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나라의 정치 레포트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6.27 / 2015.06.27
  • 5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8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명(明)나라 이후 만주족(滿洲族) 누르하치[奴兒哈赤;재위 1616~1626]가 세운 정복왕조(征服王朝)로서, 중국 최후의 통일왕조(1636~1912)이다. 만주인은 수렵 어로를 주된 생업으로 하는 퉁구스족의 일파로서 본래 여진(女眞) 또는 여직(女直)이라 불리었다. 그 일부는 12세기에 화베이[華北]로 진출하여 금(金)왕조를 세웠으나, 만주에 잔류한 대부분은 점차 정착농업을 영위하였으며, 명조 말기에는 해서(海西) 건주(建州) 야인(野人)의 3부로 나누어져 명나라의 간접통치를 받고 있었다. 명나라는 여진족의 여러 부족에 대하여 시종 분열정책을 취하였으나, 조선의 임진왜란(1592~98)을 전후하여 만주에 대한 명나라의 통제력이 이완된 틈을 타서 건주좌위(建州佐衛)의 수장(首長) 누르하치가 여진의 여러 부족을 통일하고 1616년 스스로 한(汗)의 위(位)에 올라 국호를 후금(後金)이라 하고, 선양[瀋陽]에 도읍하였다. 이 사람이 청의 태조이다. 즉, 누르하치는 싱징[興京] 분지의 한 곳에 위치한 건주여진(建州女眞)의 한 추장에 지나지 않았지만, 1583년 처음으로 독립을 위한 군사를 일으켜 수 년 사이에 건주여진을 통일하고, 1587년 쑤쯔허[蘇子河] 상류에 최초의 성(城)인 싱징라오청(興京老城)을 구축하였다. 그는 명에 대해서는 공손한 태도를 취하여 1589년 명으로부터 도독첨사(都督僉事)로 임명되었으며, 1595년 용호장군(龍虎將軍)의 칭호가 수여되었다. 당시 여진족은 만주의 다섯 여진족이 있었는데 건주여진은 중국의 동쪽 국경지역과 압록강 이북인 창바이 산맥[長白山脈] 지역에서 살았다. 나머지 하다[哈達]후이파[輝發]우라[烏拉]예헤 여진은 만주 중앙 삼림지역과 스텝 지역에서 훨씬 북쪽으로 떨어진 곳에 있었다. 이 다섯 부족들은 국경문제로 전쟁과 화해를 거듭했고 때로는 통혼(通婚)도 했다. 1599년에 해서여진(海西女眞)의 하다[哈達]를 멸망시키고, 이어 1607년에는 후이파[輝發], 1613년
더구나 강희제는 1689년 러시아제국과 네르친스크조약을 맺음으로써 19세기 중엽까지, 러시아제국이 동진(東進), 남하하는 것을 억제하였다. 또 간간이 분쟁이 일던 조선과의 경계도 정하여 백두산에 정계비(定界碑)를 세웠다(1712). 또 계속되는 옹정(雍正) 건륭(乾隆)의 3대에 걸쳐 중앙아시아의 중가르부(準部)를 토벌하고 이에 따라 칭하이[靑海]의 속령화(屬領化)와 티베트 보호와 평화를 촉진시키면서 1759년에는 중가르부 위구르(回紇:후의 新疆省)의 지배를 확립하였다. 이리하여 이 3대에 걸쳐 청왕조는 오늘날의 중국 영토의 조형(祖型)이 되는 중국 사상 최대의 판도를 확립함과 아울러, 동아시아 거의 전역을 그 위령(威領)하에 두었고, 내정의 충실에도 힘입어 그 극성기(極盛期)를 가져왔다.
