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신진사대부는 권문세족과는 다른 새로운 계층인가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6.11.21 / 2019.12.24
  • 9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est1est2est3est4est5 1(구매금액의 3%지급)
  • 1,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목 차>
신진 사대부는 권문세족과는 다른 새로운 계층인가?



-연구 동기와 연구사 동향, 그리고 쟁점 제시



-쟁점 전개

1.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의 용어파악
2.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의 범주
3. 신진사대부의 등장과 성격




-마무리 및 연구의 한계점

참고 문헌
본문내용



한 국가의 역사에 있어서 각 시대에 활동했던 주요 정치지배세력과 다른 세력과의 교체 과정을 연구한다는 것은, 그 시대의 역사사회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졌으며, 어떻게 발전했는지를 알아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새로운 국가를 개창한 세력이 기존의 집권세력과 같은지 다른지에 따라 개창된 국가와 기존의 국가와의 차이점을 파악할 수 있고, 이러한 차이점 파악에 의해 국가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 중에서도 고려후기의 정치사는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라는 두 정치세력의 관계와 동향을 통해 알 수 있다. 이 두 세력을 연구함으로서 고려 말의 정치적, 사회적 변동과 조선의 개창까지 흐름을 잘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고려후기의 정치사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의 일로, 사대부(士大夫)의 개념이 제시되어 고려후기의 정치사를 사대부의 성장이라는 일관된 흐름 속에서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고, 1970년대에는 가설의 형태로 제시된 사대부의 개념을 원(元) 간섭기의 개혁정치나 성리학의 도입, 고려 말과 조선 초의 사회변동 등 다양한 측면에서 검증하여 점차 구체화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때 사대부와 대비되는 권문세족(權門勢族)의 개념이 제시되어 고려후기의 정치사를 권문세족과 사대부의 대립을 통해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경향에 대해 비판이 제기된 것은 1980년대 후반부터로, 대체로 사대부나 권문세족이 고려후기의 정치사를 설명하는 데 부적합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한 것이다. 이에 따라 사대부와 권문세족의 개념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졌다. 이익주, 1996, 「권문세족과 사대부」,『한국역사입문』2 중세편, 한국역사연구회, p84.

이 밖에도 많은 학자들이 정치세력에 대해 연구를 했는데, 이러한 각종 논문을 보면 우리가 흔히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新進士大夫)’라고 일컫는 세력에 대한 여러 가지 의문이 생긴다. 우선, 학자들 마다 사용하는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의 용어가 불일치하다는 점에 대한 것이다. 권문세족은 ‘권문세족’ 혹은 ‘세족’ 등으로 지칭되고 있고, 신진사대부에 대해서는 ‘신진사대부’, ‘신흥사대부(新興士大夫)’, ‘신진세력(新進勢力)’, ‘사대부’ 등으로 언급되는데 이러한 용어들 중 어떤 것이 바른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생긴다. 또 다른 의문은, 각종 논문 등의 자료에서 지칭하는 권문세족과 사대부에 대한 범주와 정의가 연구자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는 점이다. 이에, 권문세족이란 실제로 어떠한 존재였으며, 그와 대립되는 개념이라고 알고 있던 신진사대부는 정말 권문세족과 대립되는 세력인가에 대한 의문 역시 생기게 되었다.
참고문헌
이익주, 1996, 「권문세족과 사대부」,『한국역사입문』2 중세편, 한국역사연구회.
박용운, 2003, 「고려후기 權門의 用例와 그 성격에 대한 재검토」,『韓國史學報』제14호.
김광철, 1991, 『高麗後期 世族層 硏究』, 동아출판사.
이익주, 1992, 「고려후기 사대부와 권문세족에 대한 새로운 이해」, 『역사와 현실』8.
고려말 정치사 연구반, 1994, 「고려말 정치사 연구동향」,『역사와 현실』12.
金鶴柱, 1997, 『高麗末期 新進勢力의 成長과 活動』, 延世大 敎育大學院.
김지희, 2005, 『고려 우왕대 신진사대부의 동향』, 淑明女子大學院.
박경순, 2003, 『공민왕대 신진사대부에 대한 고찰』,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金周錫, 1993, 『麗末 新進士大夫 勢力에 대한 일고찰』, 大邱大 大學院.

