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학 - 박제가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6.07.15 / 2016.07.15
  • 5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9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북학 - 박제가
1.박제가의 자연관
농경문화를 배경으로 하는 전통 사회의 사람들은 천(天)에 대한 관점이 무엇인지에 따라 그 사람의 세계관이 드러난다. 일반적으로 중국과 한국의 전통 사상 속에는 천에 대해 크게 두 가지 관점이 존재한다. 첫째는 천을 의지적 대상으로 여기는 관점이다. 이러한 관점은 천에 대해 인격적인 의미를 부여한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은 다시 두 가지로 나뉘는데, 하나는 천을 종교적 대상으로 여기는 관점이고, 다른 하나는 천을 도덕적 대상으로 여기는 관점이다. 두 번째는 천을 무의지적 대상, 즉 물리적 자연으로 여기는 관점이다. 이러한 관점은 다시 두 가지로 나뉘는데, 하나는 천의 운행 원리에 인간을 귀속시키는 자연주의적인 천 사상이고, 다른 하나는 천을 객관 대상으로 여기면서 인간이 천을 변형하고 가공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관점이다. 이철승, 「박제가의 철학사상에 나타난 비판정신과 반성리학적 경향」, 『범한철학』제25집, 2002 112쪽
일반적으로 학계에서는 위의 네 가지 관점 중 두 번째 중의 두 번째, 즉 천을 객관 대상으로 여기면서 천을 변형하고 가공할 수 있는 것으로 여기는 관점이 현실화되면서 근대의 과학 기술이 비약적인 발전을 한 것으로 여기고 있다. 르네상스 이후 서양의 과학 기술이 동양을 앞서기 시작한 사상적인 근거 역시 이러한 천관의 확립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의 사상가들은 위의 네 천관 중, 천을 도덕적 대상으로 여기는 관점이나 혹은 천의 운행 원리에 인간을 귀속시키는 관점을 자신의 관점으로 삼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이유로 해서 조선에서는 천에 대한 적극적인 활용을 통해 과학 기술을 발전시키려는 사상이 중국이나 서양에 비해 낙후될 수밖에 없었다. 이철승, 「박제가의 철학사상에 나타난 비판정신과 반성리학적 경향」, 『범한철학』제25집, 2002 112쪽
박제가는 이러한 시대 상황 속에서 자신의 독특한 천관을 펼쳤다. 그는 천에 대해 도덕적 원리로 파악하면서 인간과 천의 합일을 주장하는 성리학자들과 다른 관점에서 자신의 천관을 세웠다. 그는 자연의 운행을 경제생활의 관점에서 바라보았다. 즉 그는 많은 전통 철학자들처럼 우주의 생성 원리로 오행을 파악하지 않았다. 그는 오행의 원리를 일상생활에 필요한 것, 즉 이용후생의 대상으로 파악했다. 이철승, 「박제가의 철학사상에 나타난 비판정신과 반성리학적 경향」, 『범한철학』제25집, 2002 112쪽
그는 오행이 각자 가기의 역할을 하지 못할 때 문제가 발생하므로, 우리는 이러한 자연의 성질을 우리의 생활에 유익하게 활용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했다. 이것은 그가 당시의 청나라와 서양 사람들이 자연을 활용하여 과학 기술의 부강한 국가를 이루기 위해 노력한 것과 달리, 조선 사람들은 자연의 성질을 자신들에게 유익하게 운용하지 못함으로 인해 나라는 어렵고 백성들의 생활은 더욱 피폐해지는 것을 안타깝게 생각하면서 제시한 자연관이다. 이철승, 「박제가의 철학사상에 나타난 비판정신과 반성리학적 경향」, 『범한철학』제25집, 2002 112쪽~113쪽
그의 자연관은 결국 인간의 의지에 관계없이 운행하는 자연의 질서에 대해, 인간의 삶과 관계없는 자연 그 자체의 영역으로 여기지 않는 것이다. 이것은 또한 그가 오직 인간의 의지에 의해 자연이 창조되고 운행되는 것으로 여기는 것도 아니다. 그는 자연이 인간의 의지에 관계없이 운행하는 것을 인정한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자연일지라도 인간의 삶과 무관한 것이 아니라는 관점이다. 즉 그는 인간이 이러한 자연의 질서에 맹목적으로 귀의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자연을 이용하고 가공하며 문화를 형성하면서 삶을 영위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관점이다. 자연에 대한 이러한 그의 관점은 ‘무의자연(無爲自然)’의 질서에 순응하기를 원하는 도가(道家)의 세계관과, 천과 인간의 도덕적 합일(天人合一)을 주장하는 성리학의 세계관과 구별되는 세계관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철승, 「박제가의 철학사상에 나타난 비판정신과 반성리학적 경향」, 『범한철학』제25집, 2002 113쪽
2.道(本)와 技藝(末)일치
유학은 안으로는 자기완성(成己)을 목적으로 하는 수기지학(修己之學)이고, 나아가 밖으로 향해서는 이를 사회적으로 실현시켜 공동체를 통치하여 그 구성원을 편안케 하는 것(成物)을 목적으로 하는 치인지학(治人之學)에 있다. 이러한 목적에 이르게 하는 공부방법과 수양절차가 바로『대학』의 팔조목(八條目)이다. 또 『대학』은 物(물)과 事(사)로 구분하여 물은 본말(本末),사는 종시(終始)로 구분되어 있다. 물은 존재론적 개념으로 구체적인 물체나 사실, 사건 등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물을 지칭한다. 이 세상에 실재하는 사물의 형태는 구조적으로 본말(本末)로 이루어져 있다. 변원종,「本末終始論과 修己를 通한 格致論」,『동서철학연구』제39호,2006. 발췌.
또 물은 본말론(本末論)으로 규정하여 먼저 시행해야 할 것과 나중에 시행할 것을 알게 되면 이로서『대학』의 학문의 도에 가까이 갈 수 있다고 전해지고 있다. 『大學章句』,1章, 物有本末 事有終始 知所先後 則近道矣 변원종. 인용.
이같이 물이란 존재적공간적인 뜻을 의미하며 이것은 이 세상에 실재하는 모든 물, 즉 구체적인 물체나 사실, 사건 등을 가리킨다는 뜻이다. 이와 같이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의 형태는 그 자체 구조적인 모습으로 근본이 이루어지는 것과 말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누어진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물의 본(本)은 명덕이고 말(末)은 지선이며 ‘천하·국가·가신’에 한 일을 물이라 하고 격(格)은 이들 물을 연구하는 것을 뜻하고 이영화. (2011).「楚亭 朴齊家 技藝論 硏究」.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P. 175-185.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동양철학] 북학파 중 홍대용과 박제가의 사상
  • 북학파 중 홍대용과 박제가의 사상1. 서론실학파는 주자학파와 더불어 근세 한국사상사의 2대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제 2기의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에 와서는 주자학의 이념에 대해서라기보다는 주자학파의 대해 날카로운 비판과 거부의 태도를 엿볼 수 있다.실학파의 근본입장은 반주자학적인 데서 찾으려 하기보다는 실학파의 문제의식이 갖는 특성이 무엇인가를 밝히는 데에서 찾아질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그것은 주자학이 유학의 범위를 벗