그러나 건륭 말년, 이미 변경에서 조짐을 보이고 있던 이슬람교도 먀오족[苗族] 등의 여러 반란은, 얼마 안되어 가경(嘉慶;재위 1796~1820) 연간에 이르자 백련교(白蓮敎)의 후베이[湖北] 등 5개 성에서 대반란으로 폭발하였다. 백련교의 난은 10년(1796~1804)에 걸쳐 진행되었는데, 이를 통하여 국가권력의 지주인 8기(八旗:軍隊)의 무력함이 폭로되었으며, 거기다 권신(權臣) 화신(和筌)의 미증유의 수회사건이 상징하듯, 관료정치의 부패로 인하여 청왕조의 지배는 뿌리부터 흔들리기 시작하였다. 더욱이 유럽 자본주의의 세계 지배의 파두(波頭)가 중국에 들이닥침으로써 결정적인 청왕조의 쇠퇴를 가져왔다.
이미 건륭 연간의 매카트니, 가경 연간에 애머스트 등 두 차례의 특사(特使)를 통해 산업자본의 판로 개척을 기도하다가 거절당한 영국은, 1840년 아편문제로 발단된 분쟁을 계기로 무력에 의해 중국을 개국시켰으며(아편전쟁), 프랑스 러시아 미국도 그 뒤를 따랐다. 이후 열강의 청조 지배는 중국에 대한 반식민지적 지배의 매체로서의 성격을 짙게 하였고, 따라서 열강의 자본주의(제국주의)에 대한 직접 간접의 저항이 중국사 전개의 원동력이 되기에 이르렀다. 아편전쟁을 발화제로 발발한 중국 사상 최대의 농민전쟁인 태평천국(太平天國)의 난에서, 홍수전(洪秀全) 등이 봉건적 제관계의 폐기를 지향하여 싸우면서, 궁극적으로는 청왕조를 예속시킨 외국 세력과 대결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은 이미 그러한 상황을 뜻하는 것이다.
태평천국의 난은 청왕조의 정규군이 아닌, 사실상 증국번(曾國藩) 이홍장(李鴻章) 등 지방의 한인(漢人) 관료가 조직한 개인집단, 즉 향용(鄕勇:湘軍 淮軍)의 힘에 의존하여 진압되었는데, 이 때문에 지방분권적 경향이 강화되고 후의 군벌(軍閥) 할거의 소지를 만듦과 동시에 관계(官界)에서의 한인의 지위를 높이는 결과를 낳아, 그들이 주체가 되어 위로부터의 중국 근대화의 최초의 시도인 양무운동(洋務運動)이 추진되었다. 그러나 그것은 전통적 체제를 옹호하고 보수(保守)하기 위한 군사공업의 이식을 주안으로 하였을 뿐만 아니라 양무파 관료가 기업을 사물화(私物化)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 오히려 민족자본주의의 발전을 저해하였다. 청 일전쟁에서의 패배는 이같은 양무파 노선의 파산을 결정적으로 만들었다.
한편, 제국주의시대로 이행(移行)해 가는 심각한 위기감은, 단순히 유럽 선진국의 기술 이식뿐 아니라, 전통체제 그 자체를 변혁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캉유웨이[康有爲] 등의 변법자강운동(變法自强運動)을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광서제(光緖帝)까지 동조한 변법자강운동도 서태후(西太后) 등 수구파의 반대로 겨우 100일 유신(維新)으로 막을 내렸고, 의화단운동을 계기로 한 외국 군대의 베이징 진주로 수구파가 최종적으로 몰락하였을 때는 입헌안(立憲案)을 비롯한 여러 개혁안이 처음으로 채용되었다.
그러나 때는 이미 늦어서 중국 민중의 동향은 혁명의 기운으로 향해 달려가고 있었으며 멸만흥한(滅滿興漢)의 민족주의는 화교 유학생 민족자본가의 반(反)봉건주의와 합류, 쑨원[孫文]이 주도하는 중국혁명동맹회(中國革命同盟會)에 결집되어 신해혁명(辛亥革命:1911)을 성공으로 이끌었으므로 1912년 선통제(宣統帝) 푸이[溥儀]의 퇴위와 함께 청왕조는 종말을 고하였다. 그것은 또한 중국 민중의 전제군주제와의 결별이기도 하였다. 중국의 근대사는 청왕조 말기부터 시작된다.