자료평가
  • 자료평가0자료평가0자료평가0자료평가0자료평가0
  • 좋은자료감사합니다.
  • sjf5***
    (2008.05.26 22:38:50)
회원 추천자료
  • [고전시가론] 경기체가
  • 시대에 새로운 이념을 구현하는 노래(경기체가가 악장으로 계승) 평민문학구전되다가 한글로 기록됨조선시대에 남녀상열지사라 하여 비판의 대상이 됨 공통점분연의 형태3음보 율격고려 시대에 발생하여 쇠퇴Ⅱ. 본론< 관 동 별 곡(關東別曲) >안축은 고려 말기 지방 향리 출신으로서 중앙 정계에 진출한 전형적인 신흥사대부이다. 그는 한시 뿐 아니라 고려시대 3편의 경기체가 중 2편을 창작한 사람으로 한국 문학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

  • [공무원]한국사 기출 모음집(1990년~2006년)
  • 고려시대의 집권세력을 나열한 것이다. 집권순서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가) 문벌귀족 (나) 권문세족 (다) 호족 (라) 신진 사대부① (가)-(나)-(다)-(라) ② (다)-(나)-(가)-(라) ③ (다)-(가)-(나)-(라)④ (라)-(다)-(나)-(가) ⑤ (나)-(가)-(다)-(라) 5. 다음 중 조선 전기 향촌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① 향안에 오른 사족들은 향규에 따라 지방민을 통제하였다.② 사족들은 향사례와 향음주례를 중시하였다.③ 양반 사족들은 향도계와 동

  • [교육학] 조선시대의 교육-시험문화의 고조-
  • 다른 유학들에 비해서 이론적철학적 성격이 강하며, 특히 인간의 본성이나 우주의 원리와 같은 형이상학적 문제에 큰 관심을 가진다.성리학은 이(理)와 기(氣)를 핵심으로 하는 사상이다. 성리학의 교육철학 역시 이기론에 기초하고 있다. 따라서 조선시대의 교육철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와 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① 이(理)란 무엇인가?이(理)란 세상의 궁극적인 실재를 말한다. 한마디로 어떤 관념 그 자체를 말하는 것으로 세상의 위에

  • [한국사] 고려 시대 음서제의 부정적 영향
  • 새로운 지식인 계층인 신진사대부에게 음서에 대한 반감을 심어주었을 것이다. 이후 권문세족 또한 음서를 많이 이용했고 이들은 ‘재상지종(宰相之宗)’ 彦陽金氏一宗 定安任太后一宗 慶源李太后 安山金太后 鐵原崔氏 海州崔氏 孔岩許氏 平康蔡氏 淸州李氏 唐城洪氏 黃驪閔氏 橫川趙氏 坡平尹氏 平壤趙氏 並累代功臣宰相之宗 可世爲婚.『고려사』33권 세가33 충선왕 복위 11.이 나올 정도로 비슷한 가문끼리 서로 통혼하여 세력을 유지하였고 이로

  • [철학]한국철학사
  • 고려시대에 김부식(金富軾) 등이 기전체(紀傳體)로 편찬한 삼국의 역사서. 1145년(인종 23) 국왕의 명령을 받은 김부식의 주도 아래 최산보(崔山甫) 등 8명의 참고(參考)와 김충효(金忠孝) 등 2명의 관구(管勾)가 편찬하였다. 이들은 자료의 수집과 정리에서 함께 작업했지만, 〈진삼국사기표(進三國史記表)〉와 머리말, 논찬(論贊) 및 사료의 선택, 인물의 평가 등은 김부식이 직접 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진삼국사기 표〉에는 “사대부가 우리 역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