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근세사] 강서시파(江西詩派)와 해동강서시파(海東江西詩派)의 시풍 비교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9.02.13 / 2019.12.24
  • 25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3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황정견(黃庭堅)

Ⅰ-1. 생애
Ⅰ-2. 사상적 기초
Ⅰ-3. 문장론
Ⅰ-4. 시론


Ⅱ. 강서시파(江西詩派)

Ⅱ-1. 유래
Ⅱ-2. 의미
Ⅱ-3. 변모 및 발전
Ⅱ-4. 시론


Ⅲ. 해동강서시파(海東江西詩派)

Ⅲ-1. 강서시파(江西詩派)의 전래과정과 수용
Ⅲ-2. 강서시파(江西詩派)의 유행
Ⅲ-3. 해동강서시파(海東江西詩派)의 형성
Ⅲ-4. 인물과 특징
Ⅲ-5. 박은(朴誾)
Ⅲ-6. 이행(李荇)
Ⅲ-7. 정사룡(鄭士龍)


Ⅳ. 강서시파(江西詩派)와 해동강서시파(海東江西詩派)의 시풍 비교

Ⅴ. 결론

Ⅵ. 참고: 한문학(漢文學)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황정견(黃庭堅)

1. 생애

황정견(1045~1105)의 자는 魯直이고 호는 山谷 江西 修水縣 사람이다. 소문사학사의 한사람인 그는 스승 소식과 함께 시, 사 등에 걸쳐 가장 탁월한 업적을 남겨 소식과 더불어 ‘소황(蘇黃)’이라 불렸다. 특히 그는 환골탈태를 주창하면서 새로운 시경을 개척하는 한편, 대단히 높은 풍격과 신기(新奇)한 시구를 추구하여 만당의 유미주의 풍조나 북송 초의 서곤체(西崑體) 풍조를 일소하면서 강서시파(江西詩派)의 수장이 되었다.

2. 사상적 기초

개인사를 통해 그의 입지를 살펴보면, 장인 손각을 통해 구파인 소식과 연결고리를 만들었고, 재혼한 두 번째 장인 사경초의 집안은 신파인 왕안석과 연이 닿을 정도의 영향력 있는 집안이었다. 즉, 가정에선 유가적 영향 중심 하에 사회에선 유, 불의 요소를 받아들였다. 그리고 독서를 통해 도가의 노장 사상을 섭취했다.

그는 왕안석 및 소식과 마찬가지로 가장 근본적인 토대는 유학이었다. 유교적인 입장에서 그의 문학을 평가한다면, 유가 본연의 공리적인 사회기능을 위해 직설적인 표현을 피했다. 즉 개인적 차원이 우선시되었다. 그는 정치적으로 성공보다는 실의와 갈등의 나날을 적지 않게 보냈다. 황정견에게 유교는 우국애민과 개인적 교양으로 크게 나타난다. 그에게 당시 사회인식을 나타내는 시는 별로 많지 않다. 그의 사회적 관심의 표출은 대체로 온건하고 완곡하게 드러나고 있다. 특별히 겉으로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생활과 의식 속에 스며들어 삶 속에서 구현되는 수준 정도이다. 한편 그는 현실정치에 대한 시비 등을 개인의 교양으로 내면에서 소화해야 하고 배출할 때에는 ‘신음하여 조소하는 소리로 발하면 가슴 깊이 속이 시원하게 되는’ 소극적이고 개인적인 수준에서 그쳐야지 그것이 직설적으로 상대방의 감정을 건드려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표출 자체도 자신의 내면에서 해소할 수 있는 데까지는 최대한 노력하며 개인화하여야 한다고 했다.
하지만 중소지주 출신인 그는 농민의 실태에만은 늘 관심을 가졌다. 또한 도불의 사고방식은 그가 처했던 어려운 입장을 한걸음 물러나서 관조할 수 있게 도와주었다.