청나라의 사법
이와함께 뒤떨어진 소수민족이었던 만주인이 광대한 중국을 제압할 수 있었던 것은, 그 민족을 개병(皆兵)으로 만들어 압도적인 군사력을 바탕으로 하는 한편, 재래 중국사회의 계급지배 위에 타고 앉아 그것과 기본적으로 유착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8기의 병제와 중요한 관직에 있어서의 만한병용(滿漢倂用) 정책을 제외하고는 청나라는 명왕조의 관제를 거의 그대로 답습하였다.
우선 중앙에 최고 정무기관인 내각 대학사(內閣大學士), 그 집행기관인 6부 5시(寺) 및 감찰기관인 도찰원(都察院)을 두어 각각 황제 직속으로 하였으나, 얼마 안되어 중가르부 토벌 때에 용병의 신속과 군사기밀 보장을 위해 내각의 실권자를 선발, 군기처(軍機處)가 신설되자 실권은 그 곳으로 넘겨졌으며, 건륭 초기에는 독립된 기관으로서 군사 국무의 최고 권한을 겸유하기에 이르렀다. 또 이번원(理藩院)이 신설되어, 몽골 신장[新疆] 시짱[西藏] 등 소위 번부(藩部)의 일을 관장하였다.
서양 제국과의 교섭도 당초에는 그 밑에서 조공국(朝貢國)과 같은 대우로 전락했으나, 말엽에 이르자 업무의 확대와 제국의 압력에 따라 총리각국사무아문(總理各國事務衙門)이 설치되었고, 곧 이어 1901년에는 외무부로 승격하였다. 말기 몇 년 동안에는 이 밖의 관제개혁도 시행되었으나, 만인(滿人) 중심의 집권주의는 한인(漢人) 관료의 이반을 초래하여, 오히려 붕괴를 재촉하기만 하였다.
지방 관제에서는, 최고 행정구획인 성(省) 밑에 부(府)가 있고, 부는 다시 주(州) 현(縣) 청(廳)으로 나누어졌으며, 별도로 성 직속의 주 청이 있었다. 성에는 포정사(布政使) 안찰사(按察使)가 있어 민정(民政) 감찰을 분담하였으며, 전대(前代)에 임시 관직으로 나타났던 총독 순무(巡撫)를 최고의 지방관으로서 두었는데, 총독을 1, 2개 성에 1명, 순무를 거의 1개 성에 1명씩 둔 것은 청왕조의 특색이었다. 성에는 또한 제독(提督) 총원(總員) 학정사(學政使) 도원(道員) 등이 있어서 각각 군사 교육 성 내의 업무를 분담 처리하였다. 부 주 현에는 지부(知府) 지주(知州) 지현(知縣)이 있었으며, 이들 밑에 백성은 주로 보갑제(保甲制)로 조직되어 있었다.
