존재하지만 그들 중 아무도 사랑을 정확히 설명할 수는 없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사랑’은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속성으로 인해 우리에게 더욱 큰 매력으로 다가온다. 특히나 문학에서의 사랑은 ‘로미오와 줄리엣’에서처럼 장애로 인해 이루기 어려울수록 더 아름답고 순수하게 느껴진다. 동양에서도 ‘견우와 직녀’같은 이야기들이 이와 관련되어 전승되고 있다.
이런 사랑이야기는 크게 둘로 분류될 수 있다. 즉 <춘향전>처럼 신분의 격차와 온갖 고난을 겪고도 마침내 사랑을 이루어낸 경우와, 장애를 극복하지 못하고 비극적 결말로 치닫는 경우가 있다.
이 두 분류 중에서 후자에 속하면서 우리 조에서 발표할 <심화요탑>은 선덕여왕이라는 최고의 신분을 가진 여성을 짝사랑했으나, 신분의 벽을 넘어서지 못하고 죽어서 불귀신이 된 슬픈 운명의 남자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우리 조에서는 남겨진 설화와 여러 편의 논문을 바탕으로 <심화요탑>에 대해 알아보고, 그 현대적 변용 양상과 발전방향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2 <심화요탑>의 내용과 관련 문헌 및 설화 분석

1) <심화요탑>의 내용

선덕여왕을 사모하다가 죽어서 화귀(火鬼)가 된 ‘지귀(志鬼)’라는 사람의 사랑을 그린 고대설화로서 작자는 미상이다. 처음에는 고려 초의 설화집인 박인량(朴寅亮)의 《수이전(殊異傳)》에 ‘심화요탑(心火繞塔)’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었으나 없어져 전하지 않게 됨에 따라, 지금은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권20과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전해지고 있다.

이미 소실된 《수이전》의 일문 수편은 《대동운부군옥》에 수록되어 전하고 있다. 이 가운데 하나 지귀의 비련을 그린 <심화요탑>이 같은 책 종권 <탑>조에 쌍행사간의 간결한 문장으로 전해져 있다.


《삼국유사》 의해(義解) <이혜동진(二惠同塵)> 조에는 영묘사 화재와 관련된 짧은 기록이 남아있다.

여기서 흥미로운 사실은 《삼국사기》 선덕왕본기에는 《삼국유사》와는 달리 지귀와 관련된 기록은 물론이고 영묘사 화재에 관한 기록이 전혀 없다는 것이다. 물론 이것은 두 역사서의 성격 차이가 가장 큰 이유일 것이다. 그러나 선덕여왕이 지은 사찰로서 나라 안에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의 ‘영묘사’화재 사건은 물론이고, 《삼국사기》 선덕왕본기에는 사찰 화재사건이 단 한건도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에는 의문이 생긴다. 대신 《삼국사기》에서 영묘사 화재사건은 문무왕본기에 여러 차례 등장하는데, 이러한 요소들을 연결하여 생각해 보았을 때 이 이야기는 신라 사람들이 영묘사 화재사건을 나름대로 해석하여 만든 것이 아닐까라는 추측과 함께 <심화요탑>의 설화적 성격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심화요탑>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귀는 신라 활리역 사람이다. 그는 선덕여왕의 아름다움을 사모하여 항상 슬픔과 눈물에 젖어 지낸 연고로 몰골이 초췌하였다. 그 소문을 듣고 마침 여왕이 길에 분향하러 행차하는 길에 그를 불렀다. 지귀는 탑 아래에서 왕의 행차를 기다리다가 홀연히 잠이 들어 버렸다. 왕은 팔찌를 벗어 그의 가슴에 얹어두고 궁중으로 돌아왔다. 뒤에야 잠이 깬 지귀는 오랫동안 넋을 잃고 있다가 그만 심화가 나서 탑을 에워싸고 태워 버렸다. 곧 불귀신으로 변한 것이다. 왕은 술사에게 명하여 주문을 짓게 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권문해, 《大東韻府群玉》, 1836.


지귀는 마음에서 불이 일어 志鬼心中火(지귀심중화)
몸을 태우고 화신이 되었네. 燒身變火神(소신변화신)
푸른 바다 밖 멀리 흘러갔으니, 流移滄海外(유이창해외)
다시는 보지도 말고 친하지도 말지어다. 不見不相親(불견불상친)


백성들은 선덕 여왕이 지어 준 주문을 써서 대문에 붙이었다. 그랬더니 비로소 화재를 면할 수 있었다. 이런 일이 있은 뒤부터 사람들은 불귀신을 물리치는 주문을 쓰게 되었는데, 이는 불귀신이 된 지귀가 선덕 여왕의 뜻만 좇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이야기는 지귀의 순수한 사랑과 여왕의 너그러운 품성을 드러낸다.

