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이장가 도이장가 내용 도이장가 형식 도이장가 작자 도이장가 제작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3.29 / 2015.03.29
  • 10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3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 도이장가 (悼二將歌) >
목차
1. 내용과 형식
2. 작자와 제작경위
3. 장르 귀속 문제
4. 문학사적 의의
5. 임용 기출문제와 예상문제
1. 내용과 형식
(1) 원문
主乙完乎白乎
心聞際天乙及昆
魂是去賜矣中
三烏賜敎職麻又欲
望彌阿里刺
及彼可二功臣良
久乃直隱
跡烏隱現乎賜丁
주을완호백호
심문제천을급곤
혼시거사의중
삼오사교직마우욕
망미아리자
급피가이공신량
구내직은
적오은형호사정
(2) 해독과 풀이
양주동 해독
현대어 풀이
니믈 오 오
하 밋곤,
넉시 가샤
사샨 벼슬마 져.
라며 아리라
그 두 공신(功臣)여
오라나 고
자최 나토샨뎌.
님을 온전하게 하는
마음은 하늘 끝 미칠 만큼,
넋이 가셨으되,
삼으신 벼슬이나 또 하는구나.
보아도 알리라
그 때 두 공신이여
오래되었으나 곧은
그 자취는 나타나시도다.
유창균 해독
현대어 풀이
님을 오오
믄 하 미곤
넉시 가샤
삼오샤 내리신 벼슬 말
고져 람 아니라
다 뎌곳 두 功臣아
곧 나 자초
그기 나토샬뎌
님을 온전하게 하오신
마음은 하늘 끝까지 미치거니,
영혼은 가시었으되
마음에 (깊이) 새기시어 내려주신 벼슬의 윤음(綸音)
또 하려므나 하는 바람(希望)을 알 것이로다
더불어 저곳에 있는 두 공신(功臣)의
곧 나타난 그 공적(功績)
그윽히 나타나게 하신 것이로다.
김완진 해독
현대어 풀이
니믈 오오
믄 하늘 밋곤
넉시 가샤
몸셰오신 말
셕 맛도려 활자바리 가와뎌
됴타 두 功臣아
오래옷 고 자최
나토신뎌
님을 온전케 하온
마음은 하늘 끝까지 미치니,
넋이 가셨으되
몸 세우고 하신 말씀,
직분 맡으려 활 잡는 이 마음 새로워지기를
좋다. 두 공신이여
오래오래 곧은 자최는 나타내신저.
도이장가는 전 2연의 분연체로, 8구체 향가의 형식을 갖추고 있다. 향찰로 표기된 마지막 작품인데, 처용가와 형태가 비슷하다. 도이장가를 2연의 분연체로 보는 이유는 <平山申氏高麗太師壯節公遺事(평산신씨고려태사장절공유사)>에 언급된 “短歌二章(단가이장)”이라는 대목 때문이다. 이에 대한 조동일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향가는 ‘단가이장(短歌二章)’이라고 했다. ‘단가’는 토막노래라는 뜻이겠다. ‘이장’이라고 함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는 말일 것이다. 즉석에서 노래를 지어 부르며 감격을 바로 나타냈기에 사뇌가 형식을 갖출 겨를이 없었고, 민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락 지우느라고 토막 노래 둘을 만들었던 것 같다.
즉 ‘이장’으로 나누어진 토막노래로 보아 연을 구분하여 해독한 것이다. 양주동을 비롯한 다른 연구자들의 인식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이렇게 기록에 따라 총 2연을 두었으되, 다만 도이장가의 출전인 <壯節公遺事(장절공유사)>에서는 다른 향찰표기 문학의 출전인 <균여전>이나 <삼국유사>와 달리 자간을 떼어 경계표시를 하지 않아 해석자가 문학적 의미와 맥락에 따라 행과 연을 구분하였다.
고려 예종이 건국 공신인 신숭겸과 김낙을 추모하며 부른 노래로, 내용 역시 그 둘을 추모하고 예찬하는 내용이다. 본 발제에서는 양주동의 해독을 기준으로 내용을 살펴보겠다.
1연에서는 두 개국 공신의 위업을 찬양하고 있다. 견훤과의 싸움에서 패하여 목숨이 경각지경에 이른 왕건을 구하고 대신 죽어간 두 장군의 위업을 기리며, 그 충정을 말한다. 1연 1행에서의 ‘님’은 태조 왕건을 뜻한다. 포위된 왕건을 온전하게 하고(살리고) 죽은 두 장군의 충심이 하늘 끝에 닿는다고 이야기 한다. 몸이 죽어 없어져도 뒤에 임금이 내린 벼슬을 하는 그러한 위업이다.
2연에서는 그렇게 대단한 위업을 세운 두 공신을 추모하는 마음을 드러내고 있다. 팔관회를 맞아 예종이 지금 보고 있는 두 장군의 가면극만 보아도 그때의 일을 알겠다고 이야기하며, 치열하게 싸우다 죽은 두 공신의 그때 일은 오래된 옛일이지만, 그 충성심의 자취는 오늘날까지 남아있다고 추도한다. 즉 죽어 공신이 됨으로써 다른 신하들의 귀감이 된 두 장군의 자취가 오래도록 남아 아직 기억되고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이는 시간이 흐른 뒤에도 뛰어난 충정은 길이 기억되며 추도됨을 밝히므로, 충신에게는 그에 합당한 대접이 있음을 이야기 하고 은연중에 임금으로서 당시 신하들에게 이러한 충성심을 가지도록 권유하고 있다.
결국, 이 노래는 두 개국 공신의 충정을 기리면서, 동시에 이를 귀감으로 삼아 당대의 신하들에게 충성을 권유하기 위한 내용이다. 이는 당대사회의 왕권강화와도 밀접하게 연관된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려가요의 이국성과 혼종성
  • 민중의 모습과 궁중의 모습이 혼재되어 나타남14고려가요의 탄생과정. 민중의 삶을 소재원으로 삼아 왕실에서 채집,기록한 후 (+수정) 이것을 기녀,무녀,악공,재인 소위 프로들이 향유 =>즉 고려가요는 여러계층의 영향을 받았음(후에 토론에 계속)15쌍화점의 공연 및 공연공간에 대하여, 정갑준 // 충렬왕이 원래 그렇게 타락적(?)인 왕이 아니고 후에 조선에서 그렇게 ‘만든’ 것이다.1920동동의 형성과정 및 작자층에 대한 재검토, 신은경 31