그는 입세주의의 유가이념과 출세주의의 도불의 입장을 융합한 새로운 이상적 도인을 꿈꾼 북송 중기 사대부의 전형으로, 소식의 제자이지만 그보다 선종의 영향을 더욱 깊이 수용하였다. 황정견이 선종을 수용하게 된 요인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그가 어려서부터 불학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인 점이다. 그에게 큰 영향을 준 이상이라는 인물은 황정견의 외숙부인 동시에 그의 성장기에 많은 영향을 끼친 인물로 어렸을 적에 절에 가서 공부를 하기도 했던 사람이다. 그래서 황정견은 자연스럽게 선종의 분위기를 받아들였다. 그는 많은 승려와 교유를 하였다. 晦堂祖心禪師는 비교적 개방적이고 주체적인 이방에서 도를 닦았던 인물인 동시에 유학에 대한 공부도 깊었다. 또 死心悟新禪師는 그의 고향인 분녕현의 望族의 초청으로 雲巖禪院 주지로 있었는데, 그가 소성년간에 黔南으로 貶官되었을 때나, 숭년 3년(1104) 멀리 宜州로 귀양갈 때에도 시문으로 위로와 격려를 아끼지 않았던 인물이다. 영원유청선사는 황룡사의 주지로 躬行實踐을 중시하였으며, 황이 의주에 갔을 때에도 그를 그리는 시 3수를 쓸 정도로 교유가 깊었다(오태석, 「황정견문학의 사상기초」, 󰡔중국어문학󰡕 제15집, 1988, p.121).



3. 문장론

문장에 대해 그는 “근본을 세우고 난 후에 문장이 생긴다.” “문장이란 도의 그릇이다.” 이러한 고문, 성리학의 기본입장을 지지했다. 그는 독서는 근본을 탐구하고 도의 연원을 찾는 길잡이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때문에 그는 문장의 근본은 도에 있고 그 도는 스스로의 독서 중에서 얻어진다고 믿었다. 또한 그 독서는 마음을 깨끗이 하게해야하고 스승과 친구의 도움을 받아야한다고 주장했다. 법고(法古)에 있어서도 고인의 것에서 본받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옛것을 본받아서 새로운 것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4. 시론

그의 시론은 “엄격한 형식과 개성적인 표현의 추구”로 압축할 수 있다.

첫째, 시의 조구법으로 환골법과 탈태법을 사용했다.
환골법은 이전 사람들의 시의 뜻을 그대로 취하여 새로운 말로써 그것을 표현하는 것이다. 그 예로는 다음이 있다.

당 시인 유우석의 望洞庭(망동정)
遙望洞庭山水翠,멀리서 바라보니 밝은 동정호는 검푸른 첩첩산을 둘러싸고 있는데
白銀盤里一靑螺。마치 흰 은쟁반에 정교로운 푸른 고둥을 받쳐 들고 있는듯 하네

황정견의 雨中登岳陽樓望君山
可惜不當湖水面 아름답게 어찌하다 호수 수면위에
참고문헌
단행본
강혜선, 「정사룡의 생애와 시세계」, 한국한시작가연구4, 1999
김은수,「읍취헌 박은시 연구」, 『고시가연구 제 7집』, 한국고시가 문학회, 2000
이병주 외, 『한문학사』, 새문사, 1998
이종묵, 『해동강서시파 연구』, 태학사, 1995
이창희, 「용재 이행의 시세계」, 우리어문연구3, 1989
차용주, 『한국한문학사』, 경인문화사, 1995
강태권,「황정견의 문학비평」, 중국어문학, 1988
오태석,「황정견 문학의 사상기반」, 중국어문학, 1988
김학주,「중국문학사」, 신아사, 2004