2) <심화요탑>의 관련 문헌

이 이야기의 근원은 불교설화에 있다. 대승불교의 백과전서라고 하는 용수(龍樹)의 《대지
참고문헌
서정주.『푸르른 날』. 미래사. 1991.

심윤경. 『서라벌 사람들』. 실천문학사. 2008.

엄기영. 「지귀설화의 형성배경과 역사적 의미」. 민족문화연구 vol.27.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7.

유경환. 「심화요탑에 나타난 불의 상징성」. 국어국문학 vol.122. 국어국문학회. 1998.

황패강. 「지귀설화소고 -술파가설화와의 비교연구-」. 동양학 vol.5.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975.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국문학사
  • 심화요탑, 선녀홍대, 노옹화구, 보개, 연오랑세오녀, 최치원, 태종목단자병화화, 소리암, 탈해왕 등의 이야기가 실려 있다. 현재 전해지지 않으며, 삼국유사, 해동고승전, 대동운부군옥, 태평통재, 필원잡기, 삼국사절요,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 몇 개의 작품이 수록되어 남아있다.⇒ 주요논쟁점 ※ 수이전은 단일본인가 다수본인가?, 수이전의 저자는 누구인가?Ⅱ. 기존의 몇 가지 논의와 그 논거1. 최치원이 지은 신라수이전 說최남선, 서수생 - 박인

  • 고소설(古小說)
  •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6. 참고문헌김광순 외,『국문학개론』, 새문사, 2003,김균태, 〈조선후기인물전의 야담취향적 고찰〉,《한국한문학연구》12집, 1989김준영이월영, 《고소설론 》, 도서출판 月印, 2000김태준, 〈중인문학과 이야기문학의 발달〉,《중인문학연구》, 민음사, 1991곽정식, 《쉽게 읽는 고소설》, 신지서원, 2001이복규, 《우리 고소설 연구》, 역락, 2004이복규, 《임경업전연구》, 서울집문당, 1993이종건이복규, 《한국한문학

  • 문학사 정리
  • 탑」, 홍명희『임꺽정』-대하소설(4) 순수소설한국의 토속적 세계를 배경으로 인간의 본질과 운명을 순수문학 차원에서 탐구순수서정의 세계 표현김동리「무녀도」「황토기」황순원「학」「소나기」 이태준「농군」「화관」이효석「메밀꽃 필 무렵」1. 소설2. 시* 전반적으로 순수문학을 지향하는 다양한 형태로 분화, 발전 - 배경: 서구문예이론의 본격 수입 (김기림) + 직접 표현 수단인 언어에 대한 문학인의 각성 (1933한글맞춤법통일안)특

  • [문학] 금오신화의 연원과 배경
  • 국문학사』 일신사 1989.김태준 『증보조선소설사』 한길사 1990.박용규 『한국한문학사』 경인문화사 1995.박희병 『한국전기소설의 미학』 설중환 『금오신화연구』 민족문화연구소 1983이경선김시준 공역 『전등신화노잔유기』 을유문화사 1974장덕순 『한국문학사』 동화문화사 1997.장홍재 『고려시대 시화비평 연구』 아세아 문화사 1987.전형대 『한국고전비평연구』 책세상 1987.정대림 『한국고전 문학 비평의 이해』 태학사 1991.정주동

  • (오대혁)한국문학 개론 (기말시험)(강의안.핵심정리.★기출문제
  • 탑상(塔像) : 탑과 불상에 관한 전설 ­ 의해(義解) ­ 신주(神呪) ­ 감통(感通) ­ 피은(避隱) (이상 네 부분은 승려와 신불(神佛)의 신비로운 사건을 다룸) ­ 효선(孝善)⦁소설사적 의의 : 고소설의 효시라 주장되는 조신전 이나 김현감호 등이 수록됨. 고대의 설화를 연구하는 데 결정적 자료집. 민속, 신앙, 사회 등 국문학 배경연구의 귀중한 사료. 5) 서사시와 가전체(假傳體) 5) 서사시와 가전체(假傳體)고려 중엽 무신의 난(1170)으로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