백성으로부터 수탈을 일삼던 정부는 커다란 역사적 변화로서 재래의 인두세(人頭稅)와 같은 계보의 정은(丁銀)을 폐지하고, 토지의 단일체계, 즉 지 정은제(地丁銀制)가 옹정(雍正) 초년을 계기로 거의 전국적으로 이루어졌다. 이것은 왕조가 전통적인 일군만민(一君萬民) 체제를 사실상 폐기하고, 기초과정에 있어서의 지주제(地主制)의 진전을 용인한, 그 위에 기초를 둔 것을 의미한다. 지 정은이 국가 세입 전체에 차지하는 비중은 건륭 연간에는 거의 70 %에 달하였으나, 이에 버금가는 주요 세목인 염과(鹽課:제염업자와 그 상인에 대한 과세) 관세(關稅:통과세)의 2가지가 점차로 증가하였는데, 특히 청 말에는 관세가 현저히 늘어났다. 태평천국의 난 진압의 군비로 신설되어, 양무운동(洋務運動)의 재원으로도 쓰던 이금(釐金)도 이 일종이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동양사] 부견의 이상주의와 비수지전에 대하여
  • 멸망하게 된다. 한 황제의 이상주의로 전진은 멸망하게 되는데 이상하게 부견에 대해서 애틋한 감정이 든다. 마치 조선시대에 노비로 태어나면 끝까지 노비로 살다가 죽듯이 부견도 천하의 황제가 되고자 했으나 결국에는 오랑캐의 황제로 밖에 남지 않았다는 것에 연민이 느껴진다.※참고문헌※姜文皓, 『중국중세정치사연구』, 국학자료원,1999박한제, 「符堅政權의 性格」http://monthly.joins.com/-월간중앙에 박한제씨와 떠나는 중국중세로의 여행

  • 방통대 2013-2]국가간 갈등의 내용을 정리 하고 거버넌스 차원에서 분석 한 후 향후 전망 또는 해결방안 또는 재발방지책을 제시하시오
  • 나라가 북한 개성에 공단을 조성하여 운영한 시간은 어느 정도 되었다. 그러나 개성공단을 두고서 북한과의 갈등은 지속적으로 발생하였다. 북한의 경우 개성공단의 가동을 두고서 많은 것을 요구하였다. 생각해보면 개성은 우리나라의 땅이 아니기 때문에 북한이 요구하는 것은 어느 정도 이치에 맞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북한이 개성공단을 중심에 두고서 정치적인 성향을 가지고서 요구를 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고 본다. 북한은 오랜 시간 우리나

  • [역사,태극기,변천사,태극기역사] 태극기의 역사와 태극문양의 변천사
  • 나라의 길조가 있을 전조라고 하였다. 한국동란 직후에는 우표에까지 이 나방이 등장하게 되었다. 즉, 1954년 4월1일부터 1955년 10월 19일 까지 1년반 동안 ‘제 2차 환화보통우표’란 이름으로 태극기와 함께 우표의 문양으로 등장한 것이다.이 우표는 우리나라 우표 발행 역사에서 곤충이 등장한 최초의 우표이다. 날개의 무늬가 우리 민족의 정신적 근원인 태극이라고 하는 음과 양의 이상적이고 원만한 조화상태를 닮았다는 이유로 그 당시 고통 받고

  • [한국사] 중세시대의 환관과 공녀 요약 및 감상
  • 나라의 사정으로 중지되었고, 실제로 화자가 헌납된 것은 태조~성종(9대) 사이의 15회이다. 2) 환관에서 칙사로원나라로 끌려간 고려의 화자들은 궁궐의 환관이 되었는데 시종과 재물의 출납에 재능을 보여 세조를 비롯한 황제들의 신임을 받았다. 원나라의 정치가 문란해지면 이들 중에는 고위 관료에 임명되는 자들이 많이 생겨나게 되었다. 이들은 원나라의 관직뿐만 아니라 고려의 관직이나 작위도 받았다. 고려 왕실에서 원나라에 청원을 할 때 고

  • 세종대왕의 국가경영 자신의 전공에서 바라 본 세종 시대와 그 정치에 대한 이해
  • 청을 비롯한 많은 물자를 진헌하는 등의 고통을 겪으면서 유지되던 대명관계를 통해 세종 시대 조선이 얻으려고 했던 것은 무엇이었을까?물론 원만한 명과의 관계를 통해서 명의 군사적 침략을 막는 것이 기본적인 목표였을 것이고, 다음은 명의 발달된 문물을 흡수하려는 것이었다.세종은 문화 선진국 명을 통해 발달된 문물과 서적 등을 수용하여 조선의 유교적인 정치체제를 완성하려 했다고 한다. 이러한 의도에서 명에서 서책을 구하기 위해 세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최근 판매 자료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