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체가 보고서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6.04.16 / 2016.04.16
  • 105페이지 / fileicon ppt (파워포인트 2003)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경기체가
목차
Ⅰ. 서론
고려 중엽 권문세족에 대항하여 지배세력으로
성장하던 신흥사대부가 상층의 시가문학을 새롭게 일으키고자 만든 문학 장르로 시조, 가사, 경기체가가 있다.
이 중 경기체가는 주로 한학자들에 의하여 읊어졌는데, 노래 말미에 “景 긔 엇더니잇고”라는 구(句)를 붙인 까닭으로 이름이 붙여졌다.
경기체가가 보여주는 전체적인 내용은 사대부계층의 화려하고 유연하며 도도한 생활을 노래하거나, 유교적이고 도덕적인 뜻을 강조하며, 자연의 아름다움을 노래하는데, 이는 사대부계층의 자만과 신념에 찬 모습을 반영하고 있다.
Ⅱ. 본론
1.『한림별곡』
1)원문
1장
元淳文 仁老詩 公老四六
李正言 陳翰林 雙韻走筆
沖基對策 光鈞經義 良鏡詩賦
위 試場ㅅ景 긔 엇더니잇고
琴學士의 玉門生 琴學士의 玉門生
위 날조차 몃부니잇고
원순문 인로시 공로사륙
이정언 진한림 쌍운주필
충기대책 광균경의 양경시부
위 시장ㅅ경 긔 엇더니잇고
금학사의 옥순문생 금학사의 옥순문생
위 날조차 몃부니잇고
*
2장
唐漢書 莊老子 韓柳文集
李杜集 蘭臺集 白樂天集
毛試尙書 周易春秋 周戴禮記
위 註 조쳐 내 외
景 긔 엇더니잇고
大平廣記 四百餘卷 大平廣記 四百餘卷
위 歷覽ㅅ景 긔 엇더니잇고
당한서 장로자 한류문집
이두집 난대집 백락천집
모시상서 주역춘추 주대례기
위 주 조쳐 내 외
경 긔 엇더니잇고
대평광기 사백여권 대평광기 사백여권
위 력남ㅅ경 긔 엇더니잇고
3장
眞卿書 飛白書 行書草書
篆書 書 虞書南書
羊鬚筆 鼠鬚筆 빗기드러
위 딕논景 긔 엇더니잇고
吳生劉生 兩先生의 吳生劉生 兩先生의
위 走筆ㅅ景긔 엇더니잇고
진경서 비백서 행서초서
전유서 과두서 우서남서
양수필 서수필 빗기드러
위 딕논경 긔 엇더니잇고
오생유생 양선생의 오생유생 양선생의
위 주필ㅅ경 긔 엇더니잇고
*
4장
黃金酒 栢子酒 松酒醴酒
竹葉酒 梨花酒 五加皮酒
鸚鵡盞 琥珀盃예 득 브어
위 勸上ㅅ景 긔 엇더니잇고
劉伶陶潛 兩仙翁의 劉伶陶潛 兩仙翁의
위 醉景 긔 엇더니잇고
황금주 백자주 송주예주
죽엽주 이화주 오가피주
앵무잔 호박배에 득 브어
위 권상ㅅ경 긔 엇더니잇고
유영도잠 양선옹의 유령도잠 양선옹의
위 취경 긔 엇더니잇고
5장
紅牧丹 白牧丹 丁紅牧丹
紅芍藥 白灼藥 丁紅芍藥
御柳玉梅 黃紫薔薇 芷芝冬柏
위 間發ㅅ景 긔 엇더니잇고
合竹桃花 고온 두 분 合竹桃花 고온 두 분
위 相映ㅅ景 긔 엇더니잇고
홍모란 백모란 정홍모란
홍작약 백작약 정홍작약
어류옥매 황자장미 지지동백
위 간발ㅅ경 긔 엇더니잇고
합죽도화 고온 두 분 합죽도화 고온 두 분
위 상영ㅅ경 긔 엇더니잇고
6장
阿陽琴 文卓笛 宗武中芩
帶御香 玉肌香 雙伽倻ㅅ고
金善琵琶 宗智奚琴 薛原杖鼓
위 過夜ㅅ景 긔 엇더니잇고
一枝紅의 빗근 笛吹 一枝紅의 빗근 笛吹
위 듣고아 드러지라
아양금 문탁적 종무중금
대어향 옥부향 쌍가야ㅅ고
김선비파 종지해금 설원장고
위 과야ㅅ경 긔 엇더니잇고
일지홍의 빗근 적취 일지홍의 빗근 적취
위 듣고아 드러지라
7장
蓬萊山 方丈山 瀛洲三山
此三山 紅樓閣 綽約仙子
綠髮額子 錦繡帳裏 珠簾半捲
위 登望五湖ㅅ景 긔 엇더니잇고
綠楊綠竹 栽亭畔애 綠楊綠竹 栽亭畔애
위 黃鶯 반갑두셰라
봉래산 장방산 영주삼산
차삼산 홍루각 작약선자
녹발액자 금수장리 주렴반권
위 등망오호ㅅ경 긔 엇더니잇고
녹양녹죽 재정반애 녹양녹죽 재정반애
위 정황앵 반갑두셰라
8장
唐唐唐 唐楸子 莢 남긔
紅실로 紅글위 요이다
혀고시라 밀오시라 鄭少年하
위 내 가논 갈셰라
削玉纖纖 雙手ㅅ길헤 削玉纖纖 雙手ㅅ