  • 박제가의 ‘북학의’를 읽고 느낀점
  • 박제가의 북학의를 읽고 느낀점북학의의 핵심 내용 박제가는 4차례 중국을 다녀오는 등 중국을 배우고자 했으니, 그 대표적인 저술이 1차 중국 기행 후 1778년 저술한 북학의이다. 북학의는 내편과 외편으로 되어있는데, 내편에는 수례, 배, 성, 벽돌, 도로, 상업, 종이 등 39항목이 있고, 외편에는 밭, 거름, 과거론, 북학변, 재부론 등 16항목이 있다. 북학이란 맹자에 나오는 말이며, 중국의 풍속 가운데 조선에 통용할 만하고 편리할 만한 사항들

  • 실학 북학파의 특징- 박지원, 박제가
  • 실학 북학파의 특징- 박지원, 박제가1.북학‘북학’이란 말은 맹자가 “진량은 초나라 사람이다. 그는 북쪽으로 중국에 유학하여 북방의 학자들도 그보다 나은 사람이 별로 없다”라고 말 한 것을 박제가가 인용한 것이다. 한마디로 말해 ‘북학’의 정신은 메마르고 빈곤하였던 조선후기 사회를 구제하려는 것이다.1-1북학의 형성청나라의 중국 지배가 100년이 넘어간 18세기 후반에 들어서는 극소수의 재야 인물을 제외하면 조정의 관료나 처사(處士

  • 실학 사상 레포트
  • 실학 사상목 차 >Ⅰ. 머리말 Ⅱ. 본 문 1. 박제가의 생애 2. 북학의의 구성가. 서문 나. 내편 다. 외편 3. 박제가의 주장 Ⅲ. 맺음말 實學이란 조선 후기에 나타난 사회 개혁 사상으로서 기존 성리학이 현실문제(왜란,호란으로 인한 국가재정의 파탄 등)를 해결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사상을 말한다. 실학은 국부의 원천이 농업이라고 보고 농업을 중시한 중농학파(경세치용 학파)와 국부의 원천이 상공업이라고 보고 상공

  • [박제가] 초정 박제가의 생애와 업적,사상,문학,실학사상,후대에 미친 영향
  • 박제가는 당시 보고 들은 내용 가운데 조선에 행해지면 일상생활에 도움이 될 만한 것들을 모아 29세 때(1788) 그의 대표작으로 일컬어지는 『북학의(北學議)』를 저술하였고 이를 통해 홍대용과 박지원 등의 학풍을 계승하여 북학론(北學論)을 정립시켰다. 또한 정조의 서얼허통법(庶孼許通法) 실시로 1779년 규장각 검서관(檢書官)으로 임명되어 13년간 재직하면서 임금이 지은 글과 『일성록(日省錄)』등을 정리하고,『규장전운(奎章全韻)』,『무예도보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