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사상]대승불교의 여래장사상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4.02.06 / 2019.12.24
  • 16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97)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여래장 사상의 등장
Ⅱ. 여래장의 의미
Ⅲ. 여래장계 경전
◎ 화엄경(화엄경)
1. 여래장경(여래장경)
2. 승만경(승만경)
3. 부증불감경(부증불감경)
4. 열반경(열반경)
5. 대승열반경(대승열반경)
6. 대승장엄경론(대승장엄경론)
7. 불성론(불성론)
8. 보성론(보성론)
9. 섭대승론(섭대승론)
10. 대승성업론(대승성업론)
11. 능가경(능가경)
12. 대승기신론(대승기신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龍樹 이후에도 많은 대승경전이 저작되었다. 그 이후부터 密敎가 세력을 떨치는 6, 7세기 무렵까지 성립된 中期 대승경전들은 그 내용은 다양하지만 초기 경전이 종교문학적인 것에 비해 敎義的 요소가 많다는 점이 특색이다. 小乘에서 그 교의를 밝힌 문헌은 아비달마(Abhidharma)라 불리는데, 대승불교에서는 아비달마라는 명칭은 사용하지 않지만 그것에 상당하는 '논(論, stra)'이 4∼5세기 무렵부터 작성되었다.
이 시대의 사상적 특징은 主體 문제가 중심이 되고 있다. 불교는 無我를 說해 주체를 부정하는 듯한 교의적 표현을 지녔지만, 그것은 주체 문제를 소외시킨 것이 아니라, 도리어 깊은 성찰을 거듭한 결과였다. 大乘佛敎운동의 전개는 인도 종교사에 있어서 힌두교 운동과 서로 통하는 관계에 있으며, 넓은 의미에서는 힌두교 운동의 일환이라고도 평가되고 있다. 두 종교는 세계관의 명확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종교 현상에 있어서 평행선이 인정된다. 따라서 이 시대에 대승불교도가 그 사상을 敎義化하려고 할 때, 많든 적든 바라문교(Brahmanism)의 自我觀( tman-vidy )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물론 불교는 자아를 인정하지 않으므로 주체는 '마음(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 경우, 즉 주체 문제의 추구에 있어서는 부처님의 구제를 中心으로 하는 입장과 보살의 주체적 실천을 中心으로 하는 입장이 각각 분명하게 나타나게 되고 이론화 되었다.
참고문헌
The Lion's Roar of Queen r m l , Alex Wayman·Hideko Wayman,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4
印度哲學の自我思想, 카나쿠라 엔쇼 金倉圓照 (文乙植 譯), 圖書出版 如來, 1994
A History of Buddhist Philosophy:Continuities and Discontinuities, D.J. Kalupahana (金鍾旭 譯), 時空社, 1996
大乘佛敎, 시즈타니 마사오 靜俗正雄·스구로 신죠 勝呂信靜 (文乙植 譯), 圖書出版 如來, 1995
佛典解說事典, 鄭承碩 編, 民族社, 1989
經量部 世親의 layavij na 硏究, 東國大學校 大學院 印度哲學科, 황순일, 碩士學位論文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