논문
최금옥,「宋代江西詩派與海東江西詩派的詩風比較」, 동해전문대학, 1996
정상홍,「江西詩派와 禪學의 수용」, 成均館大 大學院, 1995
강태권, 「황정견의 문학비평」, 중국어문학, 1988
오태석, 「황정견 문학의 사상기반」, 중국어문학, 1988
고진아, 「황정견 두시론에 대한 일반적 오해 재고」, 중국학연구, 2004
박영환, 「황정견 선사의 내면적 고찰」, 중국어문학,
조위굉 이숙분, 「소식여황정견시풍이동탐석」, 중국어문학, 2000
오태석, 「북송시단략론」, 중국어문학, 1989
송행근, 「선종의 송대시가에 대한 영향과 그 특성」, 전북대학교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한국한문학의이해4공통) 한국한시의 발달과정을 시대별로 정리하여 서술하시오0k
  • 해동(海東)의 강서시파(江西詩派)의 출현을 보게 된 것도 이때의 일이며, 다른 한편 신광한(申光漢)나식(羅湜)김인후(金麟厚) 등은 수준 높은 당법(唐法)으로 당시의 시단을 다채롭게 하여준다.박상(朴祥)임억령(林億齡)김인후는 호남시단의 선구로서도 널리 알려져 있거니와, 특히 임억령과 김인후는 그 인품이 고매하여, 시도 사람과 같다는 평을 받고 있다. 칠언율시에서 특장을 보인 정사룡은 다음 시기의 노수신(盧守愼)황정욱(黃廷彧)과 더

  • 동양화론 남송학파하규마원
  • 중국회화에 제화의 시구‘ 가 등장하고 있다. 는 북송 범관의 와 비교된다. 여백이 훨씬 많고 담백한 수묵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웅혼한 느낌보다는 깊고 그윽한 풍치가 잘 드러나고 있다.이 횡권은 10장의 종이를 이어 붙여 제작된 것으로, 첫 번째 단락은 그 길이가 25센티미터 이고 나머지 9단락은 각각의 길이가 모두 약 96센티미터 정도가 된다. 그림 안에서 경물의 변화가 매우 다양하여 어떤 장면에서는 우뚝 솟은 산봉

  • 조선전기한시의 전개 양상
  • 와 승구(承句)가 대(對)를 이루거나, 전구(轉句)와 결구(結句)가 대(對)를 이룸.7언절구1구 7자 4행시(28자)1.2.4율시(律詩)5언율시1구 5자 8행시(40자)2.4.6.83구(句)와 4구(句)가 대(對)를 이루거나 5구(句)와 6구(句)가 대(對)를 이룸.7언율시1구 7자 8행시(56자)1.2.4.6.8배율(排律)5언배율1구 5자 12행 이상(60자)첫연과 끝연 외에는 전부 대구7언배율1구 7자 12행 이상(84자)3. 형식한시는 그 음률의 아름다움을 특히 중히 여겨, 일정한 형식과 규칙(중국어의

  • 중국문학과 개혁문학, 중국문학과 민간문학, 중국문학과 소설문학, 중국문학과 강호시파, 중국문학과 구정량, 중국문학과 육유, 중국문학과 도연명
  • 중국문학과 개혁문학Ⅱ. 중국문학과 민간문학Ⅲ. 중국문학과 소설문학1. 신향토소설新鄕土小說2. 신사실소설新寫實小說Ⅳ. 중국문학과 강호시파Ⅴ. 중국문학과 구정량Ⅵ. 중국문학과 육유1. 재도론2. 양기론Ⅶ. 중국문학과 도연명1. 출생1) 생졸년2) 가계3) 명자4) 거처2. 도연명시의 의의참고문헌Ⅰ. 중국문학과 개혁문학신시기 중국 사회가 개혁과 개방 정책 하에 급격하게 변화함에 따라 일련의 작가들은 이제 고통의 토로와 비극의 고발

  • [중국근세문학사] 명대 전기 복고주의(전후7자를 중심으로)
  • 와 관련해 ‘진정’의 추구, ‘기’의 중시와 함께 ‘음악성’을 매우 중시하였다. 이몽양은 제자들에게 시를 가르칠 때, 곡을 먼저 가르쳤으며, 악기로 연주될 수 있는 시를 높은 시로 평가하였다. 이는 전통적인 시학을 계승한 것으로 그가 시의 음악성을 매우 중시하였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그가 시의 음악성에 대해 중시한 것은 그의 스승이었던 李東陽 이동양- 중국 명나라의 시인정치가(1447~1516).성당(盛唐)의 시풍을 추구하여 1세기에 걸친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