  • 균여전, 삼국유사를 바탕으로 규정하는 향가
  • 도이장가 (悼二將歌)도이장가는 고려 예종 15년에 예종이 창작한 8구체(혹은 4구 2연형) 향가이다. 「평산 신씨 고려대사장절공유사」에는 예종이 서경에 갔다가 개국공신인 신숭겸, 김낙 두 장군을 기리기 위한 가상희회를 보고, 두 장군에 대한 추모의 정을 이기지 못하여 지어 부른 노래가 바로 ‘도이장가’라는 이야기가 실려 있다. 신라의 시대의 향가와 창작시기가 확연히 멀었기 때문에 기본 형식이나 격식들이 변화하였고, 그와 더불어 국민음

  • 고려가요의 이해, 주요작품 분석
  • 형식을 갖춘 시가를 말한다. 향가계 여요는 향가와 고려가요를 연결하는 교량적 역할을 하는 문학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신라 때에 형성되어 발전한 향가는 고려 때 까지 계속되었다. 고려 광종 때 균여 대사가 지은 「보현십원가」는 고려 시대까지 향가 문학이 계속되어 온 것을 보여 주는 본보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고려 초기의 일일 뿐, 향가는 고려 초 이후부터 쇠잔해지기 시작하였다. 예종이 지은 나 의종 때 정서가 지은 것으

  • [국문학사] 한국문학사의 개관
  • 제작되었다. 4. 수필(隨筆) (1) 특징 ① 본격적인 수필 이론이 소개되었다. 해외 문학파와 외국 문학을 전공한 이양하 등에 의해 외국의 수필및 그 이론이 도입되었다. ②전문적인 수필가의 등장으로 수필 문학이 정립되었다. 수필이 독자적 장르로 인식되고, 전문적인 수필가가 등장하면서, 수필이 하나의 독립된 장르로 자리를 잡았다. ③ , ,등에 발표되었다. 5. 평론(評論) (1) 특징 ① 순수 문학을 옹호하였다. 1920년대에 유행

  • 고전시가론 레포트 - 향가의 이론적 정리, 서동요, 풍요, 헌화가, 도솔가, 처용가, 우적가, 보현십원가, 도이장가
  • 형식단위로 삼기에 적절하지 않은 경우도 많아서 유일한 잣대로 삼기는 어렵다. 적절치 않은 경우 2분절을 1구로 합치거나 1분절을 2구로 나누는 등의 조절을 거쳐 4/8/10구체의 세 형식으로 나누고 있다. 해독상의 구수원문의 분절수작품수작품 이름4구체3분절3수서동요, 헌화가,도솔가4분절1수풍요8구체무분절2수처용가, 도이장가9분절1수모죽지랑가10구체7분절1수우적가8분절1수원가9분절3수원왕생가, 제망매가, 안민가10분절1수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