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체문학] 조선시대 가전체문학 관자허전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6.10.07 / 2019.12.24
  • 3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하고 싶은 말
조선시대 가전체문학 관자허전 분석

목차
1. 내용 연구

2. 요점 정리

3. 이해와 감상

4. 해설

5. 작자연구
본문내용
대나무를 의인화한 가전체 작품으로 고죽군의 아들 자허가 생성옹에 의해 황제에게 천거되어 크게 쓰임을 받고 자손들이 번창하였다는 내용이다. 황제의 조서에는 화왕(모란)과 초제(파초)를 물리치고 굼에 동군이 보낸 한 신하의 형상을 문여가(송대의 서화가)에게 명하여 화상으로 그려 전국에 구하다가 얻은 인물이 관자허라 하였다. 관자허는 속이 비고 밖은 꿋꿋의 여덟 아들은 모두 죽구(竹具) 들이며, 외딸은 부채를 형상화하였다. 결말에는 '사기'의 필법을 빈 찬(贊)이 붙어 있다. 대나무의 절개를 의인화한 최식의 '죽존자전', '이곡의 '죽부인전', 정수강의 '포절군전' 등으로 창작 기교가 뛰어나다.
4. 해설
조선 후기에 이덕무(李德懋)가 지은 가전체소설(假傳體小說). ≪청장관전서 靑莊館全書≫ 중 ≪영처문고 叛處文稿≫에 실려 있다. 〈관자허전〉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관씨(管氏)의 본성은 죽씨(竹氏 : 대나무)이다. 그의 선조가 황제에게 발탁되어 황종의 음률을 만들게 되었다. 후손 고죽군(孤竹君)이 자허(子虛)를 낳았다. 그는 속이 비고 외모는 고결하였다. 마침 황제가 인재를 구하는 명을 내리자 생성옹(生成翁)은 자허를 천거한다. 이에 황제는 상림원(上林苑)에서 그를 빈(賓)으로 맞았다. 그러나 자허는 오히려 인사도 없이 뻣뻣하고 거만하였다. 황제는 그의 오만한 절개를 높이 사서 “가슴속 서 말이나 되는 가시를 없앨 만하다.”고 칭찬하였다. 자허는 그 뒤에 아들 여덟과 딸 하나를 두었다. 곧 붓(筆 필)·화살(箭 전)·퉁소(簫 소)·제기(頭 변)·죽간(簡 간)·낚싯대(竿 간)·지팡이(莖 공)·발(簾 렴) 그리고 기춘현부인(菫春縣夫人)이다. 관자허는 그 뒤 60세에 두심병(亘心病)으로 세상을 떠났다. 그 후손들은 대대로 위천에 봉해져서 뭇사람들의 선망의 대상이 되었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국문학사] 조전초기부터 임진란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소설류
  • 1.서론2. 본론Ⅰ.가전(1) 가전의 개념(2) 가전의 문학사적 위치(3) 조선전기 가전의 양상(4) 가전과 설화(5) 가전과 소설. Ⅱ. 몽유록(1) 몽유록의 개념 및 시대상(2) 주요 작품 및 작가(3) 결론Ⅲ. 금오신화⑴ 작가소개⑵ 작품 들어가기 전에 알아둘 사항(전기소설이란)⑶《금오신화》의 시대적 배경⑷ 전등신화와의 비교⑸ 주제에 따른 《금오신화》의 작품분석⑹《금오신화》의 문학적의의 및 한계점3. 결론4. 참고문헌1. 서론조선 전기의 문

  • [국문학사] 국문학사 시대구분
  • 문학, 가전체를 발생시키고, 나아가 소설 문학의 뿌리가 된다. 그 특징으로는 입에서 입으로 전달되는 구전 문학의 형태로 전해오다가 고려시대에 수이전, 삼국유사, 삼국사기 등으로 문헌에 한역되어 기재되었다. 또한 민족 전체의 사상과 정서를 담고있으며 민족적 긍지를 심어주고 무속신앙, 동물 숭배 사상 등이 바탕에 놓여있다. ★주요 작품★작품구분내용출전단군신화신화천손인 단구이 홍익인간의 이념으로 고조선을 세웠다는 건국

  • 고전문학사 시대 구분 - 전기와 후기
  • 고전문학사 시대구분우리나라 고전 문학의 역사를 고찰하기 위해서는 다른 모든 분야의 사적(史的) 전개에서와 마찬가지로, 이를 몇 단계로 나누어 보는 것이 편리하다. 그런데, 그 나누는 방법은 국문학사를 보는 눈에 따라 다를 수가 있다. 여기서는 다음과 같이 나누어 보고자 한다.1. 고대 문학(古代 文學)전기: 삼국(三國). 신라(新羅)후기: 고려(高麗)2. 근세 문학(近世 文學)전기: 조선 초(朝鮮初)~~임진왜란(壬辰倭亂)후기: 임진왜란~~~갑오경장(

  • 고전문학의 이해
  • 조선시대의 궁중가무로 이어졌다. 이들 작품에 공통되는 특징은 현실 세계를 초월하여 영원한 정토(淨土)를 희구하는 관념이 그 바탕을 이룬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한편, 진성여왕(眞聖女王) 때에 대구화상(大矩和尙)과 위홍(魏弘)이 이라는 향가집을 엮었다고 하나 실전(失傳)되었다. 통일신라의 서정문학이 불교문학에서 그 정점(頂點)을 이룬 것과 마찬가지로 서사문학 또한 그에 못지 않게 불사(佛寺)의 연기설화(緣起說話)를 비롯한

  • [국문학] 한국문학사의 시대 구분
  • 가전체(假傳體) 소설이다. 그러나 고려시대 서사문학의 백미편(白眉篇)은 이규보(李奎報)의 《동명왕편(東明王篇)》과 이승휴(李承休)의 《제왕운기(帝王韻紀)》이다. 이 두 작품이 비록 한시의 오언(五言) 또는 칠언(七言)의 운문체(韻文體)를 빌려 기술되었지만, 그 바닥에는 외적(外敵)에 대한 의연한 항거정신이 맥맥히 흐르는 가운데 장중하고도 웅대한 구성과 묘사로 빼어난 민족의 영웅서사시를 이루어 놓았다. 5) 조선시대 한국의 문학은 크게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