위 携手同遊ㅅ景 긔 엇더니잇고
당당당 당추자 조협남긔
홍실로 홍글위 매요이다
혀고시라 밀오시라 정소년하
위 내 가논대 남 갈셰라
길헤 삭옥섬섬 쌍수ㅅ길헤 삭옥섬섬 쌍수ㅅ길헤
위 휴수동유ㅅ경 긔 엇더니잇고
어구해석
<1장>
(1)원순문 : 유원순의 문장
(2)인로시 : 이인로의 시
(3)공로사륙 : 이공로의 사륙문
(4)이정언 : 이규보
(5)진한림 : 진화
(6)쌍운 : 서로 각기 다른 운을 택하는 일
(7)주필 : 붓을 달린다는 뜻으로 운이 주어지면 곧바로 붓을 휘둘러 글을 써내려 가는 것
(8)충기대책 : 유충기의 대책
(9)광균경의 : 민광균의 경전 해석
(10)양경시부 : 김양경의 시부
(11)시장 : 시험장
(12)금학사 : 금의(琴儀)를 말함. 당시 무인정권하에서 문인들의 우두머리 역할을 한 사람
(13)옥순문생 : 옥으로 된 죽순처럼 뛰어난 문하생이란 뜻
(14) 날조차 : 나까지. 나를 포함해서
(15)몃부니잇고 : 몇 분입니까. 즉 아주 많다
<2장>
(1)당한서 : 중국의 역사책
(2) 장노자 : 장자와 노자. 여기서는 <남화진경>과 <도덕경>을 가리킨다.
(3)한류문집 : 중국 당나라 때의 문인인 한유(韓愈)와 유종원(柳宗元)의 문집
(4)이두집 : 중국 당나라 때의 시인인 이백(李白)과 두보(杜甫)의 시집
(5)난대집 : 한(漢) 나라 때의 난대령사(蘭臺令史: 황실도서관원)들의 시문집
(6)모시상서 : 시경과 서경
(7)주대례기 : 대대례와 소대례
(8)조쳐 : 겸하여, 아울러, 포함하여
(9)내외온 : 내리 외우는
(10)대평광기 : 태평광기. 일종의 설화, 민담집
<3장>
(1)진경서 : 중국 당나라 때의 유명한 서예가였던 안진경(顔眞卿)의 서체
(2)비백서 : 팔서체(八書體)의 하나. 팔분(八分)과 비슷한데 필세(筆勢)가 나는 듯 날렵한 것이 그 특징이다.
(3)과두서 : 올챙이처럼 왹의 머리는 굵고 끝이 가는 글씨체
(4)빗기 : 비스듬히 (5)딕논 : 찍는
<4장>
(1)유령도잠 : 유백륜과 도연명. 두 사람 다 중국의 이름난 시인으로서 술을 좋아했음
<제 5장>
(1)지지 : 지란과 영지
(2) 두 분 : 합죽(合竹)과 도화(桃花)를 의인화 한 것
<6장>
(1)빗근 : 빗긴 (2)듣고아 : 듣고서야
(3)잠 드러지라 : 잠들고 싶어라
<7장>
(1)삼산 : 옛날 중국 사람들이 상상하던, 동해 멀리 있다는 신선들이 사는 삼신산
(2)홍루각 : 붉게 칠한 누각 (3)작작선자 : 아름다운 선녀
(4)녹발액자 : 머리카락이 검푸르게 이마에 드리워진 얼굴. 미인을 형용한 말
(5)주렴반권 : 구슬로 만든 발이 반쯤 걷힌 있는 모양
<8장>
(1)당당당 : 아무런 뜻이 없고 단지 음수율과 음악적 효과를 맞추기 위한 배려. 당추자의 당을 반복한 것임
(2)조협남긔 : 쥐엄나무에 (3)紅(홍)글위 : 붉은 그네
(4) 혀고시라 : 당기시라
(5)갈셰라 : 갈까 두렵다, ‘~셰라는 의구형 어미로서 ‘~할까 두렵다’의 뜻
(6)삭옥섬섬 : 옥을 깎아 만든 듯이 곱고 보드라운
(7)쌍수길헤 : 두 손을 마주 잡고 가는 길에
(8)휴수동유 : 손에 손을 잡고 함꼐 노는 것
2) 현대어 해석
1장
유원순의 문장, 이인로의 시, 이공로의 사륙문,
이규보와 진화의 쌍운을 맞추어 써 내려간 글,
유충기의 대책문, 민광균의 경전 해석, 김양경의
시와 부(賦)
아, 시험장의 정경이 어떠하겠습니까
금의의 기라성같은 문하생들, 금의의 기라성같은
문하생들
아, 나를 좇아(포함하여) 몇 분입니까
2장
당서와 한서, 장자(남화진경)와 노자(도덕경), 한유와 유종원의 문집
이백과 두보의 시집, 난대영사들의 시문집(난정집), 백낙천의 문집
시경과 서경, 주역과 춘추, 대대례와 소대례
아, 주(주석)를 아울러 내리 외는 정경이
어떠하겠습니까
태평광기 사백여 권을 태평광기 사백여 권을
아, 열람하는 정경이 어떠하겠습니까
3장
