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S를 결합한 보행 훈련기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6.03.06 / 2016.03.06
  • 34페이지 / fileicon ppt (파워포인트 2003)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FES를 결합한 보행 훈련기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FES를 결합한 보행 훈련기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이론적 배경
3. 연구목적
4. 연구가설
Ⅰ-1. 연구의 필요성
운동기능 장애 중 보행의 장애는 뇌졸중 후 갖게 되는 최대의 상실감이다.
- Mumma, 1986
뇌졸중 후 보행 장애는 기능적 독립 수준과 예후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므로 보행 능력의 재획득은 환자의 독립성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로서 재활치료의 목표 중 하나이다.
- Barbeau & Visintin, 2003
Ⅰ-1. 연구의 필요성
보행을 위하여 필수적이고 기본적인 요소는 균형이며, 보행과 균형의 결손은 실질적으로 뇌졸중 후 오랜 기간 장애에 기여한다.
- Shumway-cook et al., 1998; Duncan et al., 2007
뇌졸중 환자는 뇌 손상으로 인해 균형감각의 소실, 운동 조절력의 감소 및 근력약화로 인해 신체 안정성이 결여됨으로써 균형 조절 능력이 상실되어 양측 하지에 대칭적인 체중지지가 불가능하고 이로 인해 자세동요(postural sway)가 증가된다.
- Cheng et al., 1988
Ⅰ-1. 연구의 필요성
편마비 환자의 비정상적 자세 제어와 체중 분배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 많은 중재 방법들이 연구되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중재방법은 트레이드밀 훈련, 체중지지, 부분적인 체중지지 트레이드밀 훈련, 지상 보행, 과제 특이적 보행 훈련 등을 포함한다.
- Daly et al., 2007
하네스 지지와 함께 트레이드밀 훈련은 뇌졸중 후 편마비를 가진 사람들의 이동 기능을 회복시키는 기대되는 과제 특이적 접근이다.
- Lindguist et al., 2007
Ⅰ-1. 연구의 필요성
최근 시스템 검토는 과제 특이적 보행훈련이 뇌줄중 후 보행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강력한 증거가 있음으로 결론내리고 있다.
- Foly et al., 2006; van Peppen et al., 2004
기능적 전기 자극(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의 치료적 중재는 마비측 하지의 집중적인 근력 강화로 인하여 뇌졸중 환자의 분리되지 않는 협응적 움직임 형태 안에 마비측 하지의 조절 능력을 개선할 수 있다.
- Combs et al., 2007
Ⅰ-1. 연구의 필요성
FES와 체중지지를 병행한 트레이드밀 훈련이 운동 회복의 향상을 이끌고, 편마비를 가진 환자의 보행 패턴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 Lindqusit et al.,2007
최근 연구에서부분적인 체중지지와 FES를 결합한 트레이드밀 훈련이 전통적인 지상보행 훈련보다 하지근력, FAC(Functional Ambulatory Category) 척도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이 보고되었다.
- Ng et al., 2008; Tong et al., 2006
참고문헌
참고문헌
김수민(2004). PNF와 순환운동의 집단훈련이 재가 뇌졸중 장애인의 운동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Barbeau H., Ladoucer M., Mirbagheri M. M. Kearney R. Z. (2002). The effect of locomotor training combined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in chronic spinal cord injured subjects : walking and reflex studies. Brain Res Rev, 40; 274-291.
Barbeau H., Visintin M. (2003). Optimal outcome obtained with body-weight support combined with treadmill training in stroke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84(10); 1458-1465.
Cheng P.T., Liaw M.Y, & Wong M.K.(1998). The sit to stand movement in stroke patient and its correlation with falling. Arch Phys Med Rehabil, 79(9) ; 1043 -1046.
Combs S., Miller E. W., Forsyth E. (2007). Motor and functional outcomes of a patient post-stroke following combined activity and impairment level training. Physiother Theory Pract, 23(4); 219-229.
Classen J., Liepert S. P., Hallett M., Cohem L. G. (1998). Rapid plasticity of human cortical movement representation induced by practice. Journal of Neurophysiology, 79(2); 1117-1123.
Coralie K., Susan L., Kathy R. et al. (2007). Circuit class therapy versus individual physiotherapy sessions during inpatient stroke rehabilitation : a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88; 955-963.

참고문헌
Daly J.J., Ruff R. L.(2007). Construction of Efficacious Gait and Upper Limb Functional Interventions Based on Brain Plasticity Evidence and Model-Based Measures For Stroke Patients. The Scientific World Journal, 7;2031-2045
Duncan P.W., Sullivan K. J. et al.(2007). Protocol for the Locomotor Experience Applied Post-stroke (LEAPS) tri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C Neurology, 7(39);1471-2377.
Foley N., Teasell R., Bhogal S. (2006). Evidence based review of stroke rehabilitation : mobility and the lower extremity.
Franceschini M., Carda S., Agosti M., Antemucci R., Malgrati D. & Cisari C.(2009). Walking after stroke ; what does treadmil training with body weight support add to overground gait training in patients early after stroke :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40(9) ; 3079 - 3085.
Gentile A. M. (2000). Skill acquisition : action, movement and neuromotor processes. In: Carr J. H., Shepherd R. B., eds. Movement Science : Foundation for Physical Therapy. 2nd ed. Gaithersburg : Aspen, 111-187.
Gibson E. J. (1969). Principle of Perceptual Learning and Development. New York : Meredith.