진경서(당나라 안진경의 서체), 비백서,
행서와 초서
전유서, 과두서, 우세남서
양털붓, 쥐털붓 빗겨들어
아, 찍는 정경이 어떠하겠습니까
오생 유생 두 선생의, 오생 유생 두 선생의
아, 붓 놀리는 정경이 어떠하겠습니까
4장
황금주, 백자주, 송주예주
죽엽주, 이화주, 오가피주를
앵무잔, 호박잔에 가득 부어
아, 권하는 정경이 어떠하겠습니까
유영과 도잠 두 선옹의, 유영과 도잠 두 선옹의
아, 취한 정경이 어떠하겠습니까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불교][불교계 사회복지관][불교계 사회복지사업][불교계 경기체가][불교계 장묘사업][사회복지관][사회복지사업][경기체가]불교계 사회복지관, 불교계 사회복지사업, 불교계 경기체가, 불교계 장묘사업 분석
  • 경기체가불교계 경기체가가 유행되었던 조선조 초기는 崇儒斥佛 정책이 강력히 추진되던 시기였다. 고려조의 국교로서 숭앙을 받아오던 불교는 고려 말엽으로 접어들면서 그 폐해가 늘어나고 여말의 신흥사대부들이 성리학을 그들의 새로운 이념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숭유척불 정책은 조선조의 국기가 다져질수록 더욱 심화되어 갔으나 삼국시대 이래로 국민의 중심사상으로 전승된 불교는 표면상으로는 약화된 듯했으나

  • [국문학사] 국문학사 시대구분
  • 보고서를 쓰면서 우리 한국의 긴 역사의 문학을 알게 되어서 기뻤다. 하지만 아쉬운 점은 그 긴 역사 동안 남겨진 문학을 이 보고서 약 20장 내외에 써진다는 것에 우리의 문학이 많이 유실되고 지켜지지 않았다는 사실이 슬펐다. 그냥 지나쳐버린 우리의 문학을 더욱 소중히하고 아껴야 하겠단 생각이 들었고, 힘들었지만 우리의 국문학사를 다시 새겨 볼 수 있어서 보람있는 보고서 였다는 생각이 든다. 비록 남들과 다른 독창적인 시대구분을 하지 못

  • [고전시가론] 경기체가 연구
  • 목 차yⅠ. 서론 11. 硏究史 정리 12. 경기체가 작품개관 5Ⅱ. 본론 61. 경기체가 개관 62. 개별작품 연구Ⅰ~Ⅳ 181) 한림별곡 182) 관동별곡 253) 죽계별곡 324) 상대별곡 345) 불우헌곡 ~ 구월산별곡 396) 화산별곡 ~ 금성별곡 527) 오륜가 ~ 엄연곡 658) 미탄찬 ~ 기우목동가 81Ⅲ. 결론 104※참고문헌 105Ⅰ. 서론1. 硏究史 정리경기체가는 고려 고종 때의 「한림별곡」을 효시로 조선조 말인 1860년 민규의 「충효가」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명맥을 유지했던

  • [국문학] 한국문학통사 제 3판 7.1~7.9 <조선전기>요약
  • 경기체가를 받아들여서 ․ ․등을 각 10장씩 이룩했다. 승려가 경기체가를 짓는 것이 한때의 유행이어서, 거의 같은 시기에 의상이라는 이가 를, 세조 때에 지언이 를 남겼다. 그 어느 작품이나 불교의 이치를 쉽게 풀이해서 널리 이해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었으나, 그렇게 하는데는 경기체가라는 형식 자체에 한계가 있었다. 기화가 지은 경기체가는 미타신앙을 나타내는 것으로 특징을 삼는다. 유학

  • [사회학] 동성애 제대로 알기
  • 보고서1) 킨제이 보고서0:전적으로 이성애 4:주로 동성애, 상당한 이성애 경험1:주로 이성애, 약간의 동성애 경험 5:주로 동성애, 약간의 이성애 경험2:주로 이성애, 상당한 동성애 경험 6:전적으로 동성애3:동성애, 이성애의 경험이나 경향이 거의 동일킨제이는 인간의 성적 지향을 나타내는 일곱 등급의 측정 지수를 개발했다. 킨제이 척도는 0부터 6까지의 범위가 있다. 0의 범주 속에는 완전히 이성애자로 어떠한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