참고문헌
Lindquist A.R.R., Prado C.L., Barros R.M.L., et al.(2007). Gait training combining partial body-weight support , a treadmil an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 effect on poststroke gait. Phy Ther, 87 ; 1147 - 1154.
Mayple F.W.NG., Tong R.K.Y., Li L.S.W.(2009). A pilot study of randomized clinical controlled trial of gait training in subacute stroke patient with partial body-weight support electromedical gait trainer an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Stroke, 39 ; 154 - 160
Mumma C. M. (1986). Perceived losses following stroke Rehabil Nursing, 11; 19-24.
Ng F. W., Tong, R. K., & Li, L. S. (2008). A Pilot of Randomized Clinical Controlled Trial of Gait Training in Subacute Stroke Patients With Partial Body-Weight Support Electromechanical Gait Trainer an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Six-Month Follow-Up. Stoke, 39(1), 154-60.
Schmidt R. A., Lee T. D. (1998). Motor Control and Learning : A Behavioural Emphasis. 3rd ed. Champaign, Ⅲ : Human Kinetics.
Shumway - Cook A., Anson D, & Haller S.(1998). Postural sway biofeedback : its effects on reestablishing stance stability in hemiplegic patient. Arch Phys Med Rehabil, 69(6) ; 395 -400.

참고문헌
Tong K. Y., Ng, F. W., Li, S. W., & So, F. M. (2006). Gait training of patients after stroke using an electromechanical gait trainer combined with simultaneous functional stimulation. Phys Ther, 86(9), 1282-1294.
Van de Crommert H. W., Mulder T., Duysens J. (1998). Neural control of loconotion : sensory control of the central pattern generator and its relation to treadmill training. Gait Posture, 7; 251-263.
van Peppen R. P. S., Kwakkel G., Wood-Dauphinee S. et al. (2004). Effects of augmented exercise therapy time after stroke : a meta-analysis. Stroke, 35; 2529-2536.
Woolf C.J., Salter M.W.(2000). Neuronal Plasticity : Increasing the gain in pain. Science, 228 ; 1765 - 1768.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사회복지] 노인재활치료에 대해서
  • 뇌졸중의 75%는 65세 이상의 노인에서 발생하고, 고관절 골절은 70대에서 호발된다. 대부분의 사지절단은 노인에서 행해진다. 비록 이와 같은 심각한 질병들이 없다고 하더라도, 만성질환에 의한 활동의 제한은 75세 이상의 노인에서 흔히 발생한다. 장애의 유형을 구별하는 것도 의료제공자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하다. 보행, 식사, 용변보기에서의 기능적 장애는 의존성을 증가시켜 환자를 돌보는 가족들의 부담을 가중시킨다. 노인들의 기

  • 장애인과 함께하는 수중운동 프로그램
  • 환자 특징수중운동은 관절질환자에게 매우 적합한 운동이다. 물의 특징 중의 하나인 부력은 체중을 감소시켜 몸무게로 인한 관절의 압박을 제거하고, 물의 저항력은 근력 및 근지구력을 향상시키므로 관절의 통증 해소와 관절의 기능 강화에 도움이 된다. 주안점29°C 정도의 수온에서 다양한 수중운동기구를 활용하여 근력, 근지구력 강화운동을 실시해서 관절의 가동성 증대와 근력 증강에 따른 통증의 감소, 그리고 유연성 향상에 효과적이다 이

  • 재활복지서비스 의료재활 교육재활 직업재활 지역사회중심재활 장애인 재활 의료재활이란 장애인 의료생활
  • 결합만이 아닌 부부간의 대화를 통한 정신적 만남성재활?필요성성재활성기능 문제를 이해하고 성재활에 필요한 관리를 통해 스스로 현명하고 책임감 있게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다.성 재활은 주로 척수장애인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것이 대부분국내 척수장애인 성재활 사례『국립재활병원 (사례) - 사지마비 여성 척수 장애인』이씨는 추락사고로 제 4,5번 경추가 골절되어 사지에 완전마비가 온 27세 여성 척수장애인 입니다. 사고 후 특별한

  • 노인 낙상의 원인과 예방법 ; 노인 낙상의 위험인자와 치료 분석
  • 영향을 주어 낙상이 발생되며 이는 의료시설의 이용 증가를 가져오는 원인이 된다고 하였다 (Martin, Hart, Spector, Doyle & Harari, 2005).신경계 질환환자 548명을 대상으로 낙상 경험을 조사한 Stolze 등(2004)의 연구에서도 대상자의 39%에서 낙상의 두려움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낙상의 두려움은 낙상 경험 횟수, 여성, 고령, 보행보조기구의 사용, 보행 시 통증과 관련이 있었다.낙상과 관련이 있는 만성질환으로 근․골격계질환, 신경계질환, 심․혈관계질환,

  • [성인간호학] 당뇨(Diabetes Mellitus)
  • 만성 합병증을 초래한다. 당뇨병 환자는 일반인에 비해 시력장애는 25배, 신장질환은 17배, 괴저(gangrene)는 5배, 심장질환과 뇌졸중은 2배 정도 더 이환될 수 있는 것으로 본다. 따라서 당뇨병은 전신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만성질환으로서 장기적인 관리와 함께 포괄적인 간호가 필요하다.2. 연구대상 및 방법본 연구는 당뇨병(Diabetes Mellitus)에 대한 연구로 환자는 우○○(M/60세), 당뇨환자로 12년 11월 14일 local PO복용 중으로 약복용후 두드러기와 